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타이완에 있는 박물관, rd1=국립고궁박물원, other2=서울 경복궁에 있는 박물관, rd2=국립고궁박물관)] ||<-2><:> '''{{{#fff {{{+1 [ruby(故宫博物院, ruby= Bówùyùan)]}}}[br]The Palace Museum China[br]베이징 고궁박물원}}}''' || ||<-2>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고궁박물원.jpg|width=100%]]}}} || || '''{{{#fff 약칭}}}''' || 고궁(故宮), 베이징 고궁(北京故宮) || || '''{{{#fff 유형}}}''' || 역사박물관 || || '''{{{#fff 국가}}}''' || [[중화인민공화국]] || ||<|2> '''{{{#fff 소재지}}}''' || [[중국]] [[베이징시]] [[둥청구(베이징시)|둥청구]] 징산첸제4호 || ||{{{#!wiki style="margin: -3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The Palace Museum china, 너비=100%, 높이=100)]}}} || || '''{{{#fff 개관일}}}''' || 1925년 10월 10일 || || '''{{{#fff 등급}}}''' || 국가 1급 박물관 (1차) || || '''{{{#fff 운영자}}}''' || [[중화인민공화국 문화여유부]] || || '''{{{#fff 관장}}}''' || 샨지샹(单霁翔) || || '''{{{#fff 관람료[br](성인)}}}''' || [[4월 1일]] - [[10월 31일]] (성수기) : 60元[br][[11월 1일]] - [[3월 31일]] (비수기) : 40元[br]진바오관 :10元[br]종뱌오관 : 10元 || || '''{{{#fff 개방시간}}}''' || (성수기) 8:30 ~ 17:00 (16:10 입장마감)[br](비수기) 8:30 ~ 16:30 (15:40 입장마감) || || '''{{{#fff 홈페이지}}}''' || [[http://www.dpm.org.cn|[[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wiki style="margin: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padding:0px" ||<:><#CC0000> [[파일: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_4.png|width=65px]] ||<-2><:><#CC0000> {{{#gold {{{+1 '''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 [br] 全国重点文物保护单位[br]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공포}}} || ||<:><|4><#CCC>명칭 || 한국어 || 고궁 || || 간체 || 故宫 || || 번체 || 故宮 || || 영어 || The Palace Museum || ||<:><#CCC>분류 ||<-2> 고건축 및 역사기념건축물[br](古建筑及历史纪念建筑物) || ||<:><#CCC>시대 ||<-2> [[청나라]] || ||<:><#CCC>주소 ||<-2>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시]] || ||<:><#CCC>등재 ||<-2> [[1961년]] || ||<:><#CCC>차수 ||<-2> 제1차 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 || ||<:><#CCC> 국가 지정 명승지 등급 ||<-2> AAAAA급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화인민공화국|중국]] [[베이징시|베이징]]의 [[자금성]]내에 위치한 국립박물관. == 상세 == '''[[중국 대륙]]'''에 있는 '''[[중국]]'''의 박물원이다. 중국 국가공인 [[중국5A급여유경구|5A급 관광지]]에 등록되어있다. [[1965년]] [[중화인민공화국]]은 [[베이징]]에 남아 있던 자금성을 고궁박물원으로 개칭해서 유물들을 전시 중이다. 사회주의 국가에서는 박물관이 무조건 국유 시설물이므로 굳이 국립이라는 표현이 필요 없다고 판단해서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한 것으로 보인다. 현재 고궁박물원이라는 현판은 자금성의 북쪽 문인 신무문에 있으며 저우언라이의 글씨라고 한다.[* 중화인민공화국의 관점에서는 대만에 있는 국립고궁박물원은 유물들을 '훔쳐가' 옛 국립고궁박물원을 사칭하고 있는 가짜이고, 베이징의 고궁박물원이야말로 옛 국립고궁박물원의 진짜 후신이다. 중화인민공화국의 관점으로는 중화민국이 중화인민공화국으로 승계됐기 때문에 현재는 중화민국이라는 나라가 존재하지 않고, 대만에 있는 '중화민국'은 옛 중화민국을 사칭하는 가짜라는 것이다. 따라서 각종 국립 기관에 대해서도 유사한 관점을 가질 수밖에 없다.] [[문화대혁명]] 당시에는 [[홍위병]]의 발호로 인해 한동안 폐쇄되었으며, 일부 홍위병들이 문을 따고 들어가려 했으나 실패하여 내부 유물이 파괴되는 일은 면할 수 있었다.[* 국부천대 당시 [[명나라|명]]·[[청나라|청]] 시대의 중요 유물들이 대만으로 가고 말았지만 이게 전부 다 가져간 것이 아니라서 지금도 많은 황실유물이 있고, 공산화 이후에도 새로운 문화재가 발견되고 있기 때문에 2021년 기준으로 유물의 양은 물론이고 질적으로도 대만의 [[국립고궁박물원]]에 비해 크게 밀리지는 않는다. 유물의 수 면에서도 160만점으로 대만에 비해 월등히 많고, 이후 발굴된 것이나 기증받은 것도 많다.] 주로 과거시대의 유물을 전시해놓는데 중국의 거의 모든 박물관이 그렇듯이 사진촬영이 자유롭다. 그러나 앞에서 말한 바와 같이, 장제스가 역대 황실의 컬렉션 가운데 가장 핵심적이었던 기원전 10세기 전후의 청동기[* 상나라 혹은 그 이전부터 사용했던 정들이 대표적이다. 정은 예로부터 권위를 상징했다. 이런 정들 중 명문이 새겨진 것들을 제일로 치는데 가장 많은 명문이 새겨진 정이 국립고궁박물원에 있다. 이 정은 대만의 국보로 지정되어 있다. 이러한 고대의 청동기 제례 용품들은 왕조의 권위와 정통성을 상징하는 것들이라 역대 왕조들이 이들을 철저히 관리해 왔다. 게다가 상나라 멸망과 공화시기, 호경 함락등을 거치며 수많은 기록이 소실되었기 때문에 당대의 역사적 사실들이 기록한 귀중한 자료들이기도 하다.] 제례 유물들을 거의 모두 챙겨가 버렸고 명•청 황실의 특수한 귀중품들 가운데 특히 희귀하고 진기한 것들만 선별해서 가져가 버렸다. 이런 간판 유물들이 사라진 자금성은 어찌 보면 질 대신 양으로 승부한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자금성과 동일체이기 때문에 자금성을 입장하면 동시에 고궁박물원에 입장하는 것이 된다. 즉 황실이 사라지면서 텅 비고 기능을 잃어버린 자금성의 건물들에 대신 유물들을 전시해 놓고 있다고 보면 된다.[* 세계에는 옛 궁전 건물을 대표 박물관으로 쓰는 경우가 드물지 않다. 가령 [[프랑스]]의 [[루브르 박물관]]이나 [[러시아]]의 [[겨울궁전]]이 있다.] 다만 [[건륭제]]가 태상황[* 제위를 물려주고 물러난 황제를 높여 가리키는 칭호로, 상황(上皇), 태황제(太皇帝), 태상황제(太上皇帝)라고도 한다.]에 올라 머물던 수녕궁 구역은 진보관(珍寶館)으로, 만주족 조상들에 대한 제사를 올리던 봉선전은 종표관(鐘表館)으로 이름이 바뀌었는데, 이 구역만 각각 따로 입장료를 받는다. 진보관에는 말 그대로 고궁박물원의 유물 중 가장 귀한 것들을, 종표관에는 청나라 황제들이 수집해 놓은 세계 각국의 시계들이 있는데 모두 매우 화려하다. 유물을 볼 생각이라면 이 곳을 입장하는 편이 좋다. 다만 엄청나게 넓으므로 주의할 것. 홍콩 반환 25주년을 기념하여 [[홍콩]]에는 홍콩경마클럽의 후원으로 [[홍콩고궁문화박물관]](香港故宮文化博物館, Hong Kong Palace Museum)이 [[2022년]] 7월 3일에 개관하였는데 고궁박물원 유물의 일부를 대여하는 방식으로 전시하고 있다. 홍콩은 중국에서 역사가 짧은 편인 도시라서 관광도시치고는 역사적 유적지나 문화재가 많지 않으며, [[중화권]] 중에서 중국 본토는 물론이고 국립고궁박물원이나 그 외 여러 문화재[* 대만도 중국 본토에 비해서야 작고 역사도 짧은 편이지만 수십배나 작은 홍콩에 비할 바는 아니다.]가 있는 대만에 비해서도 이 부분에서는 볼거리가 많지 않았는데 이 분원이 생기면 홍콩 관광의 다양성이 늘어나는 셈이긴 하지만 홍콩인들의 여론은 이에 대해 마냥 호의적이지만은 않은데 [[중국 공산당|공산당]]의 프로파간다로 쓰일 것을 우려하는 여론이 적지 않다. == 소장품 == * 서화 : 14만여점 * 원나라 이전의 회화(繪畫) : 420점 * 원나라 이전의 서법(書法) : 310점 * 청동기 : 1만 5천여점 * 선진(先秦) 시대의 명문이 있는 청동기 : 약 1,600여점 * 고대 화폐 : 약 1만여점 * 동경(銅鏡) : 약 4,000여점 * 인장(印章) : 약 1만여점 * 도자기 : 35만여점 * 1급 문물 : 1,100점 * 2급 문물 : 5만 6천여점 * 공예품 * 옥기 : 28,461점 * 칠기, 법랑, 유리, 대나무·나무·상아·뿔 조각, 문방구 등 : 101,845 건 * 분재 : 1,442점 * 서적 : 19만 5,000여책 [[분류:중국의 국립 박물관]][[분류:중국의 관광지]][[분류: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분류:1925년 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