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평택시의 읍면동)] ||<-2> '''[[파일:평택시 CI.svg|height=15]] [[평택시|{{{#000000,#dddddd 평택시}}}]]의 [[면(행정구역)|{{{#000000,#dddddd 면}}}]]'''[br]'''{{{+1 고덕면}}}'''[br]古德面 | Godeok-myeon || || '''광역자치단체''' || 경기도 || || '''기초자치단체''' || 평택시 || || '''행정표준코드''' || 3910069 || || '''관할 법정리''' || 8리 || || '''하위 행정구역''' || 33행정리 125반 || || '''면적''' || 22.18㎢ || || '''인구''' || 12,854명[* 2023년 7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밀도''' || 579.53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평택시 을'''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유의동]] ,,(3선),, || ||<-2> '''경기도의원 | 제6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김근용 ,,(초선),, || ||<-2> '''평택시의원 | 사 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김승겸 ,,(재선),,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이기형 ,,(초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정일구 ,,(재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고덕로 283[* 지번 : 좌교리 387-25(우 : 18015)] || || [[https://www.pyeongtaek.go.kr/pyeongtaek/godeok/main.do?mId=2001070100|고덕면 행정복지센터]] || [목차][clearfix] == 개요 == [[경기도]] [[평택시]] 중앙에 소재한 면[* [[서울특별시]] [[강동구]] [[고덕동(서울)|고덕동]]과는 한자가 다르다. 그 쪽은 '高'이고, 이 쪽은 '古'이다.]이다. 2021년 11월 15일 면의 일부가 [[고덕동(평택)|고덕동]]으로 전환되었다. 동쪽에는 [[고덕동(평택)|고덕동]], 동북쪽은 [[서정동(평택)|서정동]], 동남쪽은 [[지제동]]과 [[신대동(평택)|신대동]]이 맞닿아 있으며, 진위천을 경계로 서북쪽은 [[화성시]] [[양감면]]과 [[청북읍]]이, 서남쪽은 [[오성면]], 안성천을 경계로 남쪽으로 [[팽성읍]]이 있으며, 북쪽은 [[서탄면]]이 있다. 평택시에서 가장 핫한 택지개발지구인 [[고덕국제신도시]] 외곽에 있으며 고덕국제신도시와는 다르게 농촌의 모습과 아파트가 모여진 곳을 보여준다. 원룸이 딱히 존재하지 않아, 삼성 현장에서 일하는 건설 노동자들은 대체로 태평아파트, 하늘채 등 아파트에서 지내고 있다. == 교육 == * 효덕초등학교 * [[한국관광고등학교]] : 면 북부, [[오산 공군기지]]에 인접한 특성화고등학교이다. == 거주 == * 태평아파트 * 평택영화블렌하임아파트 * 고덕하늘채시그니처 == 교통 == === 도로 === ==== 국도 ==== * [[38번 국도]] : 이 도로가 [[오성면]]에 있는 [[오성IC]] 부터 신대교차로까지 출퇴근 시간에 자주 밀리는 도로이다. * [[45번 국도]] ==== 지방도 ==== * [[302번 지방도]] : 면 북부([[고덕국제신도시]] 북부)를 지나간다. 고덕면 구간은 원래 시골 길(왕복 2차로)였다가 신도시 건설로 확장되었다. ==== 고속도로 ==== * [[평택제천고속도로]]가 횡축으로 관통한다. 고속도로 위쪽은 신도시 건설 지역. 본래는 면 내에 나들목 계획이 없었다가, 방축리에 [[38번 국도]]와 [[고덕국제신도시]] 사이를 연결하는 [[평택고덕IC]]가 계획되어 공사에 들어갔다. 신도시 연결도로 공사 지연으로 인해서 당초보다 개통이 연기되어 [[2018년]] [[6월 30일]]에 개통을 해 우회하는 차들이 이곳을 이용함으로써, 고속도로의 정체 구간이 다소 줄어들었다. === 철도 === * [[경부고속선]]이 서쪽에서 남동쪽으로 관통을 하지만 역은 존재하지 않는다. * 동고리쪽에 [[평택선]][* 여객 미취급선 이다.]이 지나가지만, 화물전용선이고 역이 있지도 않다. * 대신 시내와의 접근성이 꽤 좋기 때문에, [[평택역]]으로 이동하여 [[수도권 전철 1호선]]이나 [[무궁화호]], [[새마을호|새마]][[ITX-새마을|을호]] 열차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평택지제역]]과도 가까워 [[SRT]]를 이용할 수도 있다. [[수도권 전철 1호선]] 이용 시에는 [[평택역]] 뿐만 아니라 [[송탄역]], [[서정리역]], [[평택지제역]]도 근거리에 있어서 이용 가능하다. === 버스 === ==== 좌석 ==== * [[평택 버스 8000]][*정류장 태평아파트 정류장에만 정차한다.] ==== 일반 ==== * [[평택 버스 302|평택 버스 302, 302-1]] * [[평택 버스 310]] * [[평택 버스 310-1]] * [[평택 버스 320]] * [[평택 버스 320-1]] * [[평택 버스 80|평택 버스 80, 80-1]] * [[평택 버스 810]] * [[평택 버스 9|평택 버스 9, 9-1, 9-2]] * [[평택 버스 91]] * [[평택 버스 94|평택 버스 91-2, 94, 94-1]] * [[평택 버스 940]] * [[평택 버스 96, 96-1]][* 96번과 96-1번은 운수업체와 기종점만 다른 사실상 같은 노선이다.] * [[평택 버스 98|평택 버스 98, 98-1]] ==== 마을 ==== * [[평택 버스 10]] * [[평택 마을버스 22, 23]] * [[평택 버스 66]] * [[평택 버스 66-2]] * [[평택 마을버스 8]] * [[평택 마을버스 8-1]] * [[평택 버스 663]] ==== 시외 ==== * [[시외버스 8131]][* 태평아파트 양방향 정차] [[분류:평택시의 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