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 {{{#ffffff '''{{{+1 고광문}}}'''[br]'''高光文'''}}}}}}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고광문.jpg|width=100%]]}}} || || '''자 / 호''' ||윤백(允伯) / 일석(一石) || || '''본관''' ||[[제주 고씨]][* 장흥백파 22세 광(光) 항렬. 족보명은 고광술(高光述).] || ||<|2> '''출생''' ||[[1864년]] [[4월 7일]] || ||[[전라도]] [[담양군|창평현]] 현내면 유천리[br](현 [[전라남도]] [[담양군]] [[창평면]] 유천리)[* 인근의 삼천리·용수리와 함께 [[제주 고씨]] 장흥백파 집성촌이다. 독립유공자 [[고광순]]·고광채·고광훈·고제량·[[고홍석]]과 [[고영한]] 전 대법관도 이 마을 출신이다.] || ||<|2> '''사망''' ||[[1945년]] [[5월 12일]][* 탐라장흥고씨대동보 권4 688쪽에는 1944년 2월 29일 별세한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향년 81세)|| ||[[강원도]] [[금강산]] || || '''상훈''' ||건국포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2002년 건국포장을 추서받았다. 독립유공자 [[고광순]] 의병장의 6촌 재종제(再從弟)이다. == 생애 == 1864년 4월 7일 전라도 창평현 현내면 유천리(현 전라남도 담양군 창평면 유천리)에서 아버지 고원상(高元相, 1830 ~ 1903. 1. 10)과 어머니 [[류(성씨)|고흥 류씨]](高興 柳氏, 1832 ~ 1877. 6. 2) 류지덕(柳志德)의 딸 사이의 2남 3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그는 일찍이 족형(族兄) [[고광순]]의 의병대에 입대하였고, 참모(參謀)에 선임되어 전라남도 일대에서 활동하다가 1907년 10월 [[구례군]] [[토지면]] 내동리 연곡사에서 일본군이 습격하자 고광순으로부터 의병들의 명단이 적혀 있는 문건을 건네받고 피신하여 극적으로 포위망을 뚫고 탈출했다. 그는 의병대의 재기를 꾀하여 같은 해 11월 [[전라북도]] [[남원시|남원군]]에서 활동하던 이평국(李平局)과 [[순창군]]에서 활동하던 강사과(姜司課) 등과 함께 전라남도 [[곡성군]] 일대에서 군사를 규합하고 군수물자를 제조하였고, 몇 달간 [[광양시|광양군]]·[[구례군]]·[[순천시|순천군]]·[[곡성군]] 일대를 전전하면서 유격전을 펼쳤다. 그리고 [[광주광역시|광주군]] [[무등산]]에 200명의 의병을 모아 광주군 공격을 꾀했으나 계획이 발각되어 무산되었고, 이후에는 고광덕과 함께 [[강원도]] [[금강산]]에 숨어 들어 [[http://m.mtong.kr/article.php?aid=154087745016256050|은거하다가]] 1945년 5월 12일 별세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2002년 고광문에게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조선 의병장]][[분류:제주 고씨 장흥백파]][[분류:담양군 출신 인물]][[분류:1864년 출생]][[분류:1945년 사망]][[분류:건국포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