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clearfix] == 개요 == 癸未東槎日記. [[조선]] [[인조]] 재위 시기에 [[일본]]에 다녀온 [[조선 통신사]] 일행이 쓴 사행 일기. 총 2권이며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가 소장하고 있다. == 내용 == 조선 인조 21년인 1643년 2월부터 11월까지 약 9개월간 일본 지역을 탐방하며 쓴 [[일기]]로, 당시 조선 통신사는 정사 윤순지(尹順之), 부사 조경(趙絅), 종사관 신유(申濡) 등으로 구성되었다. 당시 통신사들의 사행 목적은 표면적으로는 당대 [[쇼군]]이던 [[도쿠가와 이에미츠]]의 아들 [[도쿠가와 이에츠나]]의 생일 축하였으나, 실제로는 [[임진왜란]] 때 잡혀간 [[포로]]들의 쇄환(刷還) 임무, 일본의 해금정책에 대한 국정탐사, 양국간 너무 늘어나고 있는 무역량에 대한 논의, 중국 [[청나라]]의 압력에 대한 공동대응 등이었다. 일기의 내용은 임진왜란 때 잡혀간 조선인 포로 안경우(安慶佑)가 한국의 의술을 사용해 일본에서 300석의 녹을 먹고 있는 모습을 보고 황당해하는 내용이나 기타 일본 각 주의 상황, 일본 관리들의 녹읍 등에 대한 스파이 기록이다. 조경의 [[동사록]](東槎錄), 신유의 [[해사록]](海槎錄)과 같은 시기에 만들어진 일기이다. 앞의 두 책과 함께 1643년 조선 통신사의 모습을 연구하는데 중요하게 사용된다. 계미동사일기 원본은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으며, [[해행총재]]에도 그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 외부 링크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67060&cid=46622&categoryId=46622|한국민족문화대백과 : 계미동사일기]]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60846&cid=40942&categoryId=32892|두산백과 : 계미동사일기]]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40783&cid=49338&categoryId=49338|문화원형백과 : 계미동사일기]] [[분류:조선의 일기]][[분류:조선 통신사]][[분류:규장각 소장품]][[분류:서울특별시의 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