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경상북도 경주시에 위치한 고등학교, rd1=경주고등학교)] [include(틀:고교야구 주말리그/경상B)] ||<-2>
[[파일:경주고 로고.png|width=300]] || ||<-2> {{{#a57a45 '''경주고등학교 야구부'''}}}[br]{{{#a57a45 '''(Gyeongju High School)'''}}} || || {{{#a57a45 '''창단'''}}} || [[1982년]]~[[2008년]] [br] [[2013년]] [[12월 13일]]~'''현재''' || || {{{#a57a45 '''소속 리그'''}}} || 대구경북권 || || {{{#a57a45 '''감독'''}}} || [[이선희(야구)|이선희]] || || {{{#a57a45 '''연고구단'''}}} || [[삼성 라이온즈|[[파일:삼성 라이온즈 워드마크.svg|height=50]]]] || || {{{#a57a45 '''우승 기록'''}}}[* 4대 메이저 + 협회장기] || 0회 || || {{{#a57a45 '''홈페이지'''}}} || [[http://school.gyo6.net/gyeongjuhs|경주고등학교]] || ||<-2> [include(틀:지도, 장소=경주고등학교, 너비=100%, 높이=225px)] || ||
{{{#a57a45 '''대회'''}}} || {{{#a57a45 '''우승'''}}} || {{{#a57a45 '''준우승'''}}} || {{{#a57a45 '''4강'''}}} || ||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대통령배]]''' || - || 2회(1989, 2003) || - || || '''[[청룡기 전국고교야구 선수권대회|청룡기]]''' || - || - || 1회(1992) || ||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황금사자기]]''' || - || - || - || ||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봉황대기]]''' || - || - || - || || '''[[신세계 이마트배 전국고교야구대회|이마트배]]''' || - || - || - || [목차] [clearfix] == 연혁 == ||
'''{{{+1 {{{#a57a45 경주 야구의 화려한 부활}}}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srbsm.co.kr/22153_14761_425.jpg|width=100%]]}}} || 과거 경주중학교 야구부가 활동했었으나, 경주에 고교 야구부가 없어 중학교 졸업과 동시에 타 지역으로 진학하는 문제가 지속된 시절이 있었다. 이에 1958년 한 차례 창단했다가 1960년에 사라진 후, 경주 일대에서 동일한 문제는 지속적으로 발생하였다. 경주중 출신으로 국가대표가 된 선수로 김설권[* 1960년대 국가대표 선발 투수로 당시 커브볼의 1인자였다. 경주중 졸업 후 [[대구상고]]로 진학.], [[하일(야구선수)|하일]][* 국가대표 유격수 계보를 잇는 인물. 경주고로 진학했다가 [[부산고]]로 전학.], 김충[* 전 SK 2군 감독, [[선린상고]]로 진학.] 등으로 경주중학교 출신들의 노력으로 1982년 경주고 야구부가 부활한다. 당시는 고교야구의 붐이 아직 살아있던 시절이었다. 창단 3년째인 1984년 대통령배 8강에 오른 것 외에는 별다른 실적이 없다가 1989년 대통령배에서 [[정경훈(야구선수)|정경훈]]과 [[최익성]], 이성일, 천우광, 최남기 같은 선수들의 활약 속에 처음으로 결승에 올랐지만 아쉽게도 [[강상수]]의 부산고에 막혀 첫 우승의 꿈은 좌절되었다. 그리고 이 때 이후로 긴 암흑기에 들어가 1990년대에는 1992년 청룡기 4강, 1994년 청룡기 8강 외에는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했다. 경주고 야구부의 최후의 불꽃은 2003년으로 강력한 타선을 바탕으로 대통령배 결승까지 올랐지만, 똑같이 창단 첫 우승을 노리던 [[박석민]]의 [[대구고등학교 야구부|대구고]]에게 2-13으로 대패당하면서 다시 준우승에 만족해야 했다. 이 때 멤버 중 가장 유명한 선수가 바로 [[전준우]]다. 그리고 2008년 동문회관 건립비가 부족하다는 이유로 해체되었지만, 2008년에 고3이던 선수들은 대학 무대에서도 살아남아 프로 무대를 꾸준히 밟으면서 경주고의 이름을 남겼다. [[권희동]]이 대표적인 사례. 그리고 2013년 12월 13일, 모교 출신인 정경훈이 지휘봉을 잡아 다시 창단했고, 단 14명에 불과한 1,2학년 선수들로 2014년 봉황대기 8강 진출 및 8강전에서 명문 [[북일고등학교 야구부|천안북일고]]와 연장 접전을 벌이는 기염을 토하면서 다시금 고교 야구 무대로 돌아왔다. 2017년에는 연고지역 프로팀 삼성 라이온즈의 1차지명 선수 장지훈을 배출했다. 2020년 첫 대회인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에서 1회전 부전승의 행운을 얻었고 2회전(32강전)에서 전통의 강호인 경북고를 꺾고 16강전에 진출했다.그러나 16강에서 경기상업고와의 경기에서 4:5로 패하며 탈락했다. 2021년 [[청룡기]]에서 16강에 진출한 뒤 수도권에 발효된 4단계 거리두기로 16강전이 무기한 미뤄졌다가 8월말 공주시에서 재개된 16강전에서 연장 11회초 승부치기에 얻은 1점을 잘 지켜 경기항공고에 승리를 거두고 8강에 진출하였으며 경남고-덕수고 승자와 대결한다. 2023년 3월 19일, 경주중학교와 경주고등학교에서 야구부장, 감독 및 32년간 체육교사를 역임했던 권기홍 전 감독이 갑작스러운 심장마비로 별세했다.[* 포지션은 투수로, 대구상고-건국대 출신으로 삼성 라이온즈에 입단해 1984년부터 1989년까지 활동했었다.][* 사망 원인이 충격적인데, 사망 전날인 2023년 3월 18일에 딸을 감금하고 있다는 전화를 받고 밤새 잠 못이루고 걱정했다고 하며 다음 날 아침에 딸과 연락이 닿았다고 한다. 전형적인 [[보이스피싱]]이다. 이후 피해 사실을 신고하러 [[경주경찰서]]를 들렀다 나오는 길에 갑작스럽게 심장 쇼크를 일으켰고 긴급 조치가 이뤄졌지만 끝내 눈을 감았다.] 향년 62세로, 정년 퇴임을 단 3개월 앞둔 시점이었다. == 출신 선수[* 나무위키 등록 선수만. 졸업 연도 순.] == || '''{{{#white 이름}}}''' || '''{{{#white 포지션}}}''' || '''{{{#white 프로입단}}}''' || '''{{{#white 경력}}}''' || || [[김종헌(야구선수)|김종헌]] || 외야수 || [[한국프로야구/1990년/신인드래프트|1990년 2차 2라운드]] ||경성대-[[롯데 자이언츠|롯데]](1990~1997)-[[LG 트윈스|LG]](1998~1999)-[[SK 와이번스|SK]](2000) || || '''[[이태일]]''' || 투수 || [[한국프로야구/1990년/신인드래프트|1990년 1차 지명]] ||영남대-[[삼성 라이온즈|삼성]](1990~1997) || || '''[[김민호(1969)|김민호]]''' || 내야수 || 1993년 [[신고선수]] 입단 ||계명대-[[두산 베어스|두산]](1993~2003) || || [[정경훈(야구선수)|정경훈]] || 내야수 || 1990년 연고지명 ||[[삼성 라이온즈|삼성]](1990~1994)-[[한화 이글스|한화]](1995~1999) || || '''[[최익성]]''' || 외야수 || 1994년 [[신고선수]] 입단 ||계명대-[[삼성 라이온즈|삼성]](1994~1998)-[[한화 이글스|한화]](1999)-[[LG 트윈스|LG]](2000)-[[KIA 타이거즈|KIA]](2001~2002)-[[현대 유니콘스|현대]](2002~2003)[br]-[[삼성 라이온즈|삼성]](2004)-[[SK 와이번스|SK]](2005) || || [[곽채진]] || 투수 || 1992년 연고지명 ||[[삼성 라이온즈|삼성]](1992~1998)-[[KIA 타이거즈|KIA]](1999~2002)-[[두산 베어스|두산]](2003) || || [[김문수(1979)|김문수]] || 투수 || [[한국프로야구/2003년/신인드래프트|2003년 2차 3라운드]] ||계명대-[[삼성 라이온즈|삼성]](2003~2009) || || [[이상화(1980)|이상화]] || 투수 || [[한국프로야구/2004년/신인드래프트|2004년 2차 4라운드]] ||경성대-[[KIA 타이거즈|KIA]](2004~2011) || || [[김효남]] || 투수 || [[한국프로야구/2006년/신인드래프트|2006년 1차 지명]] ||건국대-[[삼성 라이온즈|삼성]](2006~2012)-[[LG 트윈스|LG]](2013~2014) || || '''[[전준우]]''' || 외야수 || [[한국프로야구/2008년/신인드래프트|2008년 2차 2라운드]] ||건국대-[[롯데 자이언츠|롯데]](2008~) || || [[정광섭(야구)|정광섭]] || 포수 || [[한국프로야구/2004년/신인드래프트|2004년 2차 6라운드]] ||[[삼성 라이온즈|삼성]](2004~2005)-[[두산 베어스|두산]](2006) || || [[차화준(1986)|차화준]] || 내야수 || [[한국프로야구/1990년/신인드래프트|2005년 2차 1라운드]] ||[[현대 유니콘스|현대]](2005~2007)-[[넥센 히어로즈|넥센]](2008~2012)-[[NC 다이노스|NC]](2013)-[[삼성 라이온즈|삼성]](2014~2017) || || [[이윤재(야구)|이윤재]] || 포수 || [[한국프로야구/2011년/신인드래프트|2011년 2차 7라운드]] ||경남대-[[SK 와이번스|SK]](2011~2018) || || '''[[권희동]]''' || 외야수 || [[한국프로야구/2013년/신인드래프트|2013년 9라운드]] ||경남대-[[NC 다이노스|NC]](2013~) || || [[김표승]] || 투수 || [[KBO 리그/2017년/신인드래프트|2017년 2차 4라운드]] ||[[SK 와이번스|SK]]/[[SSG랜더스|SSG]](2017~2021) || || [[박부성(내야수)|박부성]] || 내야수 || [[KBO 리그/2017년/신인드래프트|2017년 2차 5라운드]] ||[[LG 트윈스|LG]](2017~2020) || || [[장지훈(1997)|장지훈]] || 투수 || [[KBO 리그/2017년/신인드래프트|2017년 1차 지명]] ||[[삼성 라이온즈|삼성]](2017~) || || [[백현종(야구선수)|백현종]] || 포수 || [[KBO 리그/2020년/신인드래프트|2020년 2차 7라운드]] ||동강대-[[KIA 타이거즈|KIA]](2020~2022) || || [[이세호(1999)|이세호]] || 내야수 || [[KBO 리그/2022년/신인드래프트|2022년 2차 8라운드]] ||동아대-[[키움 히어로즈|키움]](2022~) || || [[이정원(야구선수)|이정원]] || 투수 || 2023년 [[육성선수]] 입단 ||연세대-[[두산 베어스|두산]](2023) || == 둘러보기 == [include(틀:삼성 라이온즈)]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고교야구]][[분류:경주시]][[분류:삼성 라이온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