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고대왕자 공룡킹)] [include(틀:고대왕자 공룡킹)] ||<-2>
{{{#373a3c,#dddddd '''{{{+1 고대왕자 공룡킹(공룡킹 어드벤처)}}}''' (2007~2008)[br]古代王者 恐竜キング Dキッズ・アドベンチャー(1기)[br]古代王者 恐竜キング Dキッズ・アドベンチャー 翼竜伝說(2기)}}}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공룡킹 애니.jpg|width=100%]]}}} || ||<-2>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기타 키 비주얼 ▼ [[파일:공룡킹.jpg|width=100%]]{{{#373a3c,#dddddd 2기 익룡전설}}}}}}}}}}}} || ||<-2>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작품 정보 ▼ ||
'''{{{#373a3c,#dddddd 장르}}}''' ||[[모험물]], [[배틀물]] || || '''{{{#373a3c,#dddddd 원작}}}''' ||사사노 켄지 || || '''{{{#373a3c,#dddddd 총감독}}}''' ||[[야타베 카츠요시]] || || '''{{{#373a3c,#dddddd 시리즈 구성}}}''' ||히라노 야스시 || || '''{{{#373a3c,#dddddd 캐릭터 디자인}}}''' ||히라오카 마사유키 || || '''{{{#373a3c,#dddddd 음악}}}''' ||후쿠시마 유코 || || '''{{{#373a3c,#dddddd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와타나베 요이치, 오자키 마사유키 || || '''{{{#373a3c,#dddddd 애니메이션 제작}}}''' ||[[선라이즈(브랜드)|[[파일:선라이즈(기업) 로고.svg|width=100]]]] || || '''{{{#373a3c,#dddddd 제작}}}''' ||[[나고야 TV]][br][[ADK]][br][[세가 게임즈|세가]][br]선라이즈 || || '''{{{#373a3c,#dddddd 방영 기간}}}''' ||[[애니메이션/2007년 1월|2007. 2. 4]] ~ 2008. 1. 27.(1기)[br]2008. 2. 3 ~ 2008. 8. 31.(2기) || || '''{{{#373a3c,#dddddd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나고야 TV]] / (日) 07:00[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재능TV]] || || '''{{{#373a3c,#dddddd 편당 러닝타임}}}''' ||30분 || || '''{{{#373a3c,#dddddd 화수}}}''' ||79화(1기: 49화, 2기: 30화) || || '''{{{#373a3c,#dddddd 국내 심의 등급}}}'''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등급 제도#관련 규정|[[파일:7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width=20]] {{{#ffffff 7세 이상 시청가}}}]] || || '''{{{#373a3c,#dddddd 관련 사이트}}}''' ||[[https://www.nagoyatv.com/F/kyoryu/|[[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원작 아케이드판을 바탕으로 한 [[고대왕자 공룡킹]] [[애니메이션]] 시리즈. [[선라이즈]]가 기획하고 나고야 TV와 [[애니맥스]]가 공동 제작, 아사히 TV 아침 시간대에 방영했다. 공룡들이 카드에서 튀어나와 싸운다는 형식을 빼면 그 밖에는 완전히 오리지널 요소들로 채워져 있다. 가위바위보 시스템과 속성 시스템의 해설, ED 곡을 통한 공룡 체조나 공룡 이름 도감 등의 [[학습만화]] / 유아 프로그램 포맷, 각종 지능 교재나 학습용품 연계를 통해 게임과 마찬가지로 철저하게 저연령층 공략을 노렸다. 그래서인지 [[야타베 카츠요시]]를 필두로 한 [[용자 시리즈]]의 제작진이 대거 참여했다. 또한 원작이 원작인지라 기존의 해당 시간대의 스폰서였던 [[반다이]]가 아닌 [[세가 토이즈]]가 스폰서를 맡았다. == 특징 == 총 2기로 나뉘어져 있는데 1기는 D키즈 어드벤쳐, 2기는 D키즈 어드벤처 익룡 전설이라는 부제를 달고 나왔다. 대부분 공룡을 주제로한 애니메이션이나 [[슈퍼전대]] 시리즈 같은 특촬물의 주인공의 상징과 파트너 공룡은 대부분 [[티라노사우루스]]인데 여기 주인공의 파트너와 상징공룡은 [[트리케라톱스]]다.[* 사실 [[열혈최강 고자우라]]의 주인공 [[미네자키 켄이치]]가 조종하는 기체도 [[프테라노돈]]이 모티브인 [[마하 프테라]]인데, 프테라노돈은 공룡이 아닌 익룡이다.] 1기는 [[공룡덕후|공룡을 좋아하는]] 초등학생 3인으로 이루어진 D키즈와 알파단 간의 공룡카드 쟁탈전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전 세계에 흩어진 공룡카드가 봉인이 풀려 공룡으로 되살아나면 파트너 공룡으로 카드의 공룡을 제압해서 가져오는 방식. 비슷한 시기에 방영된 [[얏타맨]]과 상관이 있을지도? 2기는 D키즈의 부모님들이 코스모스톤을 노리는 우주 해적 잔쟈크에 납치되어 있고 그것이 우주 전체의 위험과 직결되어 있다는 식으로 시간여행을 하게 되며 스토리가 갑자기 엄청나게 뻥튀기된다. 일반적인 저연령층 만화와 달리 여러 회수가 1개의 에피소드로 구성된 연속 [[드라마]] 형식. 애니메이션판 에서 해당 에피소드가 끝나면 공룡백과라는 코너로 해당 에피소드에 새롭게 등장한 공룡들에 대한 소개를 해 공룡에 대한 지식을 알려주며 일부 에피소드들 중 새로운 공룡이 등장하지 않는 에피소드에서는 새로운 공룡 소개가 아닌 공룡의 식성이나, 공룡들 중 육식공룡, 초식공룡, 익룡, 어룡, 수장룡에 대한 세세한 구분을 하는 법을 알려주기도 한다. 주인공들은 파트너 공룡이 소환되는 카드를 디노 홀더라 불리는 소형 기계를 통해 소환하여 싸우게 된다.[* 2기에서는 디노라이저라는 또다른 디노 홀더를 쓰며 잔쟈크의 쟈크 아머로 무장한 공룡들과 대등하게 싸우기 위해 앨리멘탈 부스터로 공룡들을 무장시킨다.] 기술 카드를 사용해 공룡의 공격을 강화하며 싸우는 것까지는 원작의 게임에서 따온 요소이지만 게임과의 연관성은 [[아이캐치]] 직후의 가위바위보 게임 정도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배틀물로서의 연출과 학습 만화적인 요소에 더 치중하고 있다. 여러가지로 무시킹 프로젝트와 비교되지만 애니메이션 오리지널 캐릭터인 조(타츠노 마루무)의 인기가 이상할 정도로 높아서 이쪽이 확실하게 차별화되고 있다. 특히 [[성검전설 시리즈]]의 [[리스(성검전설 3)|리스]]와 자주 비교되는데 초기 설정에 비해 [[슴가]] 사이즈가 증량된 것과 작품의 상업적 수명이 거의 끝났는데도 혼자서 타이틀을 견인하고 있는 것, 그리고 [[에로 동인지]]에서 열심히 굴러다닌다는 것 등이 닮아있기 때문이다. 동인지 작가 중에서 마루무를 좋아하는 사람이 의외로 상당수 존재하고 [[pixiv]]에서도 관련 그림을 찾아볼 수 있다. 그러다 보니 2010년경에는 [[로리거유]] 캐릭터를 언급할 때 거의 빠지지 않는 [[필수요소]]적인 입지에 올라버렸다.[* 하지만 공식 설정상으로도''''초등학생이지만 몸매는 발군'''' 이라는 설명이 붙어있고(*수정* 공식설정이 아니다. 공식설정에는 몸매와 관련된 내용은 없으며, 여러가지 일본 사이트에서의 마루무의 특징은 그냥 "스타일이 좋은 소녀" 라고 소개 되어 있다. 애초에 아동용 애니메이션인데 공식설정에 "초등학생이지만 몸매는 발군" 이라는 설정내용이 들어 갈 리가 없다..) 다른 데서 [[작화 붕괴]]가 있어도 마루무의 몸매 굴곡이나 가슴 부분의 명암 처리는 거의 일관성있게 그려져 있는 등 의도적으로 밀어준 기미가 보인다고 한다.] 2007년 4월 15일부터 몇 개월 동안 기획을 진행했었는데 2007년 기준 일본에 거주하는 초등학생 이하 시청자를 대상으로 일종의 공식 팬클럽을 만들어 활동하는 기획이었다. == 주요 성우진 == ||<-3> {{{#ffffff '''성우진'''}}} || || [[고대왕자 공룡킹/등장인물|등장인물]] || 일본 || 북미 || || '''[[고다이 류타]]''' || '''[[마츠모토 메구미]]''' || [[베로니카 테일러]] || || '''[[렉스 오웬]]''' || '''미즈구치 마츠리''' || 세바스찬 아르셀루스 || || '''[[타츠노 마루무]]''' || '''[[코바시 토모코]]''' || 케서 도너휴 || || '''[[고다이 켄류]]''' || '''[[우치다 나오야]]''' || 데이비드 윌스 || || '''[[가브(고대왕자 공룡킹)|가브]]''' || '''[[타니이 아스카]]'''[br]'''[[나카츠카사 유우카]]'''[* 2기 17화부터.] || 케서 도너휴 || || '''[[에이스(고대왕자 공룡킹)|에이스]]''' || '''[[타무라 세이코]]''' || 에릭 스튜어드 || || '''[[파라파라(고대왕자 공룡킹)|파라파라]]''' || '''[[후치자키 유리코]]''' || ? || || '''[[Dr.소노이다]]''' || '''[[고토 테츠오]]''' || 에릭 스튜어드 || || '''[[우사라파]]''' || '''[[와타나베 미사]]''' || [[레이첼 릴리스]] || || '''[[노랏티]]''' || '''[[호리우치 켄유]]''' || [[숀 셰멀]] || || '''[[에도(고대왕자 공룡킹)|에도]]''' || '''엔도 쥰이치''' || 대런 던스턴 || || '''[[로토(고대왕자 공룡킹)|로토]]''' || '''[[후치자키 유리코]]''' || 조 마틴 || || '''[[로아(고대왕자 공룡킹)|로아]]''' || '''[[타니이 아스카]]'''[br]'''[[나카츠카사 유우카]]''' || [[레이첼 릴리스]] || || '''[[노피스]]''' || '''[[히라카와 다이스케]]''' || [[마크 톰슨]] || || '''[[티라노(고대왕자 공룡킹)|티라노]]''' || '''[[나카츠카사 유우카]]''' || ? || || '''[[스피노]]''' || '''코미야마 에리''' || ? || || '''[[사이카(고대왕자 공룡킹)|사이카]]''' || '''[[나카츠카사 유우카]]''' || ? || 국내 성우진은 국내 방영 참조. == [[고대왕자 공룡킹/등장인물|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고대왕자 공룡킹/등장인물)] == [[고대왕자 공룡킹/등장 고생물|등장 고생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고대왕자 공룡킹/등장 고생물)] == [[고대왕자 공룡킹/OST|OST]]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고대왕자 공룡킹/OST)] == 회차 목록 == === 1기 === 일본어 위키백과에 따르면 D키즈의 거주지는 산죠시(三畳市)라는 가공의 도시라고 한다. 이름의 유래는 트라이아스기(삼첩기). || {{{#ffffff '''화수'''}}} || {{{#ffffff '''방영제목'''}}} || {{{#ffffff '''등장공룡[* 비밀 공룡은 은색, 스킬카드에 나오는 공룡은 ()표시, 공룡이 두번 나왔을 때는 처음 나왔던 것만 표시]'''}}} || {{{#ffffff '''방영일자(日)'''}}} || || 1 || 내 친구 가부는 귀여운 공룡?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D키즈 거주지, [[요코하마시]] 야마시타 공원) || [[트리케라톱스|{{{#gold '''트리케라톱스'''}}}]][br][[티라노사우루스|{{{#red '''티라노사우루스'''}}}]] ||2007년 2월 4일|| || 2 || 새로운 친구! 에이스와 파라파라 ([[파일:이집트 국기.svg|width=24]][[이집트]])[* 실제로 스피노사우루스 화석의 산지이기도 하다.] || [[스피노사우루스|{{{#blue '''스피노사우루스'''}}}]][br][[카르노타우루스|{{{#skyblue '''카르노타우루스'''}}}]][br][[파라사우롤로푸스|{{{#green '''파라사우롤로푸스'''}}}]] ||2007년 2월 11일|| || 3 || [[사이카니아]] 쟁탈전! ([[파일:영국 국기.svg|width=24]][[영국]] [[대영박물관]])[* [[런던]]시내의 모습은 나오지 않았다.] || [[사이카니아|{{{#purple '''사이카니아'''}}}]] ||2007년 2월 18일|| || 4 || 정글로 사라진 가부! ([[아마조니아|아마존 정글]])[* 살타사우루스 화석의 산지인 아르헨티나와 같은 남미대륙에 있다.] || [[살타사우루스|{{{#blue '''살타사우루스'''}}}]] ||2007년 2월 25일|| || 5 || [[만리장성]]의 대결전! ([[파일:중국 국기.svg|width=24]][[중국]] [[만리장성]]) ||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red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 ||2007년 3월 4일|| || 6 || 엄마는 강하다! [[마이아사우라]] ([[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24]][[스위스]] [[알프스 산맥]]) || [[마이아사우라|{{{#green '''마이아사우라'''}}}]] ||2007년 3월 11일|| || 7 || TV에 나온 [[유타랍토르]]!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나고야 TV]] 사옥) || [[유타랍토르|{{{#skyblue '''유타랍토르'''}}}]] ||2007년 3월 18일|| || 8 || 파도타기 공룡, 해상대결!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미국]] [[하와이]])[* 마우이 섬이라고 한다. [[https://en.m.wikipedia.org/wiki/List_of_Dinosaur_King_characters|#]] ] || [[스티라코사우루스|{{{#gold '''스티라코사우루스'''}}}]] ||2007년 3월 25일|| || 9 || 잠들 수 없는 거리의 [[안킬로사우루스]]!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어느 [[지하철]] 선로) || [[안킬로사우루스|{{{#purple '''안킬로사우루스'''}}}]] ||2007년 4월 1일|| || 10 || 공룡카드가 이렇게 많이!([[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하라주쿠]]) || ([[프테라노돈|{{{#green '''프테라노돈'''}}}]][* 이 프테라노돈은 현재는 [[게오스테른베르기아]]로 재명명된 종류이다. ]) ||2007년 4월 8일|| || 11 || [[모나코]] 공룡 그랑프리! ([[파일:모나코 국기.svg|width=24]][[모나코]] 일대)[* 어린이들에게 생소한 작은 나라를 알려준 에피소드이기도 하다.] || [[수코미무스|{{{#blue '''수코미무스'''}}}]][* 울음소리가 꽤 무서운 편이다.~~왕↘️끼이이이이↗️~~] ||2007년 4월 15일|| || 12 || 가자, 공룡섬으로! ([[아쿠토단]] 기지) || [[케라토사우루스|{{{#skyblue '''케라토사우루스'''}}}]] ||2007년 4월 22일|| || 13 || 알파기지 탈출 작전! ([[아쿠토단]] 기지) || ||2007년 4월 29일|| || 14 || [[로마]]의 [[파키케팔로사우루스|비밀 공룡]]!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4]][[이탈리아]] [[로마]] 일대)[* 등장한 곳은 [[피사의 사탑]]으로, 기울어진 탑을 박치기로 똑바로 세우고 로마로 이동한다.] || [[파키케팔로사우루스|{{{#silver '''파키케팔로사우루스'''}}}]] ||2007년 5월 6일|| || 15 || 여기는 공룡 온천?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어느 온천섬)[* 일본어 위키와 영어 위키에는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4]][[캐나다]] 북극 제도의 [[데번 섬]]이라 하는데, 사실은 화산섬 '데본산'이다. 이름이 비슷해서 헷갈린 듯. 이름의 유래는 [[데본기]]로 보인다. 둘 다 영국의 지명 [[데번]]주가 유래다.] || [[아크로칸토사우루스|{{{#red '''아크로칸토사우루스'''}}}]] ||2007년 5월 13일|| || 16 || 불타는 [[아크로칸토사우루스]]!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D키즈 거주지) || ||2007년 5월 20일|| || 17 || 공룡축구 올레!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4]][[브라질]]) || [[알티리누스|{{{#green '''알티리누스'''}}}]] ||2007년 5월 27일|| || 18 || 바리바리섬의 공룡댄스!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width=24]][[인도네시아]] 바리바리섬)[* [[발리 섬]]을 모티브로 한 가상의 섬으로 보인다.] || [[다스플레토사우루스|{{{#red '''다스플레토사우루스'''}}}]] ||2007년 6월 3일|| || 19 || 긴급 출동! [[뉴욕시|뉴~욕]]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미국]] [[뉴욕시|뉴욕]] 일대) || ([[세이스모사우루스|{{{#green '''세이스모사우루스'''}}}]]) ||2007년 6월 10일|| || 20 || 거대공룡의 골프장 대결!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미국]] [[조지아 주]] [[어거스타(조지아주)|오거스타]]의 어느 [[골프장]])[* 디노홀더가 반짝이는 곳을 보면 사우스캐롤라이나와 인접한 조지아의 오거스타이며 영문위키에도 그렇게 나온다. [[https://en.m.wikipedia.org/wiki/List_of_Dinosaur_King_characters|#]] 국내 더빙판은 그냥 미국이라고 나오지만[[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mjokey&logNo=221329131491&isFromSearchAddView=true|#]] 북미 더빙판에는 조지아라고 언급된다.[[https://youtu.be/d4Tu3xEo-wo|#]] 이곳은 조그만 도시지만 마스터즈 골프 대회가 열리는 곳으로, 유명 프로레슬러 [[헐크 호건]]의 고향이기도 하다.~~그리고 세이스모사우루스와 슈퍼사우루스가 레슬링을 뜬다~~ ~~노린 걸수도?~~] || ([[수페르사우루스|{{{#green '''수페르사우루스'''}}}]]) ||2007년 6월 24일|| || 21 || 종유동의 공룡친구!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어느 [[동굴]]) || [[유오플로케팔루스|{{{#purple '''유오플로케팔루스'''}}}]] ||2007년 7월 1일|| || 22 || 공항 대결전!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어느 [[공항]]) || [[메가랍토르|{{{#skyblue '''메가랍토르'''}}}]] ||2007년 7월 8일|| || 23 || 유령공룡, [[네시]]의 출현?! ([[파일:영국 국기.svg|width=24]][[영국]] [[스코틀랜드]] [[네시|네스호]]) || [[아마르가사우루스|{{{#blue '''아마르가사우루스'''}}}]] ||2007년 7월 15일|| || 24 || [[파리(프랑스)|파리]]의 공룡패션!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4]][[프랑스]] [[파리(프랑스)|파리]] 일대) || [[안키케라톱스|{{{#gold '''안키케라톱스'''}}}]] ||2007년 7월 22일|| || 25 || [[후타바사우루스]]를 구하라!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후쿠시마현]] [[이와키시]]의 [[광산]])[* 후타바사우루스 화석의 산지이기도 하다.] || ([[후타바사우루스|{{{#blue '''후타바사우루스'''}}}]]) ||2007년 7월 29일|| || 26 || 공룡강도단을 잡아라!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미국]] [[라스베이거스]]) || ||2007년 8월 5일|| || 27 || 공룡유원지에서 무슨 일이?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오다이바]]) || ||2007년 8월 12일|| || 28 || [[테리지노사우루스|두 번째 비밀 공룡]]!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롯폰기]] 힐스)[* 본작의 방송사인 [[아사히TV]] 사옥이 있는 곳이기도 하다.] || '''[[테리지노사우루스|{{{#silver '''테리지노사우루스'''}}}]]''' ||2007년 8월 19일|| || 29 || [[사바나]]의 공룡밀렵단! ([[파일:케냐 국기.svg|width=24]][[케냐]]의 [[사바나]]) || [[토로사우루스|{{{#gold '''토로사우루스'''}}}]] ||2007년 8월 26일|| || 30 || 공룡프로포즈 대작전! ([[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24]][[멕시코]]의 사막) || [[사우롤로푸스|{{{#green '''사우롤로푸스'''}}}]] ||2007년 9월 2일|| || 31 || 흑기사 공룡 [[파파사우루스]]! ([[파일:페루 국기.svg|width=24]][[페루]] [[안데스 산맥]]의 태양의 사원) || ([[파파사우루스|{{{#silver '''파파사우루스'''}}}]]) ||2007년 9월 9일|| || 32 || [[나이아가라]]의 대결!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4]][[파일:미국 국기.svg|width=24]][[북아메리카]] [[나이아가라 폭포]]) || [[바리오닉스|{{{#blue '''바리오닉스'''}}}]] ||2007년 9월 16일|| || 33 || [[갠지스 강]]에서 공룡버터플라이! ([[파일:인도 국기.svg|width=24]][[인도]] [[갠지스 강]]) || [[델타드로메우스|{{{#skyblue '''델타드로메우스'''}}}]] ||2007년 9월 23일|| || 34 || 닌자공룡 [[데이노니쿠스]]!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어느 [[닌자]]마을) || '''[[데이노니쿠스|{{{#silver '''데이노니쿠스'''}}}]]'''[* 작중에서는 "디노닉스"라고 나온다(...)."] ||2007년 9월 30일|| || 35 || [[에어즈록]]의 [[이구아노돈]]! ([[파일:호주 국기.svg|width=24]][[호주]] [[울루루]])[* 요즘은 울루루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지만 작중에서는 에어즈록이라고 나왔다.] || [[이구아노돈|{{{#green '''이구아노돈'''}}}]][br]([[벨로키랍토르|{{{#silver '''벨로키랍토르'''}}}]]) ||2007년 10월 7일|| || 36 || 알파메탈을 빼앗아라!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어느 [[제철소]]) || ||2007년 10월 14일|| || 37 || 공룡! 황야의 결투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미국]] [[오클라호마 주]])[* 서부극 컨셉인지 [[로데오]]와 황야의 [[결투]]가 나온다. 실제로 사우로파가낙스 화석의 산지이기도 하다.] || [[사우로파가낙스|{{{#red '''사우로파가낙스'''}}}]] ||2007년 10월 21일|| || 38 || 공룡여신! 무적의 헬가 ([[파일:캄보디아 국기.svg|width=24]][[캄보디아]] [[앙코르와트]]) || [[스테고사우루스|{{{#purple '''스테고사우루스'''}}}]] ||2007년 10월 28일|| || 39 || [[차이나타운]] 공룡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요코하마시]]의 [[차이나타운]]) || [[마푸사우루스|{{{#red '''마푸사우루스'''}}}]] ||2007년 11월 11일|| || 40 || 사랑과 [[투우]]의 [[바르셀로나]]!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4]][[스페인]] [[바르셀로나]] 일대)[* 참고로 바르셀로나는 투우를 즐기는 지역이 아니어서인지 한때 투우를 금지한 적도 있었다. 작중에서도 투우의 인기가 떨어진 것 같다는 언급이 있다.] || [[알로사우루스|{{{#skyblue '''알로사우루스'''}}}]] ||2007년 11월 18일|| || 41 || [[할리우드]]의 스타공룡!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미국]] [[할리우드]] 일대) || [[펜타케라톱스|{{{#gold '''펜타케라톱스'''}}}]] ||2007년 11월 25일|| || 42 || [[시베리아]] 공룡특급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4]][[러시아]] [[시베리아횡단철도]]) || [[암펠로사우루스|{{{#blue '''암펠로사우루스'''}}}]] ||2007년 12월 2일|| || 43 || 사라진 [[타츠노 마루무|조]]의 집 || ||2007년 12월 9일|| || 44 || 후쿠이사우루스, [[교토시|교토]]를 달리다!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일본]] [[교토시|교토]] 일대) || [[후쿠이사우루스|{{{#green '''후쿠이사우루스'''}}}]] ||2007년 12월 16일|| || 45 || 크리스마스에 [[메갈로사우루스|메가로사우루스]]!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크리스마스]]날의 D키즈 거주지) || '''[[메갈로사우루스|{{{#silver '''메갈로사우루스'''}}}]]''' ||2007년 12월 23일|| || 46 || 공룡섬이 떠오르다?! || ||2008년 1월 6일|| || 47 || [[괴수|거대공룡]] 출현! || ||2008년 1월 13일|| || 48 || 블랙 티라노의 습격! || ||2008년 1월 20일|| || 49 || 안녕, 우리들의 공룡! || ||2008년 1월 27일|| 미국 시장을 노렸는지 미국을 배경으로 한 에피소드가 많다.(8화, 19화, 20화, 26화, 32화, 37화, 41화) === 2기 === 시간여행 컨셉이며 [[스파르타쿠스]]가 살던 [[로마 공화국]] 시대 > [[에드워드 티치]]가 살던 18세기 초 카리브 해 > [[현장]] [[삼장법사]]가 살던 7세기 [[당나라]] >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살던 [[센고쿠 시대]] 일본 > 8세기 [[이슬람 제국]]의 페르시아 > [[루이 13세]]와 [[샤를 드 달타냥]]과 [[삼총사]]가[* 여기서 삼총사는 [[우사라파]], [[노랏티]], [[에도(고대왕자 공룡킹)]].] 살던 17세기 초 [[프랑스 왕국]] 순이다. || {{{#ffffff '''화수'''}}} || {{{#ffffff '''방영제목'''}}} || {{{#ffffff '''등장고생물[* 비밀 공룡은 은색, 스킬카드에 나오는 공룡은 ()표시, 개조공룡 제외.전 시즌에 나왔던 공룡은 @표시, 고생물이 두번 나올시에는 처음 나왔던 것만 표시, 주인공(가부,파라파라,에이스,티라노,스피노,사이카)제외]'''}}} || {{{#ffffff '''방영일자(日)'''}}} || || 50[br] || 새로운 공룡어드벤처! || [[토르보사우루스|{{{#red '''토르보사우루스'''}}}]] ||2008년 2월 3일|| || 51 || [[고대 로마]]의 [[마준가사우루스|무장공룡]]! || ||2008년 2월 10일|| || 52 || 두 번째 우주해적과 만나다! || [[마준가사우루스|{{{#skyblue '''마준가사우루스'''}}}]][br][[슈노사우루스|{{{#blue '''슈노사우루스'''}}}]] ||2008년 2월 17일|| || 53 || 검투사 [[스파르타쿠스]]! || ||2008년 2월 24일|| || 54 || 디노텍트 온! || [[양추아노사우루스|{{{#red '''양추아노사우루스'''}}}]][br] ([[피아트니츠키사우루스|{{{#silver '''피아트니츠키사우루스'''}}}]]) ||2008년 3월 2일|| || 55 || [[카리브해]]의 공룡! || [[에드몬토니아|{{{#purple '''에드몬토니아'''}}}]][br][[네도케라톱스|{{{#gold '''네도케라톱스'''}}}]] ||2008년 3월 9일|| || 56 || 해적, 하얀 수염은 누구?! || ||2008년 3월 16일|| || 57 || 폭풍속의 대결! || [[요바리아|{{{#blue '''요바리아'''}}}]][br]([[오프탈모사우루스|{{{#blue '''오프탈모사우루스'''}}}]]) ||2008년 3월 23일|| || 58 || 공룡[[보물섬]], 발견! || [[메가랍토르|{{{#skyblue '''메가랍토르'''}}}]]@ ||2008년 3월 30일|| || 59 || 공룡[[서유기]] || [[산퉁고사우루스|{{{#green '''산퉁고사우루스'''}}}]][br]([[투푹수아라|{{{#green '''투푹수아라'''}}}]]) ||2008년 4월 6일|| || 60 || [[현장|삼장법사]] VS 마푸사우루스 || [[마푸사우루스|{{{#red '''마푸사우루스'''}}}]]@ ||2008년 4월 13일|| || 61 || 맥스, [[손오공]]이 되다! || [[아켈로우사우루스|{{{#gold '''아켈로우사우루스'''}}}]] ||2008년 4월 20일|| || 62 || 뚫어라! 사이카니아 ||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 |{{{#red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br][[란조사우루스|{{{#green '''란조사우루스'''}}}]] ||2008년 4월 27일|| || 63 || [[센고쿠 시대|역사속]]으로 들어가다![* 일본의 [[센고쿠 시대]]가 배경인데, 일본 애니메이션이다 보니 제목이 이렇게 됐다. 우리나라로 치면 국사 속으로 들어가다 정도. 주인공 일행들의 이름만 무국적풍의 서양식으로 번역해서인지 일본의 역사라고 그대로 언급된다.] || [[고지라사우루스|{{{#skyblue '''고지라사우루스'''}}}]] ||2008년 5월 4일|| || 64 || 미샤, [[닌자]]가 되다! || [[메갈로사우루스|{{{#silver '''메갈로사우루스'''}}}]]@[br][[데이노니쿠스|{{{#silver '''데이노니쿠스'''}}}]]@ ||2008년 5월 11일|| || 65 || 아빠가 [[도쿠가와 이에야스|그림자 무사]]?![* 타츠노 마루무의 아버지가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닮아서 벌어진 해프닝.] || [[바리오닉스|{{{#blue '''바리오닉스'''}}}]]@ ||2008년 5월 18일|| || 66 || [[미카타가하라 전투|천하를 가르는 공룡대전]]! || [[투오지앙고사우루스|{{{#purple '''투오지앙고사우루스'''}}}]][br][[펜타케라톱스|{{{#gold '''펜타케라톱스'''}}}]]@ ||2008년 5월 25일|| || 67 || [[지니(디즈니 캐릭터)|램프의 요정]]은 [[티타노사우루스|거대공룡]]! || [[아프로베나토르|{{{#skyblue '''아프로베나토르'''}}}]][br][[티타노사우루스|{{{#blue '''티타노사우루스'''}}}]] ||2008년 6월 1일|| || 68 || 공룡 [[아라비안 나이트]]! || [[파키리노사우루스|{{{#gold '''파키리노사우루스'''}}}]][br]([[안항구에라|{{{#silver '''안항구에라'''}}}]]) ||2008년 6월 8일|| || 69 || [[알라딘]]과 마법의 공룡! || [[렉소비사우루스|{{{#purple '''렉소비사우루스'''}}}]] ||2008년 6월 22일|| || 70 || 아라비안 공룡대결전! || ||2008년 6월 29일|| || 71 || 나는야, [[루이 13세]]! || [[라자사우루스|{{{#red '''라자사우루스'''}}}]] ||2008년 7월 6일|| || 72 || 결성! 소년 결사대 || [[안키케라톱스|{{{#gold '''안키케라톱스'''}}}]]@ ||2008년 7월 13일|| || 73 || 울슐라의 숨겨진 과거 || [[안킬로사우루스|{{{#purple '''안킬로사우루스'''}}}]]@ ||2008년 7월 20일|| || 74 || 유령성의 대결! || ||2008년 7월 27일|| || 75 || [[쥐라기]]의 배신자 || ||2008년 8월 3일|| || 76 || [[타임 패러독스|미래가 달라졌다?!]] || [[아파토사우루스|{{{#silver '''아파토사우루스'''}}}]] ||2008년 8월 10일|| || 77 || 블랙 코스모스톤 쟁탈전 || [[크리올로포사우루스|{{{#silver '''크리올로포사우루스'''}}}]] ||2008년 8월 17일|| || 78 || 검은 익룡 || ||2008년 8월 24일|| || 79 || 내 친구, 공룡들! 안녕… || ||2008년 8월 31일|| == 국내 방영 == 국내에는 2008년 10월부터 [[재능TV]]를 통해 《'''공룡킹 어드벤처'''》라는 제목으로 방영되었고 이후 [[손오공]]을 통해 RC 머신을 이용한 배틀 세트와 팽이, 각종 인형들이 들어왔다.그리고 2014년부터는 [[투니버스]]에서 재능TV판 더빙 그대로 방영되었다. 6쿨짜리 장편 애니임에도 불구하고 단 11명의 성우만 가지고 더빙한 터라 [[중복 캐스팅]][* 심지어 주인공 성우들까지도.]과 자문자답이 엄청나다. * 성우 목록 * [[이선호(성우)|이선호]] - [[고다이 류타]] * [[문남숙]] - [[렉스 오웬]] * [[이영란]] - [[타츠노 마루무]] * [[김기흥]] - [[고다이 켄류]], 재퍼 * [[최한]] - [[Dr.소노이다]], [[에이스(고대왕자 공룡킹)|에이스]] * [[유상우]] - [[우사라파]], [[파라파라(고대왕자 공룡킹)|파라파라]], 미하사 * [[주재규]] - [[노랏티]] * [[심승한]] - [[에도(고대왕자 공룡킹)|에도]], 구넨코 * [[서지연]] - [[로토(고대왕자 공룡킹)|로토]], [[가브(고대왕자 공룡킹)|가브]] * [[이덕(성우)|이미덕]][* 해당 작품이 애니메이션 첫 츨연작이다.] - [[로아(고대왕자 공룡킹)|로아]] * [[임채헌]] - [[노피스]], 쟈크 == 해외 방영 == [[미국]]에서 [[4Kids Entertainment]]에서 더빙되어 방영되었다. 이 외에 [[스페인]]이나 [[이탈리아]]에서도 4kids판을 재더빙해서 방영되었다. == 기타 == * 이 애니메이션이 일본에서 만들어서 그런지 [[후타바사우루스]]나 [[후쿠이사우루스]] 등이 나왔으며 나온 적은 없지만 [[후쿠이랍토르]]의 이름이 언급됐다.[* 그래도 아케이드에는 등장했다.] [[왜색]]이 짙은 에피소드들도 있으나 D키즈 멤버들 이름이 영어식으로 로컬라이징되어서인지 수정없이 방영되었다. 사실 [[일본 대중문화 개방]] 이후 10년이 지난 시점이라 딱히 문제는 없지만. 그 외에 한국이 등장하지 않는 것이 아쉬움이겠으나[* 그 외 등장하지 않는 나라는 독일 및 북유럽권, 그리스, 서남아시아권(다만 2기에서 이슬람 시대 페르시아가 등장하긴 한다.), 공룡 화석산지로 이름난 몽골, 아르헨티나 등이다. 한편 일본 다음으로 중요하게 등장하는 나라는 미국이다. 주역 중 렉스와 오웬 박사가 미국인이기도 한데 뉴욕 편과 할리우드 편은 오웬 박사와 관련있기도 하다.] 대한민국 출신의 공룡학자인 [[이융남]]이 이름붙인 [[파파사우루스]]가 등장하여 한국의 흔적을 조금이나마 느낄 수 있다. 사실 이 시리즈가 나왔을 때는 아직 한국 공룡인 [[코레아노사우루스]]와 [[코레아케라톱스]]가 명명되기 전이라 한국 공룡을 출연시키는 게 불가능 하긴 했다. 게다가 두 마리 다 몸길이가 3미터 미만인[* 코레아노사우루스는 2.5미터, 코레아케라톱스는 1.3미터.] 소형종이라 본작에 나왔다고 해도 대형종들과 제대로 싸울 수 있을지도 의문. * 이름이 일본어로 그대로 직역된 공룡들도 있다. 예를 들어 [[데이노니쿠스|디노닉스]], [[알티리누스|아르티리누스]], [[크리올로포사우루스|크리오로포사우루스]], [[수코미무스|스코미무스]], [[메갈로사우루스|메가로사우루스]] 등등... * 서양 쪽에선 어째서인지 [[포켓몬스터]] 짝퉁이라며 비판을 받는다. 몇몇 리뷰어들이 이 애니메이션을 포켓몬스터 짝퉁같다고 소개했기 때문(...) 실제로 생명체끼리 배틀을 하는 것 뿐만 아니라, [[고다이 류타]]는 한지우처럼 파트너가 전기 기술을 사용하고, 한국판과 미국판 한정으로 성우도 같다.[* 또한, 한국판 한정으로 D키즈 멤버 3명을 연기한 성우들 모두 [[포켓몬스터 DP]]의 주연들과 라이벌을 더빙했다. [[렉스 오웬]]을 더빙한 성우는 [[진철]]을 더빙한 [[문남숙]], [[타츠노 마루무]]를 더빙한 성우는 [[팽도리]]를 더빙한 [[이영란]] 성우이다.] 또한 알파단은 로켓단과 느낌이 비슷하다. * 여담으로 재능 티비 편성표가 전부 공룡킹 어드벤처로 도배된 적이 있었다. 때문에 재능티비에서 공룡킹만 방영하는 등... 충공깽스러운 현상이 일어났었다. * [[공룡덕후]]와 [[지리덕후]](1기) + [[역덕후]](2기)를 모두 낚을 수 있는, 고생물학과 인문학 양 쪽을 동시에 비중 있게 다루는 작품인 것도 특이사항이다. 공룡뿐만 아니라 도시국가 [[모나코]]라든가, [[서유기]]에 등장하는 [[삼장법사]]가 [[현장|실존인물을 모티브로 했음도]] 알려주는 의외로 어린이들 교육적 가치가 상당한 아동 애니메이션. * 후에 제작진 일부는 [[공룡메카드]] 제작에 참여하게 된다. == 원작과의 차이점 == 공룡들이 대결하며 싸우는것을 제외하면 대부분이 오리지널 요소로 이루어져있다. * 대부분 캐릭터들의 설정이 변경된다. * [[고다이 류타]]는 항상 코에 밴드를 붙이고 다니나 애니메이션에서는 제거되었다. * [[타츠노 마루무]]는 아케이드에선 조끼를 붙이고 있으나 애니메이션에서는 조끼를 벌리고 있다. * [[고다이 켄류]]의 본명은 등장하지 않으며 고대박사라는 이름으로만 등장한다. * [[우사라파]]는 IQ 300이상의 천재 [[물리학자]]로 등장하나 애니메이션에서 와선 [[바보]]에다 할 일도 제대로 못하는 신세로 등장한다. * [[노랏티]]는 [[Dr.소노이다]]의 제자이자 [[화학자]]로 등장하나 애니메이션으로 들어오면서 안경의 형태, 우사라파한테 항상 당하는 신세를 받게 된다. * [[에도(고대왕자 공룡킹)|에도]]는 고교생의 [[해커]]로 등장하나 애니메이션에선 [[노랏티]]와 같이 우사라파에게 맨날 당한다. * 그 외 설정 * 석판은 본래 [[고다이 류타]]와 [[렉스 오웬]]이 발견했으나 애니메이션에선 2126년 엔시트, 크라시아 박사에 의해 발견되었다. * [[아쿠토단]]이 미래인으로 등장한다. * 오리지널 캐릭터들이 과장되어 추가되었다. 타르본느, 쥬라이 등등... == 외부 링크 == *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lists/?id=eoehdrh|공룡킹 어드벤처 마이너 갤러리]] [[분류:고대왕자 공룡킹]][[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공룡 애니메이션]][[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선라이즈(브랜드)]][[분류:시간여행물]][[분류:SF 애니메이션]][[분류:게임 원작 애니메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