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경상북도 경산시 계양동, rd1=계양동(경산))] [include(틀:계양구의 법정동)] [목차] == 개요 == [[인천광역시]] [[계양구]]의 [[행정동]] 중 '''계양1, 2, 3동'''을 통틀어 부르는 말이다. '계양'은 [[부평]]의 옛 이름이며, [[계양산]]의 이름 또한 여기서 따온 것. [[일제강점기]] 이후 부천군 소속의 '''계양면'''으로 존재했었다가 [[1973년]] [[부천시|부천의 시 승격]] 이후 [[김포시|김포군]]으로 이관되었으며[* 이때 오정면도 김포군으로 같이 이관되었으나, 이쪽은 2년만인 1975년에 부천시로 재편입되었다. 하필, 현재의 [[오정동]]에 [[OBS]] 방송국이 있어서 인천인 줄 아는 사람이 많다(...)], 1979년경에는 인천시내통화권(032)에 편입되었고, [[1989년]]에 [[인천광역시|인천직할시]] [[북구]]로 편입(됨과 동시에 당시 [[리(행정구역)|리]]들이 모두 [[법정동|동]]으로 전환)되었다가 [[1995년]] [[부평구]], [[계양구]] 분구 이후 현재에 이르고 있다.현재 계양구 면적의 약 67%를 차지하는 광활한 면적에 19개의 법정동으로 구성된 거대동이다.[* 나머지 33% 지역에 계양구 인구의 80% 가까이가 몰려있기 때문에 인구밀도는 극히 낮다.] 이 지역의 동 이름은 임학, 병방, 박촌 정도를 제외하면 인지도가 극히 낮아 계양구민들도 모르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 지역 전체를 문서 제목처럼 계양동으로 퉁쳐서 부르는 경우가 많다. 또한 계산동 정도까진 3대 이상 살아온 인천 토박이 집안이 가끔 있으나 여기쯤 되면 매우 드물어진다. 서울이나 경기에서 넘어온 사람들이 대부분이기 때문. == 주요 시설 == === 교량 === * 백운교 * 벌말교 * 귤현대교 * 계양대교 * 다남교 * 목상교 === 교육 === ==== 초등학교 ==== * 인천계양초등학교 * 인천계양초등학교 상야분교장[* 인천 본토 내 유일한 분교다.] * 인천귤현초등학교 * 인천안산초등학교 * 인천병방초등학교 * 인천소양초등학교 * 인천양촌초등학교 * 인천당산초등학교 * 인천 성지 초등학교 ==== 중학교 ==== * [[계양중학교]] * [[임학중학교]] * 인천예일중학교 * [[인천양촌중학교]] * [[인천동양중학교]] * [[인천계수중학교]] * 계산중학교 * 인천안남중학교 * 서운중학교 * 계산여자중학교 * 북인천중학교 * 인천효성중학교 * 북인천여자중학교 ==== 고등학교 ==== * [[인천예일고등학교]] (남녀공학) * [[인천세원고등학교]] (여고) 고등학교의 경우(특히 남학생) 계양구 중심부까지 내려가는 경우가 많다. 특히나 귤현, 장기지구는 중학교부터 당장 원정을 가야 한다. ==== 특수학교 ==== * 인천인혜학교 == 교통 == === 철도 ===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 [[계양역]] * [[귤현역]] * [[박촌역]] * [[임학역]] * [[인천국제공항철도]] * [[계양역]] === 버스 === ==== 인천 면허 ==== ===== 지선 ===== * [[인천 버스 582]] * [[인천 버스 583]] * [[인천 버스 584]] * [[인천 버스 계양1]] * [[인천 버스 계양2]] * [[인천 버스 순환83]] ===== 간선 ===== * [[인천 버스 30]] * [[인천 버스 66]] * [[인천 버스 76]] * [[인천 버스 77]] * [[인천 버스 78]] * [[인천 버스 87]] * [[인천 버스 300]] ===== 급행 ===== * [[인천 버스 급행97]] ===== 광역 ===== * [[인천 버스 1100]] * [[인천 버스 1101]] * [[인천 버스 9500]] * [[인천 버스 9802]] ==== 경기도 면허 ==== ===== 일반 ===== * [[김포 버스 81]] * [[김포 버스 81-1]] * [[김포 버스 841]] * [[부천 버스 53]][* 임학지하차도앞사거리 정류장이 계양2동에 있는 정류장이다.] ===== 직행 좌석 ===== * [[고양 버스 1001]][* 상야동, 하야동 둘다 정차한다.] * [[김포 버스 9008]][* 상기 노선과 다르게 상야동만 정차한다.] ==== 시외버스 ==== * [[시외버스 3000(대원고속)]] * [[시외버스 3030]] * [[시외버스 5000]] == 계양1동 == ||<-2> '''[[계양구|{{{#000000,#dddddd 계양구}}}]]의 [[행정동|{{{#000000,#dddddd 행정동}}}]]'''[br]'''{{{+1 계양1동}}}'''[br]桂陽一洞 | Gyeyang 1(il)-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계양구 계양1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인천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계양구 || || '''행정표준코드''' || 3550030 || || '''관할 법정동'''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박촌동, 귤현동, 노오지동,[br] 선주지동, 이화동, 오류동,[br] 갈현동, 둑실동, 목상동,[br] 다남동, 장기동}}} || || '''하위 행정구역''' || 36통 145반 || || '''면적''' || 17.11㎢ || || '''인구''' || 20,000명[*A 2023년 3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밀도''' || 1,168.91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계양구 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이재명]] ,,(초선),, || ||<-2> '''인천광역시의원 | 제4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문세종 ,,(초선),, || ||<-2> '''계양구의원 | 라 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김경식 ,,(초선),,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문미혜 ,,(초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이상호 ,,(초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장기서로 8 (장기동 130) || || [[http://www.gyeyang.go.kr/open_content/dong/?dong=31|계양1동 행정복지센터]] || 법정동인 [[박촌동]] , [[귤현동]](일부), 노오지동, 선주지동, 이화동, 오류동, 갈현동, 둑실동, 목상동, 다남동, 장기동를 포함하는 넓은 지역이다. [clearfix] === 소속 법정동 === ==== [[박촌동]] ==== ==== [[귤현동]] ==== ==== 노오지동 ==== ||<-2> '''[[계양구|{{{#000000,#dddddd 계양구}}}]]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노오지동}}}'''[br]老吾地洞 | Nooji-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계양구 노오지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인천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계양구 || || '''행정표준코드''' || 2824511500 || || '''관할 행정동''' || 계양1동 || || '''면적''' || 0.51㎢ ||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와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가 만나는 [[노오지JC]]의 유래이다.[* 단, 실제 [[노오지JC]]는 귤현동에 소재한다.] 농경지로만 이루어진 행정구역이다. [clearfix] ==== 선주지동 ==== ||<-2> '''[[계양구|{{{#000000,#dddddd 계양구}}}]]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선주지동}}}'''[br]仙住地洞 | Seonjuji-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계양구 선주지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인천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계양구 || || '''행정표준코드''' || 2824511600 || || '''관할 행정동''' || 계양1동 || || '''면적''' || 1.35㎢ || 자연촌락과 경작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북쪽으로 [[김포시]] [[고촌읍]] 태리와 접한다. 지선버스 계양1번이 들어온다. [clearfix] ==== 이화동 ==== ||<-2> '''[[계양구|{{{#000000,#dddddd 계양구}}}]]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이화동}}}'''[br]梨花洞 | Ihwa-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계양구 이화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인천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계양구 || || '''행정표준코드''' || 2824511700 || || '''관할 행정동''' || 계양1동 || || '''면적''' || 1.54㎢ || 외곽으로 신동아파밀리에아파트 (통칭 장기지구 신동아 2차)아파트가 있으며, 대부분은 자연촌락을 중심으로 한 경작지대로 이루어져 있다. 북쪽으로 [[김포시]] [[고촌읍]] 태리와 접한다. 지선버스 계양1번이 이곳에서 회차한다. [clearfix] ==== 오류동 ==== ||<-2> '''[[계양구|{{{#000000,#dddddd 계양구}}}]]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오류동}}}'''[br]梧柳洞 | Oryu-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계양구 오류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인천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계양구 || || '''행정표준코드''' || 2824511800 || || '''관할 행정동''' || 계양1동 || || '''면적''' || 1.06㎢ || 가까이에 [[오류동(인천 서구)|서구 오류동]], 구로구 오류동이 있어 착오할 수도 있으니 주의. 외곽으로 신동아아파트(장기지구 내, 1차)가 존재하고, 대부분은 자연촌락을 중심으로 한 경작지이다. 북쪽으로 [[김포시]] [[풍무동]]과 접한다. 인지도가 매우 낮아 계양구 주민들도 오류동이라 하면 구로나 검단을 먼저 떠올린다. [clearfix] ==== 갈현동 ==== ||<-2> '''[[계양구|{{{#000000,#dddddd 계양구}}}]]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갈현동}}}'''[br]葛峴洞 | Galhyeon-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계양구 갈현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인천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계양구 || || '''행정표준코드''' || 2824511900 || || '''관할 행정동''' || 계양1동 || || '''면적''' || 1.47㎢ || 자연촌락과 농경지, 산야가 전부이다. 관내의 중심으로 [[드림로]]가 지나간다. 지선 계양2번과 [[인천 버스 583|583번]], 간선 [[인천 버스 76|76번]]이 지나간다. 일부가 [[경인 아라뱃길]]의 건설로 육로로는 갈 수 없는 [[실질월경지]]가 되었다. 북쪽으로 [[인천광역시]] [[서구(인천광역시)|서구]] [[당하동(인천)|당하동]]과 접한다. [clearfix] ==== 둑실동 ==== ||<-2> '''[[계양구|{{{#000000,#dddddd 계양구}}}]]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둑실동}}}'''[br]纛室洞 | Duksil-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계양구 둑실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인천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계양구 || || '''행정표준코드''' || 2824512000 || || '''관할 행정동''' || 계양1동 || || '''면적''' || 2.67㎢ || [[경인 아라뱃길]]로 중간이 끊어져서 서로 [[실질월경지]]가 되었다. 여담으로, 구역의 모습이 권총모양과 흡사하며 또한 [[서구(인천광역시)|서구]] 방면으로 튀어나온 곶과 같은 모양이다. 북쪽으로 [[인천광역시]] [[서구(인천광역시)|서구]] [[당하동(인천)|당하동]]과 접하고 남쪽으로는 [[서구(인천광역시)|서구]] 시천동과 접한다. 지선 계양2번이 이곳에서 회차한다. 최근 관광지로 유명해진 아라마루 전망대가 이곳에 있다. [clearfix] ==== 목상동 ==== ||<-2> '''[[계양구|{{{#000000,#dddddd 계양구}}}]]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목상동}}}'''[br]木霜洞 | Moksang-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계양구 목상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인천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계양구 || || '''행정표준코드''' || 2824512100 || || '''관할 행정동''' || 계양1동 || || '''면적''' || 2.19㎢ || 이곳도 다른 법정동처럼 영역이 [[경인 아라뱃길]]로 분리되었으나 목상교로 인하여 실질월경지가 되는 것은 피할 수 있었다. 이 지역 계양산 깊숙한 곳에 개 도살장이 있다고 한다. TV에도 방영된 적이 있다고. [clearfix] ==== 다남동 ==== ||<-2> '''[[계양구|{{{#000000,#dddddd 계양구}}}]]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다남동}}}'''[br]多男洞 | Danam-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계양구 다남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인천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계양구 || || '''행정표준코드''' || 2824512200 || || '''관할 행정동''' || 계양1동 || || '''면적''' || 2.75㎢ || 계양산 사면 산야와 농경지 자연촌락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경인 아라뱃길]]의 다남교의 남단이 이 곳에 위치한다. [[계양역]]에서 김포나 검단 방향으로 가는 버스를 자주 타는 통근객에게는 '''다남식당'''이라는 정류장 이름으로 들어봤음직하다. 그 인근에는 [[인천광역시]]에서 운영하고 있는 유기동물보호센터도 있다. 해당 유기동물 보호센터는 [[계양구]]에서 운영하고 있으며, 주로 인천시내에서 버려진 유기견, 유기묘를 임시로 보호하고 있는 장소로도 유명하다. [* 해당 사항은 SBS의 [[TV 동물농장]]에도 소개된 이력이 있던 것으로 보인다.] [clearfix] ==== 장기동 ==== ||<-2> '''[[계양구|{{{#000000,#dddddd 계양구}}}]]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장기동}}}'''[br]場基洞 | Janggi-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계양구 장기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인천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계양구 || || '''행정표준코드''' || 2824512300 || || '''관할 행정동''' || 계양1동 || || '''면적''' || 0.76㎢ || 옛 계양면 소재지이자 現 계양1동의 중심지[* 박촌동 제외. 박촌동은 동양동이나 병방동-계산택지와 더 친밀하다.]. 우시장(매월 3, 8, 13, 18, 23, 28)이 열려 황어장터, 황어장이라 불리며 장이 서는 곳이라 하여 유래된 지명이다. 지명에 걸맞게 황어장터삼일만세운동기념관이 존재한다. 계양1동주민센터와 장기119안전센터, 장기보건지소, 계양1동우체국이 위치한다. 관내에 인천계양초등학교와 특수학교인 인천인혜학교가 존재한다. 인접한 김포에 동명의 [[장기동(김포)|장기동]]이 존재한다. 직선거리로 [[주민센터]] 기준으로 약 9km. 거리가 상당한 지역에서 대리 운전을 요청하거나 택시를 타는 경우 기사님들이 혼동하는 경우가 상당히 있으니 [[김포시|'''김포''']] 장기동이 아닌 [[인천광역시|'''인천''']] 장기동이라고 말해주는 것이 좋다. 거기에 [[김포 버스 81]]과 [[김포 버스 81-1]]은 인천 장기동과 김포 장기동 둘 다 지나간다. [clearfix] === 시설 === ==== 교육 ==== * 인천소양초등학교 * 인천계양초등학교 * [[계양중학교]] * 인천인혜학교 ==== 교통 ====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인천국제공항철도]] [[계양역]] * [[경인 아라뱃길]] * 계양대교 * 다남교 * 목상교 == 계양2동 == ||<-2> '''[[계양구|{{{#000000,#dddddd 계양구}}}]]의 [[행정동|{{{#000000,#dddddd 행정동}}}]]'''[br]'''{{{+1 계양2동}}}'''[br]桂陽二洞 | Gyeyang 2(i)-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계양구 계양2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인천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계양구 || || '''행정표준코드''' || 3550031 || || '''관할 법정동''' || 임학동, 용종동, 병방동, 방축동 || || '''하위 행정구역''' || 61통 265반 || || '''면적''' || 4.14㎢ || || '''인구''' || 31,937명[*A] || || '''인구밀도''' || 7,714.25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계양구 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이재명]] ,,(초선),, || ||<-2> '''인천광역시의원 | 제4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문세종 ,,(초선),, || ||<-2> '''계양구의원 | 라 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김경식 ,,(초선),,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문미혜 ,,(초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이상호 ,,(초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장제로 853 (임학동 69-23) || || [[https://www.gyeyang.go.kr/open_content/dong/?dong=32|계양2동 행정복지센터]] || 임학동, 병방동 등으로 구성된 지역이다. 인천 도심의 북쪽 끝으로, 이 위부터는 소규모 택지지구만이 존재한다. [clearfix] === 소속 법정동 === ==== 임학동 ==== ||<-2> '''[[계양구|{{{#000000,#dddddd 계양구}}}]]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임학동}}}'''[br]林鶴洞 | Imhak-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계양구 임학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인천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계양구 || || '''행정표준코드''' || 2824510500 || || '''관할 행정동''' || 계양2동 || || '''면적''' || 0.57㎢ || 낙락장송 큰 나무가 많아 백로가 많이 서식 한 '''임학동''' 계양산 자락 구릉을 따라 지어진 택지 지역으로, 도로에 경사가 꽤 있는 편이다. 임학동과 [[용종동]]의 경계인 장제로 상에 [[인천 1호선]] [[임학역]]이 있다. 계양구의 주요 교통지점인 임학사거리도 이 곳의 이름에서 따왔다. 또한 계산택지의 일부분인 학마을이 인근 병방동에 존재하나, 지역 주민들에겐 임학동으로 통칭된다. [clearfix] 동명의 유래 임학동은 고성산성 밑이 되어 군대 막사가 있었으므로 예막골, 이막골 또는 임학골이라 하였다. 한편 이 마을이 백로의 서식지라서 소나무와 학을 상징하여 임학동이라 하였다. 소지명 ○ 이막골(예막골, 임학골) : 계양고성 밑의 마을로 옛날 이 곳에 막사가 있어 불린 지명 ○ 중두리봉, 중신봉 : 마리아 수녀회(임학동 33)가 있는 북쪽 뒷산 ○ 임학굴(큰굴) : 중신봉 서쪽 골짜기로서 올라가면 임학약수터가 있던 곳 지명의 연혁 ○ 1914. 4. 1.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부천군 계양면 임학리로 됨 ○ 1973. 7. 1. 경기도 김포군에 편입 ○ 1989. 1. 1. 인천직할시 북구 계양동에 편입 ○ 1992. 9. 1. 계양동이 계양1동과 계양2동으로 분동 ○ 1995. 1. 1 인천광역시 북구에서 계양구와 부평구로 분리되면서 계양구로 편입 ==== [[용종동]](일부) ==== [[서부간선수로]] 옆 농지다. [[비닐하우스]] 몇 채가 있는 농경지가 대부분이며 하천변으로 오래된 주택이 두어채 있다. ==== [[병방동]] ==== ==== 방축동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충청남도 아산시 방축동, rd1=방축동(아산))] ||<-2> '''[[계양구|{{{#000000,#dddddd 계양구}}}]]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방축동}}}'''[br]防築洞 | Bangchuk-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계양구 방축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인천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계양구 || || '''행정표준코드''' || 2824510800 || || '''관할 행정동''' || 계양2동 || || '''면적''' || 1.59㎢ || 한성아파트, 계양산대창센시티, 계양하늘채파크포레 아파트 단지가 있고, 계양구청소년수련관과 인천어린이과학관, 인천예일중학교, [[인천예일고등학교]][* 학교 밖을 나오면 바로 박촌동이기에 학교 역시 박촌동에 있는 걸로 아는 사람이 많다]가 위치한다. 대부분은 경작지와 산야로 인지도 있는 지명은 아니다. [clearfix] === 시설 === ==== 주거 ==== * [[코오롱글로벌]] [[계양 하늘채 파크포레]][*지역주택조합] : 2023년 4월 입주. == 계양3동 == ||<-2> '''[[계양구|{{{#000000,#dddddd 계양구}}}]]의 [[행정동|{{{#000000,#dddddd 행정동}}}]]'''[br]'''{{{+1 계양3동}}}'''[br]桂陽三洞 | Gyeyang 3(sam)-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계양구 계양3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인천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계양구 || || '''행정표준코드''' || 3550084 || || '''관할 법정동'''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동양동, 귤현동, 상야동,[br] 하야동, 평동}}} || || '''하위 행정구역''' || 40통 159반 || || '''면적''' || 9.81㎢ || || '''인구''' || 24,680명[*A] || || '''인구밀도''' || 2,515.80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계양구 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이재명]] ,,(초선),, || ||<-2> '''인천광역시의원 | 제4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문세종 ,,(초선),, || ||<-2> '''계양구의원 | 라 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김경식 ,,(초선),,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문미혜 ,,(초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이상호 ,,(초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양지로 31 (동양동 607-2) || || [[http://www.gyeyang.go.kr/open_content/dong/?dong=64|계양3동 행정복지센터]] || [clearfix] === 소속 법정동 === ==== [[동양동]] ==== ==== [[귤현동]](일부) ==== ==== 상야동 ==== ||<-2> '''[[계양구|{{{#000000,#dddddd 계양구}}}]]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상야동}}}'''[br]上野洞 | Sangya-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계양구 상야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인천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계양구 || || '''행정표준코드''' || 2824511200 || || '''관할 행정동''' || 계양3동 || || '''면적''' || 2.87㎢ || [[굴포천]] 상류쪽 마을을 윗벌말 또는 상야촌으로 불리다 유래된 지명이다. 대부분 경작지이고, 북동쪽의 하야동과의 경계에 자연촌락이 존재한다. 이 자연촌락에 인천 본토 유일의 분교인 인천계양초등학교 상야분교장이 위치한다. [[김포국제공항]]의 활주로 시설 일부가 이곳에 속한다.[* [[인천광역시|인천]]에 왜 김포공항 활주로가 있나 할 텐데, 여기는 과거 ''김포군'' 계양면 상야리였다. '''김포였을 때 김포공항의 일부'''가 김포의 영역에 들어온 게 이상할 것은 없다. 다만 상술한 것처럼 [[1973년]] 이전에는 ''부천군'' 영역이라...] 이 곳도 역시 [[경인 아라뱃길]] 건설의 영향으로 생긴 실질월경지가 존재한다. 김포공항 방면으로 [[서울특별시]] [[강서구(서울특별시)|강서구]] [[공항동|과해동, 오곡동]]과 마주보고 있다. 이름과는 달리 하야동의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clearfix] ==== 하야동 ==== ||<-2> '''[[계양구|{{{#000000,#dddddd 계양구}}}]]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하야동}}}'''[br]下野洞 | Haya-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계양구 하야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인천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계양구 || || '''행정표준코드''' || 2824511300 || || '''관할 행정동''' || 계양3동 || || '''면적''' || 0.82㎢ || 굴포천 하류쪽 마을을 아랫벌말 또는 하야촌으로 불리다 유래된 지명이다. 상야동과 마주보는 경계에 자연촌락이 있고 대부분은 경작지에 속한다. [[서울 지하철 9호선]]의 [[김포차량사업소]] 시설의 일부(축구장, 야구장, 풋살장 등)가 이곳에 속한다.[* 참고로 김포 차량사업소 내의 축구장과 풋살장은 [[강서구(서울)|강서구]] 관할 부지이다.] 남동쪽으로 [[서울특별시]] [[강서구(서울특별시)|강서구]] [[방화동|개화동]]과 접하고, 북동쪽으로 [[경기도]] [[김포시]] [[고촌읍]] 전호리와 접한다. '[[대통령]] 하야' 할 때의 [[하야]]와 한자가 같지만, 당연히 의미도 다르고 관계는 없다. 인천광역시의 극동지점이 위치하는 곳이다. 이름과는 달리 상야동의 위에 위치하고 있다. 방위가 아니라 굴포천이 흐르는 방향에 따라 지어진 이름이기 때문. [clearfix] ==== 평동 ==== ||<-2> '''[[계양구|{{{#000000,#dddddd 계양구}}}]]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평동}}}'''[br]坪洞 | Pyeong-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계양구 평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인천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계양구 || || '''행정표준코드''' || 2824511400 || || '''관할 행정동''' || 계양3동 || || '''면적''' || 0.65㎢ || 벌판이 많은 마을이라 하여 벌말로 불려왔으며 일제강점기 때 평뜨기(수확량 측정)를 많이 하였다하여 유래된 지명이다. [[경인 아라뱃길]]의 벌말교가 이곳의 옛 지명에서 유래된다. 대부분 경작지이고, 마을은 상야동, 하야동의 마을과 굴포천을 사이에 두고 마주본다. 이곳도 관내에 [[경인 아라뱃길]]이 관통하나 벌말교의 존재로 실질월경지가 되는 일은 피하였다. [clearfix] [각주][[분류:계양구의 행정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