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이산수학)] [목차] == 개요 == {{{+1 [[階]][[差]][[數]][[列]] / Difference sequence(progression)}}} '''계차수열'''은 [[수열]]의 인접한 두 항에 대하여, 뒤 항에서 앞 항을 뺀 값을 '''계차'''([[階]][[差]] / difference)라고 하는데, 원래 수열의 계차들을 항으로 하는 수열이다. 따라서 계차수열은 그 자체로 성립하지 않고 별도로 원래 수열의 존재를 전제해야만 성립하는 개념이다. 원래 수열의 계차수열의 계차수열을 원래 수열의 '''제2계 계차수열'''이라 하고, 제[math(m)]계 계차수열의 계차수열을 제[math((m+1))]계 계차수열이라 한다. == 상세 == 수열 [math(\{a_n\})]에 대하여 {{{#!wiki style="text-align: center;" [math(b_n=a_{n+1}-a_n)]}}} 이면 [math(b_n)]은 계차이고, [math(\{b_n\})]은 [math(\{a_n\})]의 계차수열이다. 여기에서 다음이 성립한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math(\begin{aligned}\cancel{a_2}-a_1&=b_1\\\cancel{a_3}-\cancel{a_2}&=b_2\\& \;\;\vdots\\\cancel{a_{n-1}}-\cancel{a_{n-2}}&=b_{n-2}\\+\qquad a_n-\cancel{a_{n-1}}&=b_{n-1}\\ \hline a_n-a_1&=\displaystyle\sum_{k=1}^{n-1}b_k\end{aligned})]}}} [math(a_{n})]에 대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math(n)]은 2 이상이어야 한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math(a_n=\displaystyle\sum_{k=1}^{n-1}b_k+a_1\;(n\geq 2) \, \cdots \, (\ast))]}}} 따라서 계차수열의 [[일반항]]을 안다면 원래 수열의 일반항 역시 알 수 있다. 계차수열의 일반항을 모른다면 제2계 계차수열 [math(\{c_n\})]의 일반항을 구해 보는 것이 하나의 방법이다. 이 경우 위와 마찬가지로 다음이 성립한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math(\begin{aligned}b_n&=\displaystyle\sum_{k=1}^{n-1}c_k+b_1\;(k\geq 2)\end{aligned})]}}} 이것을 식 [math((\ast))]에 대입하면, {{{#!wiki style="text-align: center;" [math(\begin{aligned} a_n&=\displaystyle\sum_{k=1}^{n-1}b_k+a_1\\&=\sum_{k=1}^{n-1}\left(\sum_{j=1}^{k-1}c_j+b_1\right)+a_1\;(k,\,n\geq 2)\end{aligned})]}}} 제3계, 제4계 계차수열에 대해서도 같은 방식을 얼마든지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제[math(m)]계 계차수열의 일반항을 알기 어렵다면 제[math((m+1))]계 계차수열의 일반항을 구해 보는 것이 하나의 방법이다. == 성질 == 수열 [math(\{a_n\})]의 일반항이 [math(r)]차 [[다항식]] {{{#!wiki style="text-align: center;" [math(a_n=c_rn^r+c_{r-1}n^{r-1}+\cdots+c_1n+c_0\;(r\neq 0))]}}} 이면 [math(\{a_n\})]의 계차수열 [math(\{b_n\})]의 일반항은 || [math(\begin{aligned}b_n&=a_{n+1}-a_n\\&=\{c_r(n+1)^r+c_{r-1}(n+1)^{r-1}+\cdots+c_1(n+1)+c_0\} \\ &\qquad \qquad -(c_rn^r+c_{r-1}n^{r-1}+\cdots+c_1n+c_0)\\&=(\cancel{c_rn^r}+c_rrn^{r-1}+\cdots)-(\cancel{c_rn^r}+\cdots)\end{aligned})] || 이와 같이 최고차항이 상쇄되므로 [math((r-1))]차 이하의 다항식이 된다(정확하게는 원래 다항식의 [[차분(연산자)|차분]]이 된다). 마찬가지로 계차수열을 구하는 과정을 반복하면 결국에는 일반항이 일차식인 [[등차수열]]이 나오며, 그 다음에는 모든 항이 그 등차수열의 공차인, 다시 말해 수열의 일반항이 상수인 수열이 나온다. 한번 항의 값이 일정한 수열이 나왔으므로 이후에는 계속해서 모든 항이 0인 수열만 나오는데, 다음 예를 통해 직관적으로 확인해 보자. ||
'''수열''' || '''항''' || '''일반항''' || '''비고''' || || 원래 수열 || [math(3,\,17,\,55,\,129,\,251,\,433,\,\cdots)] || [math(2n^3+1)] || 삼차식 || || 계차수열 || [math(14,\,38,\,74,\,122,\,182,\,\cdots)] || [math(6n^2+6n+2)] || 이차식 || || 제2계 계차수열 || [math(24,\,36,\,48,\,60,\,\cdots)] || [math(12n+12)] || 일차식([[등차수열]]) || || 제3계 계차수열 || [math(12,\,12,\,12,\,\cdots)] || [math(12)] || 상수식(일반항이 공차) || || 제4계 계차수열 || [math(0,\,0,\,\cdots)] || [math(0)] || 상수식(일반항이 0) || || 제5계 계차수열 || [math(0,\,0,\,\cdots)] || [math(0)] || 상수식(일반항이 0) || || [math(\vdots)] || [math(\vdots)] || [math(\vdots)] || [math(\vdots)] || == 계차수열로 원래 수열의 합 구하기 == [include(틀:토론 합의, this=문단, 토론주소1=LudicrousAxiomaticRebelliousGoose, 합의사항1='합의 기호를 이용하여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라는 표현을 ∴로 대치하지 않고 존치하기)] 어떤 수열 [math(\{a_n\})]과 그의 계차수열 [math(\{b_n\})]에 대하여, 앞서 밝혔듯이 {{{#!wiki style="text-align: center;" [br][math(a_n=a_1+\displaystyle\sum_{k=1}^{n-1}b_k\;(n\geq 2))]}}} 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
[math(\begin{matrix}&a_1&\!\!\!=\!\!\!&a_1\\&a_2&\!\!\!=\!\!\!&a_1&\!\!+\!\!&\!\!\!\!\!\!\!b_1\!\!\!\!\!\!\!\\&a_3&\!\!\!=\!\!\!&a_1&\!\!+\!\!&\!\!\!\!\!\!\!\!\!b_1\!\!\!\!\!\!\!\!\!&\!\!+\!\!&\!\!b_2\!\!\\\;&\vdots&&\!\!\vdots&&\vdots&&\vdots\\&a_{n-1}&\!\!\!=\!\!\!&a_1&\!\!+\!\!&\!\!\!\!\!\!\!\!\!b_1\!\!\!\!\!\!\!\!\!&\!\!+\!\!&\!\!b_2\!\!&\!\!+\!\!&\cdots&\!\!+\!\!&b_{n-2}\\\!\!+&a_n&\!\!\!=\!\!\!&a_1&\!\!+\!\!&\!\!\!\!\!\!\!\!\!b_1\!\!\!\!\!\!\!\!\!&\!\!+\!\!&\!\!b_2\!\!&\!\!+\!\!&\cdots&\!\!+\!\!&b_{n-2}&\!\!+\!\!&b_{n-1}\\\hline&\displaystyle\sum_{k=1}^na_k&\!\!\!=\!\!\!&na_1&\!\!+\!\!&\!\!(n-1)b_1\!\!&\!\!+\!\!&\!\!(n-2)b_2\!\!&\!\!+\!\!&\cdots&\!\!+\!\!&2b_{n-2}&\!\!+\!\!&b_{n-1}\end{matrix})] || 결과를 [[수열#s-2.4|합의 기호]]를 이용하여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br][math(\displaystyle\sum_{k=1}^na_k=na_1+\sum_{k=1}^{n-1}(n-k)b_k\;(n\geq 2))]}}} 혹은 다음과 같이 해석할 수도 있다. ||
[math(\begin{matrix}&{\color{dodgerblue}a_1}&\!\!\!\!=&\!\!\!\!\!{\color{dodgerblue}a_1}\!\!\!\!&&\!\!\!{\color{red}b_1}\!\!&\!\!\!\!\!\!\!{\color{red}+}\!\!&\!\!\!\!{\color{red}b_2}&\!\!\!\!\!\!\!\!{\color{red}+}\!\!&{\color{red}\cdots}&\!\!{\color{red}+}\!\!&\!\!\!\!{\color{red}b_{n-2}}&\!\!\!{\color{red}+}\!\!&\!{\color{red}b_{n-1}}\\&{\color{dodgerblue}a_2}&\!\!\!\!=&\!\!\!\!\!{\color{dodgerblue}a_1}\!\!\!\!&\!\!{\color{dodgerblue}+}\!\!&\!\!\!{\color{dodgerblue}b_1}\!\!&&\!\!\!\!{\color{red}b_2}&\!\!\!\!\!\!\!\!{\color{red}+}\!\!&{\color{red}\cdots}&\!\!{\color{red}+}\!\!&\!\!\!\!{\color{red}b_{n-2}}&\!\!\!{\color{red}+}\!\!&\!{\color{red}b_{n-1}}\\&{\color{dodgerblue}a_3}&\!\!\!\!=&\!\!\!\!\!{\color{dodgerblue}a_1}\!\!\!\!&\!\!{\color{dodgerblue}+}\!\!&\!\!\!{\color{dodgerblue}b_1}\!\!&\!\!\!\!\!\!\!{\color{dodgerblue}+}\!\!&\!\!\!\!{\color{dodgerblue}b_2}&&{\color{red}\cdots}&\!\!{\color{red}+}\!\!&\!\!\!\!{\color{red}b_{n-2}}&\!\!\!{\color{red}+}\!\!&\!{\color{red}b_{n-1}}\\\;&{\color{dodgerblue}\vdots}&&\!{\color{dodgerblue}\vdots}&&\!\!\!{\color{dodgerblue}\vdots}&&\!\!\!\!\!\!{\color{dodgerblue}\vdots}&&\vdots&&\!\!{\color{red}\vdots}&&{\color{red}\vdots}\\&{\color{dodgerblue}a_{n-1}}&\!\!\!\!=&\!\!\!\!\!{\color{dodgerblue}a_1}\!\!\!\!&\!\!{\color{dodgerblue}+}\!\!&\!\!\!{\color{dodgerblue}b_1}\!\!&\!\!\!\!\!\!\!{\color{dodgerblue}+}\!\!&\!\!\!\!{\color{dodgerblue}b_2}&\!\!\!\!\!\!\!\!{\color{dodgerblue}+}\!\!&{\color{dodgerblue}\cdots}&\!\!{\color{dodgerblue}+}\!\!&\!\!\!\!{\color{dodgerblue}b_{n-2}}&&\!{\color{red}b_{n-1}}\\\!\!+\!\!\;&{\color{dodgerblue}a_n}&\!\!\!\!=&\!\!\!\!\!{\color{dodgerblue}a_1}\!\!\!\!&\!\!{\color{dodgerblue}+}\!\!&\!\!\!{\color{dodgerblue}b_1}\!\!&\!\!\!\!\!\!\!{\color{dodgerblue}+}\!\!&\!\!\!\!{\color{dodgerblue}b_2}&\!\!\!\!\!\!\!\!{\color{dodgerblue}+}\!\!&{\color{dodgerblue}\cdots}&\!\!{\color{dodgerblue}+}\!\!&\!\!\!\!{\color{dodgerblue}b_{n-2}}&\!\!\!{\color{dodgerblue}+}\!\!&\!{\color{dodgerblue}b_{n-1}}\\\hline&{\color{dodgerblue}\displaystyle\sum_{k=1}^na_k}&\!\!\!\!=&\!\!\!\!\!na_n\!\!\!\!&\!\!-\!\!&\!\!\!{\color{red}\{b_1}&\!\!\!\!\!{\color{red}+}&\!\!\!\!{\color{red}2b_2}&\!\!\!\!\!\!{\color{red}+}&{\color{red}\cdots}&{\color{red}+}&\!{\color{red}(n-2)b_{n-2}}&\!{\color{red}+}&\!{\color{red}(n-1)b_{n-1}\}}\end{matrix})] || 위 식의 결과를 합의 기호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br][math({\color{dodgerblue}\displaystyle\sum_{k=1}^na_k}=na_n-{\color{red}\displaystyle\sum_{k=1}^{n-1}kb_k}\;(n\geq 2))]}}} 어떤 방식으로 공식을 유도하든 값은 같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math(\begin{aligned}na_1+\displaystyle\sum_{k=1}^{n-1}(n-k)b_k&=na_1+n\sum_{k=1}^{n-1}b_k-\sum_{k=1}^{n-1}kb_k\\&=na_1+n(a_n-a_1)-\sum_{k=1}^{n-1}kb_k \\&=na_n-\displaystyle\sum_{k=1}^{n-1}kb_k\end{aligned})]}}} == 교육과정 == * [[대한민국]]: 계차수열은 원래 [[2007 개정 교육과정]]의 [[수학Ⅰ]]에서 고2~고3 때 인문·자연 공통으로 학습하던 내용이었으나,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삭제된 이래로 교육과정에 등장하지 않고 있다. 다만 수열의 귀납적 정의 문제 유형으로써는 계속 모습을 비추고 있다. 수열의 귀납적 정의 단원의 특성상 활용 가능성이 매우 무궁무진하기 때문. 조화수열, 계비수열 등과 함께 단골로 출제되기에 어지간해선 공부해놓는 학생들이 많다. 공부해놓으면 귀납적 정의 문제를 상당히 빠르게 풀어낼 수 있기 때문에 유용하다. [[분류:수열]][[분류:수학 용어]][[분류:한자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