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회원수정)] {{{+1 高德 / Godeok(Kyung Hee Univ. Hospital at Gangdong) }}} ||<-3> {{{+2 '''고 덕'''}}}'''(강동경희대병원)''' || ||<-3> [[수도권 전철 5호선|[[파일:Seoulmetro5_icon.svg|width=31]]]] || || [[방화역|{{{#!html
방화 방면}}}]][[명일역|명 일]][br]← 1.2 ㎞ || [[수도권 전철 5호선|{{{#!html
5호선
(552)
}}}]] || [[하남검단산역|{{{#!html
하남검단산 방면}}}]][[상일동역|상일동]][br]1.1 ㎞ →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미개통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3> {{{+2 '''고 덕'''}}}'''(강동경희대병원)''' || ||<-3> [[서울 지하철 9호선|[[파일:Seoulmetro9_icon.svg|width=31]]]] || || --[[개화역|{{{#!html개화}}}]] {{{#!html방면}}}[br]----[[신명일역|신명일]]--[br]← 0.7 ㎞ || [[서울 지하철 9호선|{{{#!html
9호선
(941)
}}}]]{{{#red (미개통)}}} ||<|2> --[[샘터공원역|{{{#!html
샘터공원 방면}}}]]----[[샘터공원역|샘터공원]]--[br]2.2 ㎞ → || || --[[김포공항역|{{{#!html김포공항}}}]] {{{#!html방면}}}[br]--[[중앙보훈병원역|중앙보훈병원]][br]← 3.1 ㎞ || [[서울 지하철 9호선|{{{#!html
9호선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9em" {{{#ffffff '''급행'''}}}}}}]][br]{{{#red (미개통)}}} || }}}}}}}}} || ||<-3>{{{#!wiki style="margin: -6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고덕역, 너비=100%, 높이=100%)]}}}|| ||<-3> '''다국어 표기''' || || [[영어]] ||<-2> Godeok[br](Kyung Hee Univ. Hospital at Gangdong) || || [[한자]] ||<-2> 高德(江東慶熙大病院) || || [[중국어]] ||<-2> 高德 || || [[일본어]] ||<-2> コドク || ||<-3> '''주소''' || ||<-3> [[서울특별시]] [[강동구]] [[고덕로]] 지하 253 ([[고덕동]] 314번지) || ||<-3> '''운영 기관''' || || [[수도권 전철 5호선|{{{#ffffff 5호선}}}]] ||<|2><-2> [[서울교통공사|[[파일:서울교통공사_Logo.png|width=140]]]] || || --[[서울 지하철 9호선|{{{#ffffff 9호선}}}]]-- || ||<-3> '''개업일''' || || [[수도권 전철 5호선|{{{#ffffff 5호선}}}]] ||<-2> 1995년 11월 15일 || || --[[서울 지하철 9호선|{{{#ffffff 9호선}}}]]-- ||<-2> 2027년 예정 || ||<-3> '''역사 구조''' || ||<-3> 지하 2층 ([[수도권 전철 5호선|5호선]])[br]--지하 4층 ([[서울 지하철 9호선|9호선]])-- || ||<-3> '''승강장 구조''' || ||<-3>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 [목차] [clearfix] == 개요 == [[수도권 전철 5호선]] 552번. [[서울특별시]] [[강동구]] [[고덕로]] 지하 253 ([[고덕동]] 314번지) 소재. [[서울교통공사]]가 운영하고 있다. [[서울 지하철 9호선]] 941번. [[서울특별시]] [[강동구]] [[고덕로]] 지하 253 소재 예정. == 역 정보 == [[파일:43 고덕(수정1).png|width=500]] 역 안내도. 1번 출구 에스컬레이터가 2017년 경 완공되었다. 이 역은 승강장 바닥이 흑/백 타일로 되어 있다. ~~체스 한번 둘래요?~~ 그리고 왜 애초에 설계가 그렇게 되었는지는 모르지만 1,3번 출구는 외부 통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역사 한쪽 부분에 창문이 나 있는 매우 특이한 구조이다. 이 역과 [[명일역]] 사이에 급커브 구간이 존재하여 매우 시끄럽다. 주변 지리로는 [[강동경희대학교병원]], [[배재고등학교]], [[이마트]] 명일점, [[서울컨벤션고등학교]], [[광문고등학교(서울)|광문고등학교]] 있다. 출근 시간대, 상일동에서 타는 인원이 많기 때문에 그 다음역인 고덕역에서 타는 승객들은 대부분 입석을 해야 한다. 하지만 하남까지 개통되어서 지금은 상일동역에서도 입석이 생긴다. == 역 위치 == 이 근처에서 지하철역이 들어오기 제일 적당한 곳이라면 이마트 앞 사거리지만 이 역은 이상하게 사거리에서 약간 빗나가 [[배재고등학교]] 쪽에 치우쳐 있다. 이마트 앞 사거리에 지었더라면 이마트 명일점은 지하통로를 통해 고덕역과 바로 연결될 수 있었을 것이다. 1번 출구가 지상으로 노출되어 있는 것을 생각해 볼 때 지반이 약해서 그런 건가 생각도 들지만, 진짜 이유는 선로의 구배 문제이다. 참고로, [[https://www.youtube.com/watch?v=7NLjL0I9Krk|1990년대 대한뉴스]]상으로 5호선 착공 당시에는 배재고앞역이라는 임시 명칭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이마트 명일점 앞 사거리는 언덕배기 정수리에 해당하는 부분이라, 그 바로 밑의 지하철 선로도 낙타 등모양처럼 아치모양으로 비탈져 있다. 고덕역 승강장의 상일동방향 끝부분에서 선로를 보면 쉽게 관찰할 수 있다. 즉 이마트 사거리로부터 상일동역 방향으로도 1km이상 상일동역 장내까지 꽤 꾸준히 비탈져 있고, 그 반대방향인 현재 고덕역 방향으로도 비탈길인 형세이다. 그나마 현 고덕역의 위치는 이런 악조건을 이겨내고 겨우 타협한 위치에 자리잡은 것이다. 따라서 이마트 사거리 정중앙 지하에 역을 개설한다면 역 구내 선로 내리받이가 없어야 하는 승강장 설치 기준에 저촉되거나, 설치 기준을 맞추기 위해 승강장의 심도를 더 깊게 해야 한다. 이렇게 되면 승객 입장에서 계단을 오르내리는데 많은 어려움을 주게 된다. 고덕역에서 볼 수 있는 이유와 비슷한 예로 [[명일역]]과 [[굽은다리역]]의 위치 설정을 들 수 있다. 이 두 역 사이의 구간도 600m이상의 길이로 굽은다리 방향으로 비탈길 모양이 되는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구배가 없는 현 명일역, 굽은다리역 위치에 역을 따로 설치하게 되었다. 5호선 강동분기 구간에는 사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역이 하나도 없다. 5호선 상일동-왕십리 구간 개통 1년 전에 발간된 도로교통지도를 보면 이 역의 이름이 고덕역이 아닌 '배재고역'으로 나오고, 현재의 '상일동역'이 고덕역으로 나온다. 해당 학교 교사들의 설명에 따르면 대학교도 아니고 출신 고등학교를 활용한 로비가 있었던 모양인데, 막판에 고등학교 이름을 지하철역으로 쓰는 것이 부적합하다는 판정을 받아 역 이름만 바뀌었다고 한다. 만일 배재고역으로 개통했으면 한국 지하철에서 유일하게 고등학교 이름이 역명에 들어가는 경우가 되었을 것이다. 다만 부역명으로 고등학교 이름을 쓰는 역이 유일하게 있는데, [[대구 도시철도 2호선]] [[담티역]]의 부역명이 대륜고등학교다. 배재고 쪽으로 지하철이 치우친 것도 이런 이유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나, 앞에서 거론한 사실 때문에 설득력이 다소 떨어진다. 또한 건설 당시 해태백화점(현 이마트)보다는 주양쇼핑이나 근처 아파트의 주민수요가 컸음을 감안하면 현재 고덕역의 위치는 이해하지 못할 바는 아니다. 당시에는 한영외고 옆의 강동경희대병원도 없었고, 이마트 너머의 상권도 그렇게 큰 편은 아니었다. 이 지역이 뜨기 시작한 것은 최소한 1999~2000년. 사실 1994~95년만 해도 명일2동 상권은 신도시 풍의 저밀도 상권으로서, 운치 있는 만남의 장소로 각광을 받았었다. 또한 [[명일역]]과 마찬가지로 이 역은 고덕동과 명일동의 경계에 딱 위치하여, 명일동 일대를 고덕동으로 착각하게 만드는 주범이 되기도 하는데, 사실 고덕역 4번, 5번 출구는 모두 명일동에 위치해 있으며, 주양쇼핑이나 신동아아파트 등 고덕역 4,5번 출구 이남 역시 모두 명일동이다. == 일평균 이용객 == 고덕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다. ||<-10> [[수도권 전철 5호선|{{{#ffffff '''수도권 전철 5호선'''}}}]] [[서울 지하철 5호선|{{{#ffffff '''(서울 지하철 5호선)'''}}}]] || ||<^|1><-10>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2000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16,988명 || 17,807명 || 17,319명 || 17,607명 || 16,545명 || 15,346명 || 16,046명 || 16,114명 || 16,133명 || 16,461명 ||}}}}}}}}} ||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 17,477명 || 17,831명 || 17,773명 || 17,595명 || 17,729명 || 17,290명 || 16,969명 || 18,924명 || 19,071명 || 19,428명 || || 2020년 || || '''13,893명''' || * 출처: [[http://www.seoulmetro.co.kr/kr/board.do?menuIdx=548|서울교통공사 자료실]] [[상일동역]]과 마찬가지로 주변 재건축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2017년의 하루 평균 이용객은 18,924명으로 2만 명이 조금 안 되는 수준인데, 이미 2000년대 초반부터 16,000~17,000여 정도의 이용객이 꾸준히 찾는 역이었다. 다만 현재의 고덕아이파크, 래미안힐스테이트 자리가 재개발될 당시에 이용객이 줄어 2005년에 15,000명 선까지 줄었지만, 이 아파트들이 입주를 시작할 때마다 탑승객이 증가하는 패턴을 보였다. 대표적으로 2010년과 2017년에 각각 1천 명, 2천 명씩 늘어났다. 현재도 [[고덕차량사업소]]-[[올림픽대로]]-[[아리수로]] 사이의 땅을 고덕지구로 개발할 예정에 있기에, 이곳의 개발과 동시에 5호선이 하남으로 연장되어 배차가 조밀해지고, 9호선 연장으로 인해 미래가 밝은 역이다. == [[수도권 전철 5호선]] 승강장 == [[파일:attachment/10102.jpg|width=500]] 승강장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으로 지어졌으며 2009년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었다. 스크린도어가 닫힐 때 경고음이 추가되었다. 역명판이 [[굽은다리역]]처럼 정말 납작한데, 2017년경 역명판 폰트가 서울남산체로 바뀌었을 때 역 번호 부분에는 스티커를 새로 붙이지 않았다. ||<-4> [[명일역|명일]] ↑ || || {{{#ffffff 하}}} || ㅣ || ㅣ || {{{#ffffff 상}}} || ||<-4> ↓ [[상일동역|상일동]] || || {{{#ffffff 상}}} ||<|2>[[파일:Seoulmetro5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5호선]]||[[강동역|강동]]·[[왕십리역|왕십리]]·[[여의도역|여의도]]·[[방화역|방화]] 방면 || || {{{#ffffff 하}}} ||[[상일동역|상일동]]·[[미사역|미사]]·[[하남풍산역|하남풍산]]·[[하남검단산|하남검단산]] 방면 || == [[서울 지하철 9호선]] 승강장(예정) == ||<-4> 일반: [[신명일역|신명일]], '''{{{#red 급행:}}}''' [[중앙보훈병원역|중앙보훈병원]]↑ || || {{{#ffffff 하}}} || ㅣ || ㅣ || {{{#ffffff 상}}} || ||<-4> ↓ 일반(완행): [[샘터공원역|샘터공원]], '''{{{#red 급행:}}}''' 당역종착 || || {{{#ffffff 상}}} ||<|2>[[파일:Seoulmetro9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9호선]]|| 완행·급행 ||[[신논현역|신논현]]·[[당산역|당산]]·[[김포공항역|김포공항]]·[[개화역|개화]] 방면|| ||<|2> {{{#ffffff 하}}} || 완행 ||[[샘터공원역|샘터공원]] 방면|| == [[서울 지하철 9호선]] 연장 == [[서울 지하철 9호선]]을 연장해 고덕역을 종착역으로 하자는 민원이 있었다.[* [[http://www.metro9.co.kr/bbs/board/List.asp?code=HopeBoard|서울시메트로9호선]] 212번글] 만약, 이게 성사되면 막장환승이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 5호선 고덕역은 1번 출구 쪽에서 역사가 지상으로 노출되어 있는 데다가 사거리에서도 좀 벗어나 있는 등 환승을 일부러 어렵게 만든 듯한 구조로 지어져 있기에, 현재 5호선 고덕역의 위치와 9호선 고덕역 예상 위치의 거리는 200m 정도. [[잠실역]] 환승과 동일한 수준이다. 쉽게 말해 '''[[강동구]]판 [[신당역]]'''이 될 상황이다. 어쩔 수가 없었는게 환승계획이 5호선 건설 당시부터 내정되있었더라면 공사 당시 9호선 시설물까지 만들어둔 [[여의도역]]과 [[올림픽공원역]]처럼 대비를 해두었겠지만, 그 당시의 9호선은 강동구쪽으로 북진하는게 아니라 [[경기순환철도|수도권 순환전철노선]]과 접속해서 직결운행할 계획이었기 때문이다. 강동구청에서는 진작부터 이렇게 하자고 꾸준히 정부를 설득했다고 한다. 하지만 이렇게 될 경우, 남쪽에서 치고 오는 9호선 강동구간 특성상, 들어온다면 명일지구대 앞쪽 길로 들어올 수밖에 없는 것이 문제인 것이다. 그나마 강동경희대병원이 남쪽에 있는 것을 고려해, 9호선 승강장은 사거리에서 더 남쪽으로 뚫릴 수 있다. 즉, [[막장환승]]이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9호선을 연장하는 방안에 대하여 부정적인 의견도 있다. 왜냐하면 기존 5호선과의 거리도 생각보다 가깝고, 예상 연장 구간의 동쪽은 개발이 거의 되어 있지 않아 한동안 수요가 전혀 없다고 예측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 대신 5호선 [[올림픽공원역]]을 [[금정역]]처럼 통합하고, 선로 여유가 많은 올림픽공원-상일동 사이를 직결 운행하자는 의견이 좀 더 설득력을 얻고 있는 듯. [[2010년]] [[4월]]에 있었던 타당성 조사에서 시장성이 없다고 반려되었는데, [[강동구]]는 포기할 생각이 없다고 한다. [[파일:attachment/2011101807311_2011101978151.jpg]] [[2011년]], [[국토해양부]]가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한다.[*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1101807311|「9호선 고덕역까지 연장…강동ㆍ하남 '들썩'」, 2011-10-18, 한국경제신문]]] 강동구의 대규모 보금자리 사업이 구민의 반발을 일으키자 정부가 9호선 연장으로 달래려는 것. 그리고 결국 [[2012년]] [[12월 20일]] [[서울 지하철 9호선]]을 [[중앙보훈병원역]]에서 이 역을 거쳐 [[샘터공원역]]까지 연장하기로 확정이 되었다. [[중앙보훈병원역]] 이후에 [[길동생태공원역]], [[신명일역]], [[고덕역]], [[샘터공원역]] 이렇게 4개가 추가된다.[* 단, 급행열차는 샘터공원역에 정차하지 않는다.] 참고로 [[신명일역]]에서 올라오는 현행의 노선은 이 문단의 맨 위에 써 있는 그 '막장환승 예측'과 정확히 같은 길.[* [[http://cafe.daum.net/kicha/ANo/22531|관련 게시물, 2012-12-23, 다음카페<철도동호회>]]] 건설계획에 의하면 9호선 고덕역과의 환승통로는 150m 정도로 예상된다고 한다. 아울러 환승통로 길이를 고려하여 무빙워크도 설치할 예정이라고. 원래 [[샘터공원역]]은 [[2011년]] 초기 발표 때에는 없었다가 [[2012년]] [[12월]] 최종 발표 때 추가되었다. 또한 강일리버파크단지 가운데에 위치하는 신강일역(가칭) 연장도 추진중이다. == 연계 교통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1 {{{#373a3c,#c3c6c8 '''고덕역 (25139, 25140)'''}}}}}} {{{#!wiki style="text-align: left" }}} || ||<^|1>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버스 목록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2> '''배제중고등학교 방면 (25139)''' || || [[공항버스|{{{#ffffff 공항버스}}}]]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b4513; font-size: .95em" [[공항버스 6300|{{{#ffffff 6300(인천공항T2)}}}]]}}} || || [[간선버스(서울)|{{{#ffffff 간선버스}}}]]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340|{{{#ffffff 340(강남역)}}}]]}}} || || [[지선버스(서울)|{{{#ffffff 지선버스}}}]]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3412|{{{#ffffff 3412(강동공영차고지)}}}]]}}} || || [[심야버스(서울)|{{{#ffc600 심야버스}}}]]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N30|{{{#ffc600 N30(서울역버스환승센터)}}}]]}}} || ||<-2> '''고덕평생학습관.온조대왕체육관 방면 (25140)''' || || [[간선버스(서울)|{{{#ffffff 간선버스}}}]]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340|{{{#ffffff 340(강동공영차고지)}}}]]}}} || || [[지선버스(서울)|{{{#ffffff 지선버스}}}]]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3412|{{{#ffffff 3412(우면동)}}}]]}}} || || [[심야버스(서울)|{{{#ffc600 심야버스}}}]]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N30|{{{#ffc600 N30(강동공영차고지)}}}]]}}}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1 {{{#373a3c,#c3c6c8 '''고덕역1번출구 (25518, 25528)'''}}}}}} {{{#!wiki style="text-align: left" }}} || ||<^|1>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버스 목록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2> '''명일신동아아파트 방면 (25518)''' || || [[서울특별시 마을버스|{{{#ffffff 마을버스}}}]]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강동02|{{{#ffffff 강동02(암사동서원마을)}}}]]}}} || ||<-2> '''고덕1동주민센터.두레근린공원 방면 (25528)''' || || [[서울특별시 마을버스|{{{#ffffff 마을버스}}}]]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강동02|{{{#ffffff 강동02(가래여울)}}}]]}}} ||}}}}}}}}} ||}}} [[분류:1995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대한민국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수도권 전철 5호선]][[분류:서울 지하철 5호선 구간]][[분류:서울 지하철 9호선]][[분류:대한민국의 착공 예정 철도역]][[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분류:서울 강동구의 교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