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계명대학교]][[분류:공과대학]] [include(틀:상위 문서, top1=계명대학교/학부)] [Include(틀:계명대학교의 단과대학)] [목차] [Clearfix] == 공과대학 평가 인증 현황 == [include(틀:ABEEK 인증대학)] [include(틀:KAAB 인증대학)] == 소개 == 성서캠퍼스 가장 외지고 구석진 곳에 있는 공학관에 건축대와 함께 위치한 단과대학으로, [[공학교육인증]]과 더불어 타 단과대와 거리가 있어 타전공이나 교양 신청에 망설여진다는 우스갯소리가 있다. 성서캠퍼스 안쪽까지 들어가지 않는이상 잘 보이지도 않는다. 이 덕분인지 모르지만 그들만의 리그가 잘 열리는 특이한 단과대이기도 하다. [[꽃보다 남자(2009년 드라마)|꽃보다 남자]]의 경우 주요 촬영 장소는 성서캠퍼스의 사회대와 동산도서관를 중심으로 한 밝은 분위기였지만, 정작 공과대학은 입구중 가장 가깝다는 동문에서조차 10분 이상이 걸리는 위치에 존재한다. 덕분에 전공수업 바로 다음 시간이 사회관에서 진행되는 타전공이나 교양 수업이라면 지각하지 않고 시간에 맞춰 가기 위해선 수업이 마치는 순간부터 사회관까지 전력 질주를 해야된다.[* 물론 중앙도서관을 경우해 넘어가는 산길이 있긴 하지만 체력 소모 두배, 전력질주를 해도 지각하는 경우가 다반사라서 공대생에 한해 교수님께서 사정을 봐주는 경우가 많다. 이게 싫은 학생은 오토바이를 구입하기도 한다.] [[http://newcms.kmu.ac.kr/abeek/index.do|계명대학교 공과대학]] == 소속 학과 == === 건축토목공학부 === ==== 토목공학전공 ==== 계대 똥군기의 전설로, 학과 노래를 들어보면 오글거리기 짝이 없고 학과깃발이 따로있다. 16학번이 들어오면서 군기가 없어졌다 라고 머리도 박아본 적도 없는 새내기들이 오도된 토목과의 문화를 이야기 하고 있지만 "실상은 그렇지않다 실제로 토목과 관심학생이 제보하여 방송사에서도 취재가 오는 사건 이후에는 폭력적인 문화를 극단적으로 지양하고 있다. 오해하고 있는 것과 다르게 토목과에는 인텔리전트하고 온화한 성격의 소유자들이 대부분이며 또한 가정적이다." 라고 거짓말을 하지만 2022년 1학기에도, 그것도 심지어 학과 교수가 조교를 시켜 학부생들을 집합시킨 후 폭언한 사건이 터지는 등 토목공학과의 똥군기는 현재 진행형이다. 이따금 토목과 학생들이 불편한 진실을 지우고 "" 안의 부분만 남겨 놓는데, 저 말을 믿을 거라고 생각하는지 의심이 되는 부분. ==== 건축학전공 ==== ==== 건축공학전공 ==== === 전자전기공학부 === ==== 전자공학전공 ==== ==== 전기에너지공학전공 ==== === 컴퓨터공학부 === ==== 컴퓨터공학전공 ==== ==== 게임소프트웨어전공 ==== ==== [[디지펜 공과대학|디지펜]]게임공학전공 ==== 계명대에서 5학기, 미국 또는 싱가포르 [[디지펜 공과대학]]에서 4학기[* 총 4.5년 과정인 이유는, 한국은 봄에 교육과정을 시작하지만, 미국과 싱가포르는 가을에 시작하기 때문이다. 계명대에서 2년만 수학할 시 한 학기가 남게 되므로 한 학기를 후술할 Pre-디지펜이라는 학기로 운영하고 있다.]를 수강하여 졸업 기준을 충족하면 '''계명대 디지펜게임공학전공의 공학사와 디지펜 공과대학의 실시간 상호작용 시뮬레이션 컴퓨터과학사 (Computer Science in Real-Time Intereactive Simulation, RTIS)를 모두 받을 수 있다.''' 현재 계명대에서 가장 밀어주는 전공(학과) 중 하나이지만, 일부 장학금 수혜 가능자를 제외하면 해외 유학비는 온전히 본인의 몫이므로[* 학습을 온전히 마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디지펜에서 $50,000 이상이 있는 은행 계좌의 잔고 확인서를 요구한다. 물론 실제 학비는 이것보다 많이 들고, 여러 부대 비용까지 합치면 미국 디지펜에서 수학한다고 가정했을 때 2억이라는 비용이 나온다.] 자금의 부족으로 인해 디지펜을 포기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계명대에 입학하고 나서의 첫 학기를 Pre-디지펜 이라고 부르는데, 이 학기를 마치고 나서는 '''모든 수업이 영어로 이루어진다.''' 특히 전공 수업의 경우 미국 디지펜 본교에서 출장 나온 교직원들이 직접 강의하기 때문에 영어에 자신이 없거나 듣고 읽는 것이 어려울 경우 Pre-디지펜 학기때 많이 노력하여 어학 실력을 꼭 향상시켜야 한다. 디지펜 본교의 5년 과정을 한국 대학 교육과정에 맞추느라 4년 안에 때려넣어서 탄생한 살인적인 커리큘럼, 학비, 어학 능력 부족 등의 문제로 인해 중도포기자는 많은 편이지만, 온전히 프로그램을 마칠 경우 돌아오는 이득은 상당히 많은 편이다. 실제로 프로그램 졸업자들은 대부분 미국에서 취업한 상태이며, [[Microsoft]], [[Apple]] 등의 유수 IT 기업에 취업하는 것은 물론, 한 번 쯤은 들어봤을 국내외 거대 게임 개발사에서 활동하고 있으므로 과정을 온전히 마칠 수만 있다면 상당한 메리트가 될 수 있다. 디지펜 포기 신청서를 작성할 경우 전과하여 학적을 변경해야 한다. 컴퓨터공학과, 게임소프트웨어전공 전과의 경우 디지펜게임공학전공 학생들에게 우선권이 주어지고, 이외의 타과로 전과하는 경우는 우선권은 없지만 전과는 허용된다. === 도시학부 === ==== [[교통공학과|교통공학전공]] ==== ==== [[도시학과|도시계획학전공]] ==== ==== [[조경학과|생태조경학전공]] ==== === 기계자동차공학부 === ==== 기계공학전공 ==== 해당 과의 대표적인 동아리인 자작자동차 동아리 ‘속도위반’팀 이 ‘2011 대학생 자작자동차대회(KSAE Baja 2011)’에서 종합우승(KSAE Grand Prix)을 차지하였고 '속도위반'팀은 2004년부터 참가한 미국자동차공학회(SAE) 대회에서는 참가 첫 해 전 세계 137개 대학팀들과 경합을 벌여 28위를 기록해 많은 주목을 받은 바 있다. 2011년에는 우리나라 팀으로 유일하게 참가해 10위권의 성적을 거두는 등 지속적인 자작자동차 연구개발로 진보된 안전성과 기술력으로 세계 유수대학들과 경쟁하며 우리나라 자동차의 우수한 기술력을 널리 알리는 데 적극 앞장서고 있다. ==== 자동차공학전공 ==== === 로봇융합학부 === ==== 로봇공학전공 ==== ==== 스마트제조공학전공 ==== 2023년 신설 === 화공신소재공학부 === ==== 화학공학전공 ==== ==== 신소재공학전공 ==== === 산업공학과 === [[산업공학과]]에서 시작했으며, 해당 과를 졸업한 이정화 동문은 현재 [[독일]] [[베를린-보이트 기술대학교]]에서 교수로 근무하고 있다. 참고로 학사와 석사, 박사학위를 모두 계명대학교에서 받았다. 2023년 산업공학과로 명칭 변경된다. === 의용공학과 === 2022년 의과대학에서 공과대학으로 소속이 변경되었다. 총 5분의 교수님이 있다. 그 중 이종하 교수님은 [[계명대학교]] 내 최근 10년간 연구실적 1위, 특허실적 1위, 기술이전실적 1위등 엄청난 연구 실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종하 교수님의 인공지능 컴퓨터진단 연구실(AICD)는 2022년 [[한국연구재단]] 건강한연구실에 선정됨으로써 연구원의 복지와 실적을 동시에 달성하는 연구실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을 수상한 바 있다. === 실내환경디자인학과 (폐과) === 2015년 3월 모집중지 2021년 2월 폐지. === 전통건축학과 (폐과) === 2015년 3월 폐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계명대학교/학부, version=230, paragraph=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