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clearfix] == 개요 == >경평대항축구전을 통해 두 도시의 시민뿐 아니라 전 조선 민족이 축구의 재미를 알게 되었고, 자기 고장, 자기 팀에 대한 자부심도 느꼈다. 또한 조선 민족끼리 한 울타리 안에서 한 덩어리가 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어 경평전의 인기는 더욱 높아만 갔다.(중략) 전국의 온 국민이 열광하는 민족의 잔치였고 우리나라 축구 수준 향상의 촉진제 구실을 했다. >---- > - [[김용식(축구인)|김용식]] 선생 평전 '어떤 인생' 中 >휘문고보경기장에서 열린 2차전에 찾아온 관중은 무려 7,000명에 이르렀다. 1930년 펼쳐진 제2회 대회에서는 당일 혼잡을 피하기 위해 이례적으로 경성 시내 다섯 곳의 예매권 구입처까지 마련됐다. >---- > - [[조선일보]] 1929년 10월 10일, 1930년 11월 27일 경평대항축구전은 [[서울]]의 [[경성축구단]][* 1933년 5월 11일 창단된 서울 연고의 축구팀이며, 1917년에 창단한 불교청년회 축구단이 잠시 해단하다가 1925년 조선축구단으로 재창단되었고, 조선축구단에서 일부 선수와 운영진들이 나와서 같은 서울의 라이벌 경성축구단으로 합류했다.]과 [[평양]]의 [[평양축구단]][* 1918년 무오축구단으로 창단]의 도시대항 [[축구]]경기이다. '경평축구대항전', 짧게 경평전으로 불리며, 유럽 축구문화의 영향으로 '경평더비'라는 말로도 불리우고 있다. 수도와 제2의 도시 또한 지역 의식이 남달랐던 [[기호 지방]][* 서울, 경기도, 충청도 지방]과 [[평안도|관서지방]][* 평양, 평안도 지방]을 대표하는 양대 대도시 [[서울]]과 [[평양]]에 당시 [[조선]]의 최고 빅클럽들이 형성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한 양강 구도가 이루어지면서 이들 최고의 클럽들 대결에 조선 전체가 열광하는 흡사 지금의 유럽 프로축구 리그처럼 자연스러운 방향으로 클럽 축구가 발전하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어찌보면 분단이 없었고 이들의 라이벌리가 이어졌다는 가정이 성립될 경우, 탄생 배경 및 역사만 따지면 테헤란 더비 못지 않은 아시아 최고의 더비로 발전할 수 있었을 것이고, 현재 K리그의 가장 큰 아킬레스건으로 지적되는 지역 내 클럽의 지지 및 연계 부족이 해소될 가능성이 있었던 셈이다. == 역사 == 1929년 조선일보사에서 [[경성부|경성]](지금의 서울) 대 [[평양시|평양]]의 도시 대항전을 구상하고 같은 해 [[10월 8일]] [[휘문고등학교|휘문고보]] 운동장에서 제 1회 경평전을 개최한 것이 경평전의 시작이다. [[조선일보]]사의 적극적인 홍보와 서울-평양간의 [[라이벌]] 의식이 맞물리면서, 대회가 거듭될수록 서울, 평양 각 시민은 물론 전국민의 관심거리가 되었다. 당시에는 [[팀]] 대신 [[군]](軍)이라는 말을 사용하여 전경성군 대 전평양군 축구대항전이란 이름이 사용되었다. 경성군은 당시 [[축구]]의 명문 [[경신고등학교(서울)|경신중학]][* 축구부 1904년 창단] 중심으로, 평양군은 [[일본]]의 최강팀인 [[와세다대학]]을 7:0으로 물리쳐 이름을 날리던 [[숭실고등학교|숭실학교]][* 축구부 1911년 창단]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경평전은 [[1930년]] 제 2회 경평전을 끝으로 주최측인 [[조선일보]]사의 사정으로 [[1931년]]과 [[1932년]] 두 해 동안 열리지 않아, 사멸될 처지에 이르렀으나 [[1933년]] 4월에 평양축구단이 창단을 기념하여 경성대표를 초청함에 따라 경평전이 부활되었다. 그러나 경평전은 [[1935년]] 제4회 [[동대문운동장|경성운동장]]에서 마지막으로 치루어졌다. 경평전은 서울, 평양 이외에 다른 도시 축구팀의 성장에 힘입어 3도시대항축구전이나 전조선도시대항축구대회와 같은 도시대항 축구대회로 이어지지만 [[1942년]] [[일본 제국|일제]]의 구기종목 금지로 인해 모든 대회는 중단된다. [[1946년]] 해방 후 [[동대문운동장]]에서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경평전이 열렸다. [[1942년]] 이후 열리는 대회였기 때문에 시민들의 큰 관심과 열광적인 응원 속에서 진행되었지만 그 열기가 지나쳐 관중 난동이 벌어져 경찰이 공포탄을 쏘는 사태까지 벌어졌다(...) 설상가상으로 [[삼팔선]]으로 남북통행이 금지되면서 평양 선수들은 경비망을 뚫고 어렵게 내려왔던 것이었으며, 돌아갈때는 육로가 위험해 뱃길을 택해야만 했다. 그리고 다음 해에 서울 선수들을 초청하겠다는 그들의 약속은 [[남북분단]]으로 인해 지켜지지 못한 채 경평전은 무기한 중단되었다. === 이후 === 남북의 정치적 상황으로 인해 이들간의 교류는 쉽게 이루어지지 못했으며, 경평전 역시 그 명성만이 남은 채 재개되지 못하였다. 경평전의 주축이었던 [[경성축구단]]과 [[평양축구단]]은 해방 이후 각기 남북 국가대표팀의 모태가 되었다. 가난한 신생 독립국에 불과하던 [[대한민국]]과 [[북한]]이 각각 [[1954 FIFA 월드컵 스위스]] 16개국 본선에 진출[* 대한민국이 일본을 이기고 16개국 본선에 진출하였다.] 및 [[1966 FIFA 월드컵 잉글랜드]] 8강 8위에 진출할 수 있었던 것은, 이러한 역사가 있었기에 가능했던 것이다. 분단 이후 경평전은 사실상 [[대한민국]]과 [[북한]] 축구 [[국가대표]] 팀간의 경기가 승계하고 있는 상태이다. 남자 축구의 경우 한국 축구가 비약적으로 발전한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2002년 월드컵]] 이후에는 북한 대표팀이 대한민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체로 평가된다. 하지만 북한 대표팀도 남한을 상대로 할 경우 버프가 걸려서 실제로는 두 팀간의 객관적인 전력차이보다 팽팽한 경기가 진행된다.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2010년 남아공 월드컵]] 최종 예선에서 한 조에 편성되어 경기한 적이 있고 한국이 1승 1무로 우세했다. 그러나 북한은 아시아 예선에서 사우디 이란 등의 강팀을 제치고 조 2위로 2010월드컵 32개국 본선에 직행하는 파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그 다음으로 자주 마주치는 곳은 주로 [[동아시안컵]] 대회와 [[아시안 게임]]이다. [[2014 인천 아시안게임]] 축구 결승전에서 맞붙어 남한 대표팀이 1:0으로 승리한 바 있다. 동아시안컵에서도 맞붙어서 여러차례 경기한 바 있다. 북한 대표팀과의 경기를 뛰어본 대표팀 선수들의 인터뷰에 의하면 북한 선수들의 트래시 토킹이 대단한 모양이다. [[http://m.sports.naver.com/kfootball/news/read.nhn?oid=382&aid=0000613554|#]] 이렇듯 [[월드컵]]이나 [[올림픽]] 등의 지역 예선에서 남북이 마주치기는 했으나 국가대표로서 만난 것이었으며, 경평전과 같이 남북을 대표하는 도시 간의 정기적 경기는 부활하지 못했다. [[1990년]] [[10월 11일]]에는 평양에서, [[10월 23일]]에는 서울에서 남북통일축구대회라는 명칭으로, [[2002년]] [[9월 5일]]과 [[9월 8일]]에는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2002 남북통일축구경기라는 이름으로 경평축구의 맥을 잇는 축구대표팀 경기가 벌어지기도 하였다. === 미래의 가능성 === 향후 남북 통합리그가 출범하면 평양을 연고로 하는 [[최상급축구련맹전]]의 4.25 체육단이나 평양시 체육단이 [[K리그]]의 서울을 연고로 하는 [[FC서울]]이나 [[서울 이랜드 FC]]와 같은 리그에서 맞붙게 되어 1946년 이후 수 십 년만에 '''경평축구대항전'''의 명맥이 다시 이어지는 순간이 될 것이다. 국내 통합리그가 아닐 경우엔 국제대회에서 만나는 수 밖에 없는데 이 역시 현재는 요원한 상황이다. [[K리그]] 소속 서울 소재 프로 구단들은 아시아 정규 챔피언스 리그인 [[AFC 챔피언스 리그]]에 진출을 목표로 하지만 북한의 축구팀들의 경우 [[AFC컵]]에 [[https://www.yna.co.kr/view/AKR20190125143700504|진출하는데]] 이 두 대회 사이의 격차가 너무 커서 아예 연계조차 되지 않는지라 북한이 [[AFC 챔피언스 리그|아챔]]으로 올라오지 않는다면 국제대회 경평전도 기대하기가 힘들었다. 하지만 2021년 [[AFC 챔피언스 리그|아챔]]의 진출권 배분 개편에 따라 북한 [[최상급축구련맹전]]에게 1장이 주어져서, 2021년 부터 [[K리그]] 소속 서울 소재 프로 구단과 [[최상급축구련맹전]] 소속 평양 구단이 맞대결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그런데 정작 북한이 라이센스 충족에 실패하면서 2021시즌 진출권을 박탈당했다. == 역대 전적 == ||<-3><#ddd> '''{{{#000 종합 전적}}}''' || ||<#1e6bc0> '''{{{#fff 평양軍}}}''' ||<#fff> '''{{{#000 무}}}''' ||<#ae1932> '''{{{#ffffff 경성軍}}}''' || || '''{{{#f00 9}}}''' || '''7''' || '''{{{#ff0000 5}}}''' || == 유니폼 == [[경성축구단]]의 유니폼 색상은 [[빨간색]]이고, [[평양축구단]]의 유니폼은 [[파란색]]에 로마자 P자가 새겨진 유니폼이었다. [[https://en.wikipedia.org/wiki/Kyungsung_FC|경성축구단의 유니폼]], [[https://en.wikipedia.org/wiki/Pyongyang_FC|평양축구단의 유니폼]] 광복 및 남북분단 이후 각 도시가 수도인 남북한을 서로 병치시킬 때 남한을 파란색, 북한을 빨간색으로 하는 것과는 서로 반대이다. == 양 구단에서 모두 뛰었던 선수 == * [[김용식(축구인)|김용식]]: [[경성축구단|경성축구단 / 서울축구단]](1933~1937, 1946~1948) - [[평양축구단]](1946~1948) == 여담 == [[경성축구단]]은 1935년에 [[천황배 전일본 축구 선수권대회]](일본 FA컵)에서 우승한 적이 있다. [[2007년]] [[K3리그(2007~2019)|K3리그]]에 참가한 [[서울 노원 유나이티드 FC|서울 유나이티드 FC]]가 자칭 [[경성축구단]]의 가치를 계승한다며 창단되었다. == 둘러보기 == * [[더비 매치/대한민국/성년]] [[분류:조선일보]][[분류:경성축구단]][[분류:평양축구단]][[분류:대한민국의 더비 매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