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한화 이글스/간략(코칭스태프))] ||
'''{{{#fff 고동진의 수상 경력 / 역임 직책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KBO 준플레이오프 MVP)] ---- [include(틀:한화 이글스 주장)] ---- ||<-5>
'''{{{#fff [[한화 이글스|{{{#fff 한화 이글스}}}]] 등번호 45번}}}''' || || [[전경일]][br](2003) || {{{+1 →}}} || '''고동진[br](2004)''' || {{{+1 →}}} || 서민욱[br](2006~2007) || ||<-5> '''{{{#ffffff [[한화 이글스|{{{#ffffff 한화 이글스}}}]] 등번호 24번}}}''' || || [[조현수(외야수)|조현수]][br](2004~2005) || {{{+1 →}}} || '''고동진[br](2005~2008)''' || {{{+1 →}}} || [[신민기(1980)|신민기]][br](2009) || ||<-5> '''{{{#ffffff [[한화 이글스|{{{#ffffff 한화 이글스}}}]] 등번호 56번}}}''' || || [[오선진]][br](2008~2010) || {{{+1 →}}} || '''고동진[br](2011~2014)''' || {{{+1 →}}} || [[최우석(야구선수)|최우석]][br](2015) || ||<-5> '''{{{#ffffff [[한화 이글스|{{{#ffffff 한화 이글스}}}]] 등번호 24번}}}''' || || [[박준혁(1991년 1월)|박준혁]][br](2014) || {{{+1 →}}} || '''고동진[br](2015~2016)''' || {{{+1 →}}} || [[박준혁(1991년 1월)|박준혁]][br](2017) || ||<-5> '''{{{#ffffff [[한화 이글스|{{{#ffffff 한화 이글스}}}]] 등번호 80번}}}''' || || [[황재규]][br](2016) || {{{+1 →}}} || '''고동진[br](2017~)''' || {{{+1 →}}} || 현역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4 고동진 프로필.png|width=100%]]}}} || ||<-2> '''한화 이글스 No.80''' || ||<-2> '''{{{+2 고동진}}}[br]高東鎭 | Ko Dongjin''' || ||<|2> '''출생''' ||[[1980년]] [[4월 1일]] ([age(1980-04-01)]세) || ||[[대전광역시]] [[대덕구]]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중리초 - [[한밭중학교|한밭중]] - [[대전고등학교 야구부|대전고]] - [[성균관대학교 야구부|성균관대]] || || '''신체''' ||183cm, 85kg || || '''포지션''' ||[[외야수]][* 주로 [[좌익수]]와 [[우익수]]로 나왔으며, [[중견수]]로도 가끔 나왔다. 중견수로서 수비능력은 조금 애매한 편이지만 중견수자원이 없던 시절엔 [[정현석]], [[김경언]]과 함께 중견수로도 자주 나왔다.] || || '''투타''' ||[[좌투좌타]] || || '''프로 입단''' ||[[한국프로야구/2000년/신인 드래프트#s-3.2|2000년 2차 4라운드]] (전체 32번, [[한화 이글스|한화]]) || || '''소속팀''' ||'''[[한화 이글스]] (2004~2016)''' || || '''지도자''' ||[[한화 이글스/2군|한화 이글스 2군]] 주루코치 (2017)[* ~6월 13일] [br] [[한화 이글스]] 1군 타격보조코치 (2017)[* 6월 14일~8월 26일] [br] '''[[한화 이글스]] 1군 주루코치 (2017~2020)[* 2017년 8월 27일~2020년 6월 7일]''' [br] [[한화 이글스/2군|한화 이글스 2군]] 주루코치 (2020~2023)[* 2020년 6월 8일~2023년 5월 11일] [br][[한화 이글스]] 1군 작전코치 (2023)[* 5월 12일~] [br][[한화 이글스/2군|한화 이글스 2군]] 작전·주루코치 (2024~)|| || '''병역''' ||[[사회복무요원|공익근무요원]] [[소집해제]] (2009~2010) || || '''응원가''' ||[[메칸더 V]] 오프닝[* 고동진~ 고동진~ 고동진~ 안타! 날려버려 날려버려 고!동!진!x4][* [[용덕한]]이 두산 시절 쓰던 응원가도 이와 같은 원곡이다.] [br] 황규영 - 나는 문제없어[* 최강 한화의 고동진 워어 안타 고동진~ 한화 승리 위해 저 하늘로 날려버려~ 최강 한화의 고동진 워어 안타 고동진~ 최강 한화 승리 위해 나는 문제 없어~] || [목차] [clearfix] == 개요 == 現 [[한화 이글스]]의 코치. 한화의 어중간한 외야수 모음인 [[김고추정이]]의 일원이자 별명은 [[고등학생|고동학생]], [[봉사|고봉사]]. == 선수 경력 == === 아마추어 시절 === 대전 출신 토박이로 중학교 2학년때까지는 평범한 학생이었으나, 자신의 뛰어난 운동신경을 감지하고 야구부가 있는 [[한밭중학교]]로 전학해 야구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본래 2000년도 드래프트 때 [[한화 이글스]]에 입단하기로 했지만 [[성균관대학교 야구부|성균관대학교]]에 입학하면서 입단은 2004년도로 미루어졌다. === [[한화 이글스]] === 2004 시즌, 공수주를 겸비한 깜짝 신인의 등장에 1번 타자의 재림에 목말라 하는 [[한화 이글스]]의 팬들을 들뜨게 했다. 데뷔 첫해 타율 0.317을 기록했으니 기대가 클만도. 하지만 그 이후엔 전술한 대로 로또 수준의 타격 능력을 보이며 팬들의 애만 태웠다.[* 데뷔 시즌 당시에도 볼삼비를 보면 매우 좋지 않았다. 0.2...] 그놈의 수비 능력은 여전히 요상하게 상대팀 아웃카운트를 늘렸지만, 그놈의 타격 능력 또한 소속팀의 아웃카운트를 늘려서 여전히 팬들의 마음을 후벼파고 있다. 오죽하면 고동진이 4타수에 2안타를 친 경기가 있은 직후 야구 관련 게시판과 응원 게시판에는 '''내가 고동진이 4타수 2안타를 친 것을 보다니... 이제 죽어도 여한이 없다'''라는 말이 나올까. 그렇게 [[잉여]]짓을 하는 와중에도, [[KBO 준플레이오프/2005년|2005년 준플레이오프]] 3차전 4:3으로 이기고 있을 때 솔로 홈런을, [[KBO 준플레이오프/2007년|2007년 준플레이오프]] 3차전에서 [[오승환]]으로부터 뜬금포를 친 적도 있다. [[이범호]]의 홈런에 이은 확인 사살로, [[한화 이글스]]의 플레이오프행을 결정지은 홈런. 그 이후로 [[한화 이글스]]는 가을 야구는 고사하고, [[LG 트윈스]]의 [[6668587667]]의 아성에 도전하고 있는 중. 결국 2008 시즌이 끝나고 [[한상훈]]과 비슷한 시기에 [[사회복무요원|공익근무요원]]으로 복무했고, 소집 해제 후 2011 시즌을 맞이했다. ==== 2011 시즌 ==== 군복무 이전 [[김인식]] 前 감독의 무한 믿음으로 무한 기용되어 성장 기회는 확실히 보장받았지만, 그에 준하는 성장은 하지 못했다는 평가. 다행히 공익 제대후 팀 선수층이 얇은 덕에 준주전급으로 기용이 되었으나, 지켜보는 팬들의 입장에선 참 답이 없다. 4월 한동안은 선발 출장하며 중견수를 봤지만 역시 '''타격'''때문에 2군으로 강등. 그러다가 다시 6월 9일 1군 복귀하여 선발 출장했는데, 홈런 1개와 안타 2개로 뜬금없이 폭발하며 한화의 4:1 승리에 한몫하였다. 게다가 8⅔이닝 동안 호투한 [[양훈]]이 수훈 선수로 꼽힐 것이라는 예상을 깨고 6월 9일 수훈 선수로 선정되기까지 했다! 이에 한화팬들은 역시 [[카림 가르시아]]의 외야 합류에 의한 외야경쟁에서 짤릴 위기에 놓이자 고동진의 운동신경이 각성 한것 아니냐는 반 우스개성 이야기도 들리는중. [[한화 이글스/2011년/6월/17일|6월 17일]]에는 두산과의 1차전에서 연장 10회초 2사 만루의 상황에서 [[최준석]]의 잘맞은 타구를 '''놀라운 호수비로 잡아냈다.''' 고동진의 호수비가 없었다면 이후 나온 [[카림 가르시아|가르시아]]의 끝내기 홈런도 없을 뻔했다. [[https://youtu.be/30kJAcynyqY|영상]] 이 날의 숨은 MVP. 이 장면은 2011 [[한화 이글스 갤러리]] 어워드 올해의 수비상을 수상했다. 2011년 8월 11일 삼성과의 경기, 9회초 3:1로 앞선 상황에서 [[정현욱(1977)|정현욱]]을 상대로 갑자기 뜬금없는 솔로 홈런을 작렬! 그리고 그것이 '''팀의 3,000번째 홈런'''이 되면서 '''기록'''에 자신의 이름을 올리게 되었다. 2011 시즌 기록은 97경기 195타수 49안타 3홈런 3도루 타율 .251로, 공익근무를 하고 돌아온걸 감안하면 나름대로 괜찮은 활약을 해줬다. ==== 2012 시즌 ==== [[한화 이글스/2012년/5월/11일|5월 11일]] [[청주종합운동장 야구장]]에서 열린 [[롯데 자이언츠]]와의 경기에서 팀이 스코어 7:1로 지던 5회말 2사 만루에서 [[이여상]]의 대타로 나와서 롯데 [[선발 투수]] [[고원준]]을 상대로 팀의 역전의 발판을 마련한 대타 만루홈런을 쳤다! KBO 역대 38번째 대타 만루홈런. 이날 3타수 1안타 1홈런 4타점 1득점을 기록하여 타율을 .278까지 끌어 올렸고, 팀은 명경기 끝에 7:0의 스코어를 9:15로 만들고 역전승했다. 9월 19일 [[삼성 라이온즈]]와의 시즌 최종전이었던 홈경기에서 1번 타자로 선발 출장, 6회 시즌 3호 결승 2점 홈런을 작렬시키며 팀의 8:6 역전승을 견인했다. 유독 삼성전에 강한(타율 .420) 모습으로, 특히 [[배영수]]와의 승부에서는 배영수의 머리 위에서 노는 듯한 무서움을 보이고 있다. 의외로 시즌 내내 준수한 타율을 유지하고 있으나, 주루사가 잦고 클러치 상황에서 큰 활약이 드물고, 무엇보다도 팀 성적이 좋지 않아 주목받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시즌 기록은 110경기 281타수 76안타 3홈런 8도루 타율 .270로, 데뷔 시즌을 제외하고 가장 높은 타율을 기록했다. 시즌 종료 후 무릎 수술을 결정했다. 무릎 연골의 마모로 인한 만성적인 통증 때문이었다고 한다. ==== 2013 시즌 ==== 시즌이 시작되자마자 한화는 개막 13연패를 찍으며 개막전 최대 연패라는 불명예 기록을 새롭게 작성하게 되었다. 여기에는 갖가지 원인들이 산재해 있었지만, 외야 수비의 불안정 또한 적지 않은 기여를 했다. 시즌 초 [[최진행]]의 무릎 상태가 좋지 않아 지명타자로 기용해야 했는데, 이로 인해 지명타자로 기용될 예정이었던 [[김태완(1984)|김태완]]을 우익수로 돌려써야 했다. 허나 김태완은 애초에 1루수 수비만 가능했던 내야수였고, [[김태균]]보다 느리다고 평가받는 그의 다리는 총알같이 날아가는 타구에 속수무책이었다. 그런데다 잔뜩 기대받던 정현석 역시 방망이는 그렇다 쳐도 수비에서는 입대 전보다 퇴보한 모습으로 일관하고 있었으니... 팀 사정이 이 지경으로 몰리다보니 아이러니하게도 고동진을 그리워하는 한화팬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 현실. 다행히 무릎 수술 후 순조롭게 재활중이라는 소식이 들려왔으며, 실전 경기에는 5월 쯤에 돌아올 수 있을 듯. 팀 사정상 예정보다 이른 4월 30일 [[롯데 자이언츠]]와의 경기에 8번 지명타자로 선발출장, 복귀전을 가졌다. 첫 타석에서는 좌익수 앞 안타를 쳤으나 2루까지 오버런하다가 아웃. 허나 이후에도 희생번트를 성공시키고 볼넷 하나와 안타 하나를 추가하며 활약했다. 무릎 수술을 받고 돌아와서 첫 경기를 치른 것을 감안하면 빼어난 활약이었고, 덕분에 우타일색이었던 한화의 타선을 조금 더 짜임새있게 만들 수 있었다. 경기는 9:3으로 한화의 완승. 한화팬들은 부디 빠른 복귀로 인해 탈나지 말고 성공적으로 1군에 안착해 주기를 바랬다. 시즌 내내 주로 1번타자, [[중견수]]로 출장했으며, 타격에서는 9월전까지는 기대에 비하면 약간 아쉬운 활약이라 보였으나, 중견수로 합류한 뒤에는 비교적 [[한화 이글스]]의 외야수비가 사람다워지는 데 공헌했다. 다만 타격 이외에 아쉬운 점은, 1번타자로서 필요한 주루능력이 무릎 수술덕에 퇴보하여 주루사라든가 특히 도루부분에서 4개의 도루를 기록한데 비해 도루자가 8개를 기록했다. 9월 들어서는 가을이라 그런지 작년과 마찬가지로 다시 맹타를 휘두르고 있는데 9월 12일 기준으로 9월 타율이 5할이다. 그리고 '''데뷔 10년만에 커리어하이'''를 달성했다.[* 이전 최고 성적은 12년의 110경기 76안타 3홈런 29타점 38볼넷 48삼진인데, 경기수는 많으나 타수는 13년보다 적다.] 기록은 93경기 .272 85안타 31타점 1홈런 34볼넷 54삼진 11병살 2실책 .350 .327 .677. 1달을 날려먹고 부상에서 덜 회복된 채로 복귀했다는 것을 감안한다면 매우 좋은 성적. 12월 7일 신부 박다은 양과 [[http://osen.mt.co.kr/article/G1109738269|결혼에 골인했다.]] ==== 2014 시즌 ==== 시즌 전, [[김태균]]으로부터 주장직을 넘겨받게 되었다. [[이용규]]가 수술 후 몸상태를 회복하는 동안 외야의 중심을 책임지는 중책을 맡을 것으로 보인다. 2014년 연봉협상에서 2,000만원 상승한 1억원에 도장을 찍으며, 억대 연봉으로 재진입했다. 3월 30일 롯데와의 개막전에서 투수 [[크리스 옥스프링]]을 상대로 솔로 홈런을 기록했다. 한 점 차로 쫓기던 상황에서 도망가는, 한 점 이상의 가치가 있는 귀중한 홈런이었다. 4월 10일 [[NC 다이노스]]와의 원정경기에서 좌익수 겸 5번타자로 선발 출전하여 9회초 3:3 동점 상황에서 결승 헛스윙을 기록했다. 2-2카운트 상황에서 상대투수 [[김진성]]의 낮은 공에 배트가 그대로 돌아갔는데, 포수 [[허준(1981)|허준]]이 포일을 범한 것. 1루에 주자가 있었기 때문에 낫아웃 출루는 되지 않았고, 아무튼 팀은 4:3으로 승리했다. 4월 19일 [[LG 트윈스]]전에서 7:7 동점이던 10회말에 [[이용규]]를 홈으로 불러들이는 끝내기 안타를 쳐냈다. 본인의 프로 첫 끝내기 안타이기도 하다. 이 때 덕아웃에서 번트 싸인이 났는데, 싸인 전달 과정에서 미스가 난 상황에서 나온 안타여서 '''[[강민호|번트요? 저 고동진인데요]]''' 드립이 탄생했다. 4월 20일 [[LG 트윈스]]전에서 [[정찬헌]]의 [[정근우]] 사구 사건 때 주장으로서 가장 앞장서서 달려나가다가 마운드 앞에서 넘어지는 바람에 소소한 웃음을 줬다. 5월 1일 [[롯데 자이언츠]]전에서 9회말 1사 1, 2루 상황에서 [[박종윤(1982)|박종윤]]의 장타성 타구를 잡아내고 빠르게 내야로 송구하여 1루 주자 [[루이스 히메네스(1982)|루이스 히메네스]]를 아웃시키며 경기 승리를 이끌었다. 그 후에는 타격에서도 수비에서도 내리막을 타면서 결국 2군으로 내려갔고, [[한상훈]]과 [[김태균]]이 주장 대행을 맡아야 했다. ==== 2015 시즌 ==== 6월 13일 대전 LG 전에서 1군에 콜업되었다. 이날 대타로 나와 첫 타석에서는 아웃으로 물러났다. 이때까지만 해도 한화 팬들은 별 기대를 안했는데... '''그 다음 타석에서는 3타점 싹쓸이 2루타를, 세 번째 타석에서는 1타점 적시 2루타로 총 4타점을 올렸다!''' 덕분에 중계창은 순식간에 찬양 모드로 돌변, '''갓동진'''이라면서 칭송했다.[* 2루타 하나는 좌투수를 상대로 쳤다.] 동시에 [[최진행]]을 빼고 고동진을 대타로 쓰신 [[김성근]]의 혜안에 감탄했다는... 6월 17일 대전 SK전 7:6상황 9회 말 무사 1루 주자 최진행이 있는 상황에서, 상대 투수 [[정우람]]과의 승부에서 1구 번트 파울(그것도 볼에)을 한뒤 [[김성근]] 감독은 여의치 않으면 타격을 하라는 지시를 했으나, 2구에 다시 번트를 대 투수 앞에서 잡히고 말았다. 이때 번트를 댄 2구 역시 볼이었다. 그 다음 타자가 [[김태완(1984)|김태완]]-[[정범모]]-[[권용관]]이었는데 정범모와 권용관의 타격을 감안한다면 매우 안타까운 플레이었다. 이후, 김태완이 안타를 쳐서 1사 1, 2루가 되었지만 두 타자 연속으로 아웃이 되면서 경기가 종료되었다. 그리고 이 번트 때문에 번트 특타라도 받았는지 7월 21일 kt 전에서 선발출장하며 8회 희생 번트를 잘 대서 득점의 기틀을 마련했다. 이날 전체적으로 나름대로 각오를 하고 올라온건지 타석마다 치기는 다 쳤다. 단지 4회엔 단타를 쳤지만 2루 가던 [[이종환(야구)|이종환]]을 죽여버렸고, 2회, 7회엔 그냥 플라이 아웃. 4회 땐 그래도 [[정근우]]가 3루까지 가줬기 때문에 득점으로만 이어졌으면 좀 더 고평가받았겠지만, 후속 타자 [[강경학]]이 투수 앞 땅볼로 죽어버리는 통에 득점은 실패해서 그냥 이종환 죽인 것만 남아버렸다. 그래도 이전까지 꽉 막혀서 답답했던 것에 비해 나름대로 자잘한 활약을 해줘서 이렇게라도 꾸준히 해주길 팬들은 기대중. 7월 28일 신인 포수 [[지시완|지성준]]을 1군으로 올리고 내신 고동진을 내렸다. 이로서 한화는 엔트리에 포수만 [[조인성(야구)|조인성]], [[정범모]], 지성준 3인이 되었는데, 어느 포지션이고 꾸준히 믿고 쓸 선수가 없어 게속 돌려막기식으로 엔트리를 짜야하는 한화의 얇은 선수층을 잘 보여주고 있다. 8월 16일 [[주현상]], [[장운호]]가 2군으로 내려가고 대신 고동진과 [[제이크 폭스]]를 1군으로 올렸다. 이날 한화는 에이스 [[에스밀 로저스]]를 올리고도 5:6으로 역전패했는데, 9회 가운데 점수를 내준 2회와 8회 모두 고동진의 구린 낙구 지점 판단과 송구 판단이 빌미가 되어 결국 실점으로 이어졌다. 주자 1루에서 중전 안타를 맞았는데 1루 주자가 3루까지 안착하는 [[답이 없는 한화의 수비]]. 결국 8회 김성근 감독은 [[송주호]]와 교체했는데, 이때 TV 카메라에 잡힌 표정이 정말 좋지 않아서 남은 시즌 험난한 날들이 이어질 듯 하다. 12월 1일 난데 없이 고동진이 검색어 순위에 올라서 설렌 한화 팬들은 그 고동진이 삼성 계열사 사장인 것을 보고 시무룩했다 한다. ==== 2016 시즌 ==== 1군에 올라오지 못하고 2군에서도 출장 기록이 없다가, 7월 29일 소리소문없이 [[웨이버 공시]]되었다. 대신 내야수 [[임익준]]이 [[육성선수]]에서 정식선수로 전환되었다. == 플레이 스타일 == 외야 수비능력은 평균 수준. 어깨 부상으로 [[대전고등학교 야구부|대전고]]시절 뒤늦게 타자로 전향을 했지만 투수 출신답게 강견이다. 하지만 문제는 발전이 없는 타구 판단능력. 고교-대학시절 주로 1루수를 봤다곤 해도, 프로 전향 이후론 쭉 우익수, 중견수로 나오고 있는데 아직도 타구판단이 좋지 않아서 뻗어나가는 라이너 타구인데도 앞으로 스타트를 끊었다가 역동작이 걸려서 위태위태한 상황을 종종 만든다. 그야말로 팬들의 똥줄을 제대로 태우는 수비능력. 하지만 위에서도 언급했듯이 강견이기 때문에 한화에서 홈승부로 주자를 잡아낼수 있는 몇 안되는 외야수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런 요상한 수비능력을 가진 그가 [[한상훈]], [[신경현]], [[유원상]]과 같이 한화를 망하게 한 4인방 한고신유로 찍혔었으니, 그 이유는 바로 '''한숨이 터져나오는''' 타격능력. 몰아치기에는 상당히 능해서 잘 맞는 날은 [[스즈키 이치로]]가 부럽지 않은 컨택을 보여주지만, 그 날이 지나가면 2군 선수만도 못한 타격을 보여준다. 그래서 별명이 고치로(잘 치는 날), 고봉사(못치는 날. 즉 '''주로 불리는''' 별명)로 극과 극.[* 혹자는 고동진을 두고 이렇게 말했다. '''하루 몰아쳐서 일주일 타율 관리하고 일주일 몰아쳐서 한달 타율 관리하고 한달 몰아쳐서 시즌 타율 관리하는 녀석.'''][* 심지어 이런 소리까지도 나온다. '''첫 타석 결과를 보고 그 날이 어떤 모드인지 짐작이 가능하다'''는 것. 이게 괜한 [[헛소리]]가 아닌 게, 실제로 첫 타석에서 안타를 친 날은 십중팔구 멀티히트이고 3안타 경기도 자주 나오는데, 첫 타석에 안 맞으면...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황당한 건 '''첫 타석이 [[볼넷]]이나 [[몸에 맞는 공]]이면 그것마저도 경기 내내 나오는 경우가 있다'''.] 타석 대비 [[몸에 맞는 공]]이 많은 선수 중 하나이다. 그래서 좋지 않은 선구안에 비해선 [[출루율]]이 그럭저럭 나오는 편이다. 기본적으로 배터박스에서 플레이트에 가깝게 붙어 있고, 웬만한 공은 안 피하고 다 몸으로 때우는 편이기 때문이다. 2005년~2007년 3시즌 동안 몸에 맞은 공이 무려 44개. 데뷔 후 [[김인식]] 감독 체제에선 주로 2번 타자로 기용되었으나, 소집해제 이후엔 컨택 능력에서 발전된 모습을 보이며 [[한대화]] 감독 체제에서는 무려 [[클린업 트리오]]에 기용되기도 했었다. 발이 빨라 한때는 깜짝 1번 타자로도 종종 나왔었다. 주루가 특기인 선수 치고 도루 수가 많진 않았지만, 당시의 한화가 도루를 잘 안하는 팀이어서 그런지 고동진의 도루능력은 팀에서 그나마 눈에 띄는 편이었다.[* 그 무렵엔 [[이영우]]가 병역비리 적발로 인해 [[공익근무요원]]으로 복무 중이라 도루를 할만한 선수가 거의 없었다.] 하지만 군문제를 해결한 이후에는 본인의 도루 수가 급감하였고, [[정근우]], [[이용규]] 등 대놓고 주루가 특기인 선수들이 팀에 합류하면서 이는 옛말이 되었다. == 지도자 경력 == 2016년 시즌 후 [[한화 이글스]]의 마무리 캠프에 코치 신분으로 합류했고, 이후 2군 주루코치 보직을 받으며 지도자 생활을 시작했다. 그 후 [[김성근]] 감독의 경질 이후 [[이상군]] 대행 체제로 전환됨과 동시에 1군 타격보조코치로 올라왔다. 그가 1군으로 올라온 후 한화 타선이 터지고 있다. 2군 코치로 있는 동안 [[김태연(야구)|김태연]], [[정경운]], [[김인환]] 등의 타격이 일취월장한 이력이 같이 언급되며 '사실 코치로는 능력자가 아니냐'는 가설이 제기되고 있다. 물론 2군에 있을 당시엔 타격코치가 아닌 주루 코치를 맡았고, 1군에 합류한 이후에도 타격'보조'코치 보직임을 감안하면 일종의 토템 기능을 하는 게 아니냐 하는 드립에 가깝다. 사실 보직이동이 되면서 고동진이 1군 타격 보조코치로 올라오자 모두가 의아해 했었다. 현역 시절의 기록이나 여러가지 면에서 뛰어난 선수도 아니었으며 지도자 시절도 굉장히 짧았기 때문이다. 물론 6월에 와서 [[kt wiz]]의 팀 방어율이 5점대 초중반으로 폭등해버린 상태고 표본도 적으니 재미로 받아들이자. 참고로 6월 14일(고동진 코치 1군 합류 이후) 각 팀의 홈런 수는 다음과 같으며, ||
'''구단''' || '''홈런 개수''' || || [[한화 이글스|한화]] || 23개 || || [[SK 와이번스|SK]] || 16개 || || [[롯데 자이언츠|롯데]] || 13개 || || [[KIA 타이거즈|KIA]] || 10개 || || [[삼성 라이온즈|삼성]] || 10개 || || [[키움 히어로즈|넥센]] || 10개 || || '''[[윌린 로사리오|로사리오]]''' || '''10개''' || || [[LG 트윈스|LG]] || 9개 || || [[NC 다이노스|NC]] || 9개 || || [[kt wiz|kt]] || 6개 || || [[두산 베어스|두산]] || 5개 || 그리고 2017년 7월 1일 경기 기준으로는 다음과 같다. ||
'''고동진 코치 합류''' || '''홈런 개수''' || || 이전 || '''61경기 40홈런''' || || 이후 || '''16경기 38홈런''' || 8월 27일부터 3루 작전코치로 보직을 변경했다. 이러한 활약 아닌 활약 덕분인지 2018년 11명의 코치가 해임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끝까지 1군 코치로서 살아 남았다. [[한용덕]], [[강인권]], [[장종훈]], [[송진우(야구)|송진우]]와 마찬가지로 한화의 프랜차이즈 선수 중 한 명이기에 앞으로가 더 기대되는 모습이다. [[한용덕]] 감독이 부임한 2018 시즌부터는 1루 주루코치를 맡는다. 그리고 팀이 정규리그 3위를 확정짓자 눈물을 보이기도 했다.[[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hanwhaeagles_new&no=1245040&exception_mode=recommend&page=1|#]] 고동진 역시 [[대전광역시]]에서 태어나고 한평생 [[한화 이글스]] 한 팀에서만 지내온 선수였으니 그럴만도 하다. 그러나 2020년 6월 8일 [[한용덕]] 감독 사퇴와 동시에 [[최원호]] 감독대행 체제로 전환되면서 1군 엔트리에서 말소되며 2군으로 내려갔다. 2020 시즌 후 코칭스태프 대규모 개편 과정에서 많은 코치진들이 재계약 불가 통보를 받고 나갔음에도 불구하고 살아남는데 성공했고, 계속 2군에서 주루코치를 맡게 된다. 이후 2군에서 선수단을 지도하다가, 2023년 5월 12일 [[카를로스 수베로]] 감독이 경질당하고 2군 감독이던 [[최원호]]가 1군 감독으로 정식 부임하면서 다시 1군으로 올라왔다. 보직은 3루 주루 및 작전코치. 그러나 2023 시즌 후 주루코치 보강 차원에서 [[김재걸]]과 [[박재상]]이 영입되면서 졸지에 고동진의 입지가 애매해졌다. 결국 다시 2군으로 이동하게 되었다. == 연도별 주요 성적 == ||<-15>
{{{#ffffff 역대 기록}}} || || 연도 || 소속팀 || 경기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4사구 || 장타율 || 출루율 || || 2004 ||<|13> [[한화 이글스|한화]] || 51 || 161 || .317 || 51 || 12 || 0 || 5 || 19 || 27 || 8 || 14 || .484 || .371 || || 2005 || 94 || 250 || .200 || 50 || 14 || 0 || 3 || 11 || 42 || 11 || 39 || .292 || .308 || || 2006 || 120 || 370 || .241 || 89 || 14 || 2 || 4 || 29 || 40 || 16 || 33 || .322 || .303 || || 2007 || 124 || 394 || .249 || 98 || 8 || '''5'''[br](3위) || 1 || 37 || 68 || 10 || 66 || .302 || .357 || || 2008 || 31 || 87 || .218 || 19 || 5 || 0 || 0 || 5 || 14 || 2 || 6 || .276 || .269 || || 2009 ||<-13><|2> 공익근무요원으로 복무 || || 2010 || || 2011 || 97 || 195 || .251 || 49 || 9 || 0 || 3 || 19 || 31 || 3 || 20 || .344 || .321 || || 2012 || 110 || 281 || .270 || 76 || 12 || 0 || 3 || 29 || 32 || 8 || 43 || .345 || .367 || || 2013 || 93 || 312 || .272 || 85 || 14 || 0 || 1 || 31 || 31 || 4 || 40 || .327 || .350 || || 2014 || 73 || 187 || .241 || 45 || 5 || 0 || 1 || 14 || 21 || 0 || 20 || .283 || .310 || || 2015 || 27 || 59 || .169 || 10 || 4 || 0 || 0 || 7 || 5 || 0 || 6 || .237 || .247 || || 2016 ||<-13> 1군 기록 없음 || ||<-2> '''[[KBO 리그|KBO]] 통산''' [br] (10시즌) || 820 || 2296 || .249 || 572 || 97 || 7 || 21 || 201 || 311 || 62 || 287 || .325 || .331 || == 기타 == * [[엔트리브]]의 신작 [[모바일 게임]]인 프로야구 6:30 홍보영상에 KBO 10개 구단 [[주장]] 중 한 명으로서 등장, 적절한 [[발연기]]와 [[5886899678|뭔가]]를 [[반어법|노린 듯한]] 멘트로 큰 웃음을 주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lWqw8jcKqXU|영상]] [[파일:캡처_2016_05_16_22_16_42_971.png]] * 의외의 인맥으로 [[오승환]]과의 친분이 있다. 은퇴 이후 [[미국]] 여행을 가서 [[오승환]]의 초청을 받아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대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경기를 관전했다는 뜬금 근황이 오승환 관련 [[http://sports.news.naver.com/wbaseball/news/read.nhn?oid=380&aid=0000000921|기사]]를 통해 전해졌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1980년 출생]][[분류:2004년 데뷔]][[분류:2016년 은퇴]][[분류:대덕구 출신 인물]][[분류:대전고등학교 출신]][[분류:성균관대학교 출신]][[분류:외야수]][[분류:좌투좌타]][[분류:빙그레-한화 이글스/은퇴, 이적]][[분류:원클럽맨/야구]][[분류:사회복무요원 출신]][[분류:KBO 준플레이오프 MVP]][[분류:제주 고씨]][[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코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