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북제 황제)]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AF0D1 0%, #AAF0D1 20%, #AAF0D1 80%, #AAF0D1)" '''{{{#black 북제 명목상 7대 황제}}}[br]{{{#black {{{+1 任城王 | 임성왕}}}}}}'''}}} || || '''[[묘호|{{{#black 묘호}}}]]''' ||<(> 없음 || || '''[[시호|{{{#black 시호}}}]]''' ||<(> 없음 || || '''[[성씨|{{{#black 성}}}]]''' ||<(> 고(高) || || '''[[휘|{{{#black 휘}}}]]''' ||<(> 개(湝) || || '''[[자(이름)|{{{#black 자}}}]]''' ||<(> 불명 || || '''{{{#black 부황}}}''' ||<(> [[고환(남북조시대)|신무제]](神武帝) || || '''{{{#black 모후}}}''' ||<(> 소이주씨(小爾朱氏) || || '''{{{#black 생몰}}}''' ||<(> 538년 ~ 578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고개(高湝, 538년 ~ 578년)는 [[남북조시대]] [[북제]]의 황족이자 명목상 황제. [[고환(남북조시대)|고환]]의 10남으로 모후는 소이주씨(小爾朱氏)이다. == 생애 == 550년, [[고양(북제)|문선제]]가 즉위하자 임성왕(任城王)으로 봉해졌다. 이후 [[고연]], [[고담(북제)|고담]]의 치세에는 진양(晋陽, 북제의 부도/副都)에 머무르며 병주(幷州)의 사무를 담당했다. 이후 [[상서복야|상서좌복야]], [[사도]], [[태위]], [[대장군]], [[사마|대사마]]를 거쳐 567년 정평군공(正平郡公)으로 책봉되었다. 570년, 태재(太宰)가 되었고 572년엔 [[승상|우승상]], [[도독]], 청주자사(青州刺史)를 역임했다. 574년 최울파(崔蔚波)의 반란을 진압한 공로로 좌승상 및 영주자사(瀛州刺史)에 임명되었다. 573년, [[남조]]의 [[진나라|진(陳)]]이 북제를 공격해 9군(郡)을 빼앗겼으며 575년 [[우문옹]]의 치명타로 북제는 존립의 위기에 처했다. 이 시기 고개는 대승상이 되었으며 576년, 당시 황제 [[고위]]가 진양을 버리고 도주하자 진양에 남아있던 신하들은 [[고연종]]을 황제로 추대, 고연종이 고개에게 합류를 제안했으나 고개는 거부하였다. 이후 고연종이 북주군에게 패하고 수도인 업성까지 쫓아오자 정제(正帝) 고위는 [[고항(북제)|고항]]에게 양위하였으나 고항은 20일 만에 고개에게 양위하였다. 이후 고개의 정식 즉위를 위해 곡률효경(斛律孝卿)에게 옥새와 양위 문서를 전달하게 하였으나 곡률효경이 북주에 투항하여 고개는 정식 제위에 오르지 못했다. 이후에도 고개는 조카 고효형(高孝珩) 함께 기주(冀州)에서 남은 세력을 모아 북주군에 맞섰으나 우문헌(宇文憲)에게 패해 포로로 붙잡혔고, 578년 고항과 함께 처형되었다. == 참고 항목 ==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718907&cid=40942&categoryId=34305|고개]] [[분류:남북조시대의 추존 황제]][[분류:538년 출생]][[분류:578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