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 * 1967년대의 자동차 경주 애니메이션 - [[마하 GoGoGo]] * 네이버의 웹툰 - [[고고고(웹툰)]] [include(틀:유희왕/OCG/테마)] || '''{{{#!html고고고 관련 틀}}}'''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0px" ---- [include(틀:유희왕 시리즈 주인공들의 카드군)] ---- [include(틀:유토피아 관련 카드군)] ---- [include(틀:츠쿠모 유마 덱 관련 문서)] }}}}}}}}} || ||<:><-6>
'''{{{#!html 고고고}}}''' || ||<-6><:>{{{#!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ogogo.png|width=100%]]}}}|| || '''{{{#393558 한국어판 명칭}}}''' ||<-5><#fff> '''고고고''' || || '''{{{#111 일어판 명칭}}}''' ||<-5><#fff> '''ゴゴゴ''' || || '''{{{#111 영어판 명칭}}}''' ||<-5><#fff> '''Gogogo''' || ||<-2> '''{{{#111 속성}}}''' ||<-2> '''{{{#111 종족}}}''' ||<-2> '''{{{#111 관련 카테고리}}}''' || ||<-2><^|1><#fff> [[유희왕/속성|땅]][* 고고고 고스트는 어둠 속성, 고고고로도 취급하는 희망황 오노마토피아는 빛 속성이다.] ||<-2><^|1><#fff> [[암석족]][* 고고고 고스트는 언데드족, 희망황 오노마토피아는 전사족이다.] ||<-2><^|1><#fff> 효과 || [목차] == 개요 == [[유희왕 ZEXAL]]에서 [[츠쿠모 유마]]가 사용한 카드군. 언데드족인 고고고 고스트를 제외한 모든 몬스터가 암석족이다. [[카미시로 료가]]와 듀얼할 때에는 항상 나오며, 벽 역할을 맡는 경우가 많아 많이 파괴되는 카드군이기도 하다. 처음 나온 고고고 골렘을 제외한 모든 몬스터들은 묘지에서의 특수 소환을 통해 빠른 랭크 4 [[엑시즈 소환]]을 노리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그 외의 특징으로는 "고고고"를 제외한 몬스터의 이름 부분은 전부 영어 G로 시작한다는 것이 있다. 참고로 발매된 카드들의 레어도가 전부 [[레어]]다. 다만 고고고 고스트가 TCG판에서는 [[노멀]]이다. 그리고 유마의 메인 덱 카드군 중 [[No.55 고고고 골라이어스|OCG 오리지널 No.]]가 있는데, [[주바바]]나 엑시즈 몬스터가 아예 없는 [[도도도]]는 그렇다 쳐도 유마의 덱에서 제일 큰 비중을 차지하는 [[가가가]] 조차 넘버즈는 없단 걸 감안하면 의외의 쾌거. == 효과 몬스터 == === 레벨 4 === ==== [[고고고 골렘]] ==== ==== 고고고 자이언트 ==== [[파일:ゴゴゴジャイアント.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고고고 자이언트, 일어판명칭=ゴゴゴジャイアント, 영어판명칭=Gogogo Giant, 레벨=4, 속성=땅, 종족=암석족, 공격력=2000, 수비력=0, 효과1=①: 이 카드가 일반 소환에 성공했을 때\, 자신 묘지의 "고고고"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그 후\, 이 카드는 수비 표시가 된다., 효과2=②: 이 카드는 공격했을 경우\, 배틀 페이즈 종료시에 수비 표시가 된다.)] 23화에서 등장. 한국, 일본판 공통으로 외치는 등장 시 대사는 '[[고자|고~자~]]'~~[[심영(야인시대)|뭐요?]]~~ 유마의 카드이기는 하지만 사실 효과나 공격력을 보면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와 더 어울릴 것 같다. 2000짜리 1회용 어태커로 쓰던가, 레벨 4 엑시즈 소환을 하던가 맘대로 하자. 하급이면서 2000이기 때문에 [[이블 히어로 다크 가이아]]의 융합 소재로 쓰기 좋다. 원작에서는 공격시 수비 표시가 되는 효과가 없었지만 그대로 출시하면 레벨 4, 공격력 2000의 메리트 어태커가 되기 때문에 디메리트가 붙은 듯 하다 [[가가가]] 덱에서 [[오노마토페어]]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가장 많이 투입하는 용병이기도 하다. 자기 자신도 묘지에서 퍼와 엑시즈 소환도 가능하고 여차하면 어태커로 사용할 수 있어 여러모로 유용하기 때문.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오더 오브 카오스]] || ORCS-KR004 ||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스타터 덱 2012]] || ST12-KR007 || [[노멀]] || 한국 || || || [[듀얼리스트 팩]] -[[츠쿠모 유마|유마]]편 2 고고고&도도도- || DP14-KR002 ||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오더 오브 카오스|ORDER OF CHAOS]] || ORCS-JP004 ||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수록 || || [[스타터 덱 2012|STARTER DECK 2012]] || ST12-JP007 || [[노멀]] || 일본 || || || [[듀얼리스트 팩]] -[[츠쿠모 유마|유마]]편 2 고고고&도도도- || DP14-JP002 || [[레어]] || 일본 || || || [[오더 오브 카오스|Order of Chaos]] || ORCS-EN004 ||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수록 || || [[스타터 덱 2012|Starter Deck: Xyz Symphony]] || YS12-EN007 || [[노멀]] || 미국 || || || [[Number Hunters]] || NUMH-EN020 || [[슈퍼 레어]] || 미국 || || ==== 고고고 고스트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0122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고고고 고스트, 일어판명칭=ゴゴゴゴースト, 영어판명칭=Gogogo Ghost, 레벨=4, 속성=어둠, 종족=언데드족, 공격력=1900, 수비력=0, 효과1=이 카드가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 자신의 묘지의 "고고고 골렘" 1장을 선택하고 앞면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그 후\, 이 카드는 수비 표시가 된다. "고고고 고스트"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월드 듀얼 카니발]]에서 [[카미시로 료가]]와의 준결승전 때 등장한 고고고 몬스터. 일반 소환된 다음 턴에 [[No.32 샤크 드레이크]]에게 파괴당하여 다시 부활하지만, 이를 트리거로 삼아서 고고고 골렘을 부활시키고 수비 표시가 되면서 후속 데미지를 막아냈다. 앞의 두 고고고 몬스터가 땅 속성의 암석족이었는데 이 카드만 어둠 속성의 언데드족이라 붕 뜬 느낌이 없지 않아 있지만 말장난만큼은 제대로 들어간 카드. 일반 소환시에 발동하는 고고고 자이언트의 효과와는 반대로 특수 소환시 효과를 발동하여 묘지의 몬스터를 소환해주는데, 모든 고고고 몬스터들을 커버해주던 고고고 자이언트와는 달리 특수 소환되는 몬스터가 고고고 골렘으로 한정되어 있다. 원작 재현이라는 의미도 있겠지만 고고고 자이언트처럼 고고고 몬스터를 전부 커버하면 자기 효과로 3장이 한꺼번에 소환될지도 모르는데다 '고고고 고스트를 제외한'이라는 제한을 붙여서 그런 불상사를 막는다고 해도 이번에는 고고고 골렘을 빼고 이 카드와 고고고 자이언트만 넣어 굴리는 사태가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에 이를 막기 위한 의미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덱에 넣어 사용할 경우 고고고 자이언트의 효과로 특수 소환되어 묘지의 고고고 골렘을 불러오는 사용법이 가장 유력하다. 이 경우 한번의 일반 소환으로 필드에 레벨 4 몬스터가 3장 모이기 때문에 [[엑시즈 소환]]을 하기에는 아주 좋다. 또한 고고고와는 상관없이 공격력이 우수하므로 그냥 [[언데드족]]의 하급 비트 일원으로 써도 좋다. 그 경우에는 [[암룡의 흑기사]]가 있긴 하지만 저쪽은 빛 속성이고 이 카드는 어둠 속성에 수비력이 0이라는 점으로 차별화 할 수 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우주의 섬광]] || CBLZ-KR002 ||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듀얼리스트 팩]] -[[츠쿠모 유마|유마]]편 2 고고고&도도도- || DP14-KR003 || [[노멀]] || 한국 || || || [[우주의 섬광|COSMO BLAZER]] || CBLZ-JP002 ||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듀얼리스트 팩]] -[[츠쿠모 유마|유마]]편 2 고고고&도도도- || DP14-JP003 || [[노멀]] || 일본 || || || [[우주의 섬광|Cosmo Blazer]] || CBLZ-EN002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고고고 기가스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4680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고고고 기가스, 일어판명칭=ゴゴゴギガース, 영어판명칭=Gogogo Gigas, 레벨=4, 속성=땅, 종족=암석족, 공격력=0, 수비력=2200, 효과1=이 카드가 묘지에 존재하고\, 자신이 "고고고"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의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 이 카드를 묘지에서 앞면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고고고 기가스"의 효과는 1턴에 1번 밖에 사용할 수 없다. 이 효과를 발동한 턴\, 자신은 배틀 페이즈를 실행할 수 없다.)] 다른 고고고 몬스터들과는 달리, 자기가 소환에 성공했을 때 고고고를 불러내는 것이 아니라 고고고가 불려 나왔을 때 특수 소환되는 카드. 이 덕분에 다른 고고고 몬스터의 효과의 뒤를 이어 튀어나온 뒤 소재 3개 이상의 [[엑시즈 소환]]을 무리 없이 할 수 있게 해주며, 다른 서포트 카드까지 총동원하면 필드를 레벨 4 몬스터로 꽉 채워버리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효과를 발동한 턴에는 배틀 페이즈를 실행할 수가 없으니, 공격을 안 하고도 효율을 뽑을 수 있는 엑시즈 몬스터를 노려야 할 듯. 그러나 [[도도도 드워프-GG]]가 출시되면서 엑시즈 소재 용도로 이 카드를 사용할 일은 이제 없을 것으로 추정된다. 원작에서는 [[후마(유희왕)|후마]]와의 듀얼에서 사용. 방어벽으로 세트해두었다가 오버레이 제로 버스터에 파괴당했지만, [[핀포인트 가드]]의 효과로 다시 부활하여 [[CX 기장마인 엔제너럴]]의 직접 공격을 막아냈다. 여기에서는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한, 자신 몬스터는 공격 선언을 실행할 수 없다."는 디메리트 효과만 있었으며, 작중에서는 효과를 전혀 설명하지 않았기 때문에 텍스트상로만 확인할 수 있다. ZEXAL 출신 카드 중에서는 이례적으로 크게 상향된 경우로, 배틀 페이즈를 실행할 수 없다는 디메리트는 원작 효과의 잔재이다. 여담으로 듀얼링크스에서 [[유마&아스트랄(유희왕 듀얼링크스)|유마&아스트랄]]로 이 카드로 공격 선언할 때 나오는 아스트랄의 대사가 일품이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로드 오브 더 타키온 갤럭시]] || LTGY-KR002 ||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듀얼리스트 팩]] -[[츠쿠모 유마|유마]]편 2 고고고&도도도- || DP14-KR004 || [[노멀]] || 한국 || || || [[로드 오브 더 타키온 갤럭시|LORD OF THE TACHYON GALAXY]] || LTGY-JP002 ||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듀얼리스트 팩]] -[[츠쿠모 유마|유마]]편 2 고고고&도도도- || DP14-JP004 || [[노멀]] || 일본 || || || [[로드 오브 더 타키온 갤럭시|Lord of the Tachyon Galaxy]] || LTGY-EN002 ||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수록 || ==== [[고고고 골렘-GF]] ==== ==== 고고고 고람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5946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고고고 고람, 일어판명칭=ゴゴゴゴラム, 영어판명칭=Gogogo Goram, 레벨=4, 속성=땅, 종족=암석족, 공격력=2300, 수비력=0, 효과1=①: 이 카드가 일반 소환 / 반전 소환 /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에 발동한다. 이 카드의 표시 형식을 변경한다., 효과2=②: 필드의 이 카드가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한다. 덱에서 "고고고"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낸다.)] V점프 에디션에 동봉된 OCG 오리지널 고고고. 효과 자체는 이 카드의 무식한 공격력 때문에 붙은 제한이지만, 고고고 자이언트를 사용해서 묘지에서 특수 소환을 한다면, 자신의 효과로 표시 형식이 변경되어서 공격 표시로 불러낼 수 있다.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때 발동하는 매장 효과는 고고고 기가스나 고고고 고스트를 매장하는 걸 추천. 또한, 수비력이 고고고 자이언트와 같은 0이기에 [[가면레온]]의 효과로 특수 소환해 함께 사용할 수도 있으니 고고고 자이언트와 함께 싱크로 소재로도 사용도 가능. 물론 효과는 무효화되기에 표시 형식 변경 효과는 사용할 수 없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V JUMP EDITION 10 || VE10-JP003 || [[울트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수록 || || [[넥스트 챌린저스|The New Challengers]] || NECH-EN094 ||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고고고 아리스테라&데크시아]] ==== ==== [[희망황 오노마토피아]] ==== ==== [[도도도 드워프-GG]] ==== == 엑시즈 몬스터 == === 랭크 4 === ==== [[No.55 고고고 골라이아스]] ==== OCG 오리지널 [[No.(유희왕)|No.]] 카드다. == 마법 카드 == === 고고고 호부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4676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지속=, 한글판명칭=고고고 호부, 일어판명칭=ゴゴゴ護符(ごふ), 영어판명칭=Gogogo Talisman, 효과1=자신이 필드 위에 "고고고"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가 2장 이상 존재할 경우\, 자신이 받는 효과 대미지는 0이 된다. 또한 1턴에 1번\, 자신 필드 위에 "고고고"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가 전투를 실행하는 공격 선언시에 발동할 수 있다. 그 자신의 몬스터는 그 전투에 의해서는 파괴되지 않는다.)] 고고고 지원 카드로, 증식 및 버티기가 쉬운 고고고의 벽을 더욱 단단하게 해주는 카드. 다만 증식된 고고고들은 보통 버티지 않고 바로 엑시즈 소재가 될 것이니 효율은 미지수다. 마법 카드여서인지 G자로 시작하는 고고고의 특징에서 벗어나 있는 듯 하지만... 사실 한자 "호부"를 일본어 발음 그대로 영어로 쓰면 "Gofu"로 전통에 맞아 떨어진다. 원작에서는 고고고 몬스터가 필드에 존재하지 않는다면 자괴하는 디메리트가 있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듀얼리스트 팩]] -[[츠쿠모 유마|유마]]편 2 고고고&도도도- || DP14-KR026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듀얼리스트 팩]] -[[츠쿠모 유마|유마]]편 2 고고고&도도도- || DP14-JP026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더 시크릿 오브 에볼루션|Secrets of Eternity]] || SECE-EN098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수록 || == 관련 카드 == === [[희망향-오노마토피아-]] === === [[오노마토페어]] === === [[가 도 고!]] === === [[주바바 반쵸-GC]] === [각주] [[분류:유희왕/OCG/카드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