[목차] == 개요 == 經筵日記. [[조선]]시대 조정에서 왕과 신하들이 함께 학문을 연구하는 자리인 [[경연]](經筵)이 있을 때마다 그날 있었던 일들을 경연관 또는 [[사관]]이 모두 기록하여 남긴 [[한국]]의 공무 [[일기]]. == 내용 == [[조선]] 왕조에서 [[경연]]이 있을 때마다 경연시강관 또는 사관이 당시 있었던 일들을 모두 기록하여 남긴 [[일기]]이다. 이러한 경연일기들은 평소 사관들이 보관하였다가, 왕이 죽은 뒤 [[조선왕조실록]]을 편찬할 때 자료로 사용하였다. 실록을 편찬한 뒤에는 경연일기 또한 세초(洗草)하여 없앴으나 지금은 알 수 없는 이유로 없애지 않고 남긴 경연일기들이 많이 남아있다. 나무위키에 작성되어 있는 아래의 경연일기들은 전체의 일부분으로, 이 외에도 무수히 많은 경연일기들이 남아있다. == 종류 == === 율곡 이이의 경연일기 === [[석담일기]] 항목을 참조. === 학봉 김성일의 경연일기 === [[학봉일기초]] 항목을 참조. === 동춘당 송준길의 경연일기 === [[송준길 경연일기]] 항목을 참조. === 유희춘의 경연일기 === [[미암일기]]로 유명한 미암(眉巖) 유희춘(柳希春, 1513~1577)이 기록한 경연일기. 총 2권 2책이며, 현재 전남 담양의 미암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조선 중기의 문신인 유희춘이 경연관으로 일하면서 당시 경연과정에서 논의되었던 90조의 내용을 기록하여 남긴 것이다. 현재 원본은 미암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고, 그 외에도 경연일기의 내용이 그의 문집인 21권 10책의 [[미암집]](眉巖集)에 수록되어 있다. 문집에 수록된 경연일기의 내용은 [[미암일기]]와 함께 [[유희춘 미암일기 및 미암집목판]](柳希春 眉巖日記 및 眉巖集木板)이란 명칭으로 [[대한민국의 보물|대한민국 보물]] 제260호에 지정되어 있다. * [[http://m.blog.daum.net/99sangk/441|미암 박물관 (2016.08.21.일요일), 보물 제260호_유희춘 미암일기 및 미암집 목판 : 하서선생전집 목판본 8책, 문절공미암선생행장초 1책, 미암선생 경연일기 2책, 역대요록 1책 등]]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55056&cid=46649&categoryId=46649|한국민족문화대백과 : 미암집]] === 이식의 경연일기 === 조선 중기의 문신인 이식(李植, 1584~1647)이 기록한 경연일기. 이식이 조선 [[인조]] 시기에 작성한 경연일기이다. 2009년 5월에 한국학술진흥재단에서 이식의 경연일기, 김우옹의 경연일기 등 현존하는 한국의 수많은 경연일기 중 엄선한 125종, 211만 7662자(한자수), 200자 원고지 7만 588장에 대한 번역 작업을 시작하였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21&aid=0001992371|문화일보 : 조선시대 ‘王의 수업’을 복원하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20&aid=0002173879|연세대 국학연구원 연구팀, 조선 임금 ‘경연’ 자료 집대성]] 권당 900p의 대형책으로 약 32권 정도가 될 예정이다. === 정경세의 경연일기 === 조선 중기의 문신인 [[정경세]](鄭經世, 1563~1633)가 기록한 경연일기. 계해년(1623년)~경오년(1630년) 사이의 경연에서 있었던 일을 모두 기록한 것이다. 그의 문집인 우복선생문집(愚伏先生文集) 별편(別集) 권3에도 그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 [[http://www.krpia.co.kr/knowledge/ugyo/main?idx=3729&code=01|한국국학진흥원 유교넷 : 정경세 경연일기(經筵日記)]] === 김우옹의 경연강의 === 經筵講義. 조선 중기의 학자인 김우옹(金宇顒, 1540~1603)이 경연에서 강론한 내용을 적은 경연일기. 1573년([[선조(조선)|선조]] 6) 저자가 34세 때 홍문관정자로서 경연관이 되면서부터 1595년(선조 28)까지 약 20년간 경연에서 있었던 일을 모두 기록하였다.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다.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66677&cid=46649&categoryId=46649|한국민족문화대백과 : 경연강의]]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457466&cid=46649&categoryId=46649|한국민족문화대백과 : 동강경연강의]]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60166&cid=40942&categoryId=33383|두산백과 : 경연강의]] === 한원진의 남당경연일기 === 조선 후기의 학자 남당(南塘) [[한원진]](韓元震, 1682~1751)이 기록한 경연일기. 1721년([[경종(조선)|경종]] 1) 11월 27일과 1726년([[영조]] 2) 8월 12일~1727년 2월까지 경연에서 있었던 일을 기록하였다. 현재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74957&cid=40942&categoryId=32892|두산백과 : 남당경연일기]] * [[http://hanja.naver.com/word?q=%E5%8D%97%E5%A1%98%E7%B6%93%E7%AD%B5%E6%97%A5%E8%A8%98&cp_code=1&sound_id=1|네이버 사전 : 남당경연일기]] === 이인엽의 회와연주 === 誨窩筵奏. [[조선]] 후기의 문신인 회와(誨窩) 이인엽(李寅燁, 1656~1710)이 남긴 경연일기. 연주(筵奏)란 '왕과 면대하여 아룀.' 혹은 '연석(筵席, 경연)에서 아뢴 내용'을 뜻한다. 총 3권 3책 필사본이며 현재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1697년부터 1707년까지 경연에서 있었던 일을 기록하였다.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71364&cid=46649&categoryId=46649|한국민족문화대백과 : 회와연주]] == 외부 링크 ==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경연일기(經筵日記)|조선왕조실록 위키 : 경연일기(經筵日記)]]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66683&cid=46622&categoryId=46622|한국민족문화대백과 : 경연일기]] [[분류:조선왕조실록]][[분류:조선의 일기]][[분류:서울특별시의 문화재]][[분류:담양군의 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