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미개통, 색=#FF0000, 노선명=서울강화고속도로, 공사구간=전, 공사진행상황=구상 중, 노선개통예정일=미정)] [include(틀:대한민국의 고속도로)] [목차] == 개요 == [[인천광역시]] [[계양구]] [[상야동]]에서 출발하여 [[경기도]] [[김포시]]를 거쳐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을 잇는 것으로 추진 중인 고속도로. [[국토교통부]]가 2017년 1월에 발표한 제1차 고속도로 건설 5개년 계획에 포함되었으며, 특히 민자사업으로 추진되는 [[경인고속도로]] 지하화 사업,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의 안산-인천 구간과, 재정사업으로 추진되는 [[서울양평고속도로]], [[서창장수고속도로]], [[울산외곽순환고속도로]], [[광주외곽순환고속도로]]의 금천-대덕 구간과 함께 중점적으로 추진되는 고속도로이다. 재정사업으로 추진되어 전액 국고 부담이다. 노선 번호는 미정이다. == 사업 구상 == 구상은 그래도 2001년부터 있었다. 국토부의 예비타당성조사에서 B/C=1.19값을 받아 이미 충분히 타당성이 있다는 평가를 받았으나, [[1997년 외환 위기]] 직후 잠정적 보류 상태에 있었다. 이후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의 인천~김포 구간이 개통되면서 다시 필요성이 제기되고, 제 1차 고속도로 건설 5개년 계획에 중점사업으로 포함되는 물론, [[문재인 정부]]의 경기도 공약 중 하나인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조성과 맞물리면서 급물살을 타게 될 예정이었다. == 서해안고속도로와의 연계 == 이미 예비타당성 조사에서 서해안고속도로의 연장선으로 취급받고 있다. 통일 이후 [[서해안고속도로]] 및 계양강화고속도로를 [[강화군]]을 넘어서 [[황해남도]] [[해주시]], [[장연군]], [[은율군]], [[평안남도]] [[남포시]], [[평원군(평안남도)|평원군]], [[안주시]]까지, 혹은 그 너머로 [[평안북도]]까지 연장하자는 제안도 있다. 자세한 내용은 [[남북통일/인프라 문제/교통]]와 [[서해안고속도로/통일 이후]] 문서를 참고할 것. === [[서해안고속도로]]와의 수도권 내 연결 문제 === [[파일:6b908f38-49f3-479e-9d28-32ae491b3cf6.jpg]] 계양강화고속도로 예비타당성 조사에 따르면 일부 구간을 지선화시키고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의 일부를 [[서해안고속도로|서해안선]]으로 지정하는 방법으로 계획 중이다. == 사업개요 == * 사업구간 : 인천광역시 계양구 계양동 ~ 인천광역시 강화군 * 총 연 장 : 33.6km * 총사업비 : 15,456억원 (전액 재정사업으로 추진) == 추진현황 == * 제1차 고속도로 건설 5개년 계획 반영 (남북 1축): '17.1 * 타당성검토: B/C 1.19 (2001년 예비타당성조사) * 문재인 대통령 경기도 공약에 포함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인천~개성~해주) * [[3기 신도시]] 계획으로 건설 추진에 탄력이 붙었다. * [[2020년]] [[8월 26일]] [[http://m.kyeongin.com/view.php?key=20200826010005729|계양 - 강화구간이 건설 사업이 기재부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했으며]] 호남고속도로 [[삼례IC|삼례]] - [[김제IC|김제]] 확장과, 제천영월고속도로와 함께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했다. * [[2023년]] [[1월 3일]] 국토교통부는 타당성 조사를 마무리하고 2025년에 착공하기로 했다.[[http://www.joongboo.com/news/articleView.html?idxno=363573075|#]] 공사기간은 7년 정도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 경유지 == [[인천광역시]] [[계양구]] - [[경기도]] [[김포시]] - [[인천광역시]] [[강화군]] == 노선 == * 기본 계획 상 나온 시설물로, 상세 명칭과 시설물 번호는 바뀔 수 있다. ||<-2> '''소재지''' || '''번호''' || '''이름''' || '''접속[br]노선''' || '''비고''' || ||<|4> [[인천광역시|인천]] ||<|4> [[계양구]] || || 계양JC ||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파일:Expressway_kor_130.svg|height=25]]]] || || || || 고촌JC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파일:Expressway_kor_100.svg|height=25]]]] || || || || 고촌TG || || || || || 풍무IC || || || ||<|5> [[경기도]] ||<|5> [[김포시]] || || 감정IC || || || || || 양촌IC || || || || || 통진JC ||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파일:Expressway_kor_400.svg|height=25]]]] || || || || 서암IC || [include(틀:노선번호/지방도, n=355)] || || || || 월곶IC || [include(틀:노선번호/국도, n=48)] || || ||<|2> [[인천광역시|인천]] ||<|2> [[강화군]] || || 강화TG || || || || || 강화IC || || || == 기대 효과 == 현재 버스의 경쟁력이 [[김포 골드라인]]에 밀려 철도 수요를 버스로 분산시키는 시도가 먹히지 않고 앞으로 [[김포시]] 인구가 더욱 늘어날 전망이라서 극심한 교통 불편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이 고속도로 사업이 그런 혼잡을 어느 정도 해소할 것으로 기대된다. [[강화군]]은 철도가 없고 버스도 완행 광역버스와 일반 시내버스만 있어 장거리를 대중교통으로 이동하기 어려웠다. 이 고속도로의 개통으로 새로운 광역버스 노선이 새로 개통한다면 관광객, 현지인 모두 이동이 편해질 것이다. 또한 자가용으로 강화군에서 타 지역으로 이동하기도 매우 수월해진다.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를 경유하면 [[중부내륙고속도로]]나 [[서울양양고속도로]] 등이 모두 수월하게 연결되기 때문. == 같이 보기 == * [[서해안고속도로]] * [[서해안고속도로/통일 이후]] [[분류:대한민국의 고속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