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고령군/정치, top2=성주군/정치, top3=칠곡군/정치)] [include(틀:제21대 국회의원/경상북도)] ||<-4>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5]]]] {{{#fff [[대한민국|{{{#fff 대한민국}}}]]의 [[대한민국 국회|{{{#fff 국회}}}]][[선거구|{{{#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svg|height=70]]]]}}}|| {{{#!wiki style="margin: -5px 0" '''{{{+2 {{{#fff 고령군·성주군·칠곡군}}}}}}'''[br]{{{-1 {{{#fff [[고령군|{{{#fff 고령군}}}]], [[성주군|{{{#fff 성주군}}}]], [[칠곡군|{{{#fff 칠곡군}}}]][br]高靈郡·星州郡·漆谷郡[br]Goryeong–Seongju–Chilgok}}}}}}}}}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국회선거구 고령군·성주군·칠곡군.svg|width=100%]]}}} || ||<-2> '''선거인 수''' ||<-2> 191,920명 (2020) || ||<-2> '''상위 행정구역''' ||<-2> [[경상북도]] || ||<-2> '''관할 구역'''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고령군|{{{#373a3c,#ddd 고령군}}}]] 전역''' 대가야읍, 덕곡면, 운수면, 성산면, 다산면, 개진면, 우곡면, 쌍림면 ---- '''[[성주군|{{{#373a3c,#ddd 성주군}}}]] 전역''' 성주읍, 선남면, 용암면, 수륜면, 가천면, 금수면, 대가면, 벽진면, 월항면 ---- '''[[칠곡군|{{{#373a3c,#ddd 칠곡군}}}]] 전역''' 왜관읍, 북삼읍, 석적읍, 지천면, 동명면, 가산면, 약목면, 기산면}}} || ||<-2> '''신설년도''' ||<-2> [[제17대 국회의원 선거|2004년]] || ||<-2> '''이전 선거구''' ||<-2> 고령군·성주군, 칠곡군 || ||<-2> '''국회의원''' || [include(틀:국민의힘)] || [[정희용]] || [목차] [clearfix] == 개요 == [[17대 총선]] 때부터 기존의 [[고령군]]·[[성주군]] 선거구에 [[칠곡군]]이 합류해 지금의 고령군·성주군·칠곡군 선거구가 되었다. 그 [[이인기]], [[이완영]]의 지역구였던 곳이다. 현 국회의원은 [[국민의힘]] [[정희용]] 의원이다. [[칠곡군]]은 [[군(행정구역)/대한민국|군]] 치고는 인구가 많은 편(약 11만)인데다 [[대구광역시|대구]]와 [[구미시|구미]]의 [[위성도시]]에 가까운 지역으로, [[대구광역시|대구]]와 [[구미시|구미]]에 있던 공장들이 지가가 저렴하고 [[고속도로]]가 있는 칠곡군으로 꽤 옮겨 왔으며, [[동명면]], [[지천면]], [[가산면(칠곡)|가산면]]은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에 크게 의존하는 등 [[칠곡(대구)|대구 칠곡]]과 생활권을 공유하고 있으며, [[북삼읍]], [[석적읍]]은 거의 [[구미시]]와 연담화된 지역으로 [[구미국가산업단지]]로 통근하는 젊은 인구의 비중도 제법 높다. 그렇기 때문에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율도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다. 그러나 [[칠곡군]]과 같은 [[선거구]]를 구성하는 [[고령군]]과 [[성주군]] 두 곳은 전형적인 농촌이라 보수세가 매우 높은 지역이다.[* 그나마 고령군 [[다산면]]이 어느 정도 [[대구광역시]]의 위성도시 역할도 맡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국민의힘]]의 총 득표율이 높아지게 된다. [[농어촌버스]]는 칠곡군과 성주군은 [[경일교통]], 고령군은 [[대가야여객]]에서 운영하는데 둘은 서로 계열 관계다. == 역대 국회의원 목록 == || '''총선''' || '''당선인''' || '''당적''' || '''임기''' || '''선거구''' || ||<|2> 제13대 || [[구자춘]] || [include(틀:신민주공화당)] ||<|2>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 || 달성군·'''고령군''' || || [[장영철(1936)|장영철]] || [include(틀:민주정의당)] || '''성주군·칠곡군''' || ||<|2> 제14대 || [[구자춘]] ||<|2> [include(틀:민주자유당)] || 1992년 5월 30일 ~ 1996년 2월 10일[* 임기 중 사망] || 달성군·'''고령군''' || || [[장영철(1936)|장영철]] ||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 || '''성주군·칠곡군''' || ||<|2> 제15대 || [[주진우(1949)|주진우]] ||<|2> [include(틀:신한국당)] ||<|2>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 '''고령군·성주군''' || || [[장영철(1936)|장영철]] || 군위군·'''칠곡군''' || ||<|2> 제16대 || [[주진우(1949)|주진우]] ||<|3> [include(틀:한나라당)] ||<|2>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 '''고령군·성주군''' || ||<|3> [[이인기]] || '''칠곡군''' || || 제17대 ||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5> '''고령군·성주군·칠곡군''' || || 제18대 || [include(틀:무소속)] ||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 || 제19대 ||<|2> [[이완영]] ||<|2>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 || 제20대 || 2016년 5월 30일 ~ 2019년 6월 13일[* 당선 무효로 의원직 상실, 잔여 임기 1년 미만으로 재보궐선거 미실시] || || 제21대 || [[정희용]] || [include(틀:미래통합당)] || 2020년 5월 30일 ~ || == 역대 선거 결과 == == 달성군·고령군, 성주군·칠곡군 (13~14대) == ===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달성군·고령군'''}}}}}}[br]{{{#ffffff 달성군, 고령군 일원}}}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이용택(1930)|이용택]](李龍澤) || 29,154 || 2위 || || [include(틀:민주정의당)] || 41.46% || 낙선 || ||<|2> {{{#ffffff {{{+5 '''2'''}}}}}} || 배영수(裵泳壽) || 5,346 || 3위 || || [include(틀:통일민주당)] || 7.60% || 낙선 || ||<|2> {{{#ffffff {{{+5 '''3'''}}}}}} || '''[[구자춘]](具滋春)''' || '''35,818''' || '''1위''' || || [include(틀:신민주공화당)] || '''50.93%''' || '''당선''' || ||<|3> '''계''' || '''선거인 수''' || 86,315 ||<|3> '''투표율'''[br]82.66% || || '''투표 수''' || 71,352 || || '''무효표 수''' || 1,034 || ||<-4> {{{#ffffff {{{+1 '''성주군·칠곡군'''}}}}}}[br]{{{#ffffff 성주군, 칠곡군 일원}}}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장영철(1936)|장영철]](張永喆)''' || '''44,539''' || '''1위''' || || [include(틀:민주정의당)] || '''56.80%''' || '''{{{#000000 당선}}}''' || ||<|2> {{{#ffffff {{{+5 '''2'''}}}}}} || [[김창환(정치인)|김창환]](金昌煥) || 33,868 || 2위 || || [include(틀:통일민주당)] || 43.19%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94,305 ||<|3> '''투표율'''[br]84.66% || || '''투표 수''' || 79,840 || || '''무효표 수''' || 1,433 || ===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달성군·고령군'''}}}}}}[br]{{{#ffffff 달성군, 고령군 일원}}}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구자춘]](具滋春)''' || '''30,147''' || '''1위''' || || [include(틀:민주자유당)] || '''41.59%''' || '''당선''' || ||<|2> {{{#ffffff {{{+5 '''2'''}}}}}} || 김창문(金昌文) || 4,872 || 4위 || || [include(틀:민주당(1991년))] || 6.72% || 낙선 || ||<|2> {{{#ffffff {{{+5 '''3'''}}}}}} || [[이용택(1930)|이용택]](李龍澤) || 16,973 || 3위 || || [include(틀:통일국민당)] || 23.41% || 낙선 || ||<|2> {{{#ffffff {{{+5 '''4'''}}}}}} || [[김문조]](金文祚) || 20,491 || 2위 || || [include(틀:무소속)] || 28.27%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99,587 ||<|3> '''투표율'''[br]73.96% || || '''투표 수''' || 73,657 || || '''무효표 수''' || 1,174 || ||<-4> {{{#ffffff {{{+1 '''성주군·칠곡군'''}}}}}}[br]{{{#ffffff 성주군, 칠곡군 일원}}}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장영철(1936)|장영철]](張永喆)''' || '''55,124''' || '''1위''' || || [include(틀:민주자유당)] || '''71.97%''' || '''{{{#000000 당선}}}''' || ||<|2> {{{#ffffff {{{+5 '''2'''}}}}}} || 도호기(都鎬基) || 21,468 || 2위 || || [include(틀:민주당(1991년))] || 28.02%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94,585 ||<|3> '''투표율'''[br]83.24% || || '''투표 수''' || 78,731 || || '''무효표 수''' || 2,139 || == 고령군·성주군, 군위군·칠곡군, 칠곡군 (15~16대) ==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고령군·성주군'''}}}}}}[br]{{{#ffffff 고령군, 성주군 일원}}}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주진우(1949)|주진우]](朱鎭旴)''' || '''13,424''' || '''1위''' || || [include(틀: 신한국당)] || '''27.65%''' || '''당선''' || ||<|2> {{{#ffffff {{{+5 '''2'''}}}}}} || 도호기(都鎬基) || 1,774 || 9위 || || [include(틀: 새정치국민회의)] || 1.65% || 낙선 || ||<|2> {{{#ffffff {{{+5 '''3'''}}}}}} || 김창문(金昌文) || 4,467 || 4위 || || [include(틀:통합민주당(1995년))] || 9.20% || 낙선 || ||<|2> {{{#ffffff {{{+5 '''4'''}}}}}} || 송인식(宋寅植) || 7,940 || 2위 || || [include(틀: 자유민주연합)] || 16.35% || 낙선 || ||<|2> {{{#ffffff {{{+5 '''5'''}}}}}} || [[김종기(정치인)|김종기]](金鍾基) || 1,925 || 8위 || || [include(틀:무소속)] || 3.96% || 낙선 || ||<|2> {{{#ffffff {{{+5 '''6'''}}}}}} || 박정영(朴正泳) || 4,662 || 5위 || || [include(틀:무소속)] || 9.60% || 낙선 || ||<|2> {{{#ffffff {{{+5 '''7'''}}}}}} || 심광호(沈光浩) || 1,036 || 10위 || || [include(틀:무소속)] || 2.13% || 낙선 || ||<|2> {{{#ffffff {{{+5 '''8'''}}}}}} || 이길용(李吉容) || 3,722 || 6위 || || [include(틀:무소속)] || 7.66% || 낙선 || ||<|2> {{{#ffffff {{{+5 '''9'''}}}}}} || [[이윤기(정치인)|이윤기]](李潤基) || 2,970 || 7위 || || [include(틀:무소속)] || 6.11% || 낙선 || ||<|2> {{{#ffffff {{{+5 '''10'''}}}}}} || 최도열(崔道烈) || 6,625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13.64%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68,936 ||<|3> '''투표율'''[br]73.41% || || '''투표 수''' || 50,603 || || '''무효표 수''' || 2,058 || ||<-4> {{{#ffffff {{{+1 '''군위군·칠곡군'''}}}}}}[br]{{{#ffffff 군위군 일원, 칠곡군 일원}}}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장영철(1936)|장영철]](張永喆)''' || '''19,393''' || '''1위''' || || [include(틀: 신한국당)] || '''31.07%''' || '''당선''' || ||<|2> {{{#ffffff {{{+5 '''2'''}}}}}} || 구문장(具文裝) || 1,931 || 6위 || || [include(틀: 새정치국민회의)] || 3.09% || 낙선 || ||<|2> {{{#ffffff {{{+5 '''3'''}}}}}} || 권천문(權天文) || 1,189 || 7위 || || [include(틀: 통합민주당(1995년))] || 1.90% || 낙선 || ||<|2> {{{#ffffff {{{+5 '''4'''}}}}}} || 도갑현(都甲鉉) || 7,953 || 5위 || || [include(틀: 자유민주연합)] || 12.74% || 낙선 || ||<|2> {{{#ffffff {{{+5 '''5'''}}}}}} || [[김현규]](金鉉圭) || 13,834 || 2위 || || [include(틀:무소속)] || 22.16% || 낙선 || ||<|2> {{{#ffffff {{{+5 '''6'''}}}}}} || [[이수담]](李壽談) || 7,081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11.34% || 낙선 || ||<|2> {{{#ffffff {{{+5 '''7'''}}}}}} || [[이인기]](李仁基) || 11,029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17.67%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88,036 ||<|3> '''투표율'''[br]73.11% || || '''투표 수''' || 64,363 || || '''무효표 수''' || 1,953 ||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고령군·성주군'''}}}}}}[br]{{{#ffffff 고령군, 성주군 일원}}}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주진우(1949)|주진우]](朱鎭旴)''' || '''22,740'''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49.28%''' || '''{{{#000000 당선}}}''' || ||<|2> {{{#ffffff {{{+5 '''2'''}}}}}} || [[김동태]](金東泰) || 9,379 || 3위 ||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20.32% || 낙선 || ||<|2> {{{#ffffff {{{+5 '''4'''}}}}}} || 최도열(崔道烈) || 11,786 || 2위 || || [include(틀:민주국민당(2000년))] || 25.54% || 낙선 || ||<|2> {{{#ffffff {{{+5 '''5'''}}}}}} || 박홍배(朴洪培) || 2,237 || 4위 || || [include(틀:희망의한국신당)] || 4.84%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69,485 ||<|3> '''투표율'''[br]68.01% || || '''투표 수''' || 47,259 || || '''무효표 수''' || 1,117 || ||<-4> {{{#ffffff {{{+1 '''칠곡군'''}}}}}}[br]{{{#ffffff 칠곡군 일원}}}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이인기]](李仁基)''' || '''23,898'''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53.44%''' || '''{{{#000000 당선}}}''' || ||<|2> {{{#ffffff {{{+5 '''4'''}}}}}} || [[이수성(정치인)|이수성]](李壽成) || 20,821 || 2위 || || [include(틀:민주국민당(2000년))] || 46.55%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67,130 ||<|3> '''투표율'''[br]68.94% || || '''투표 수''' || 46,280 || || '''무효표 수''' || 1,651 || ||<-10> {{{#ffffff '''16대 총선 칠곡군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include(틀:민주국민당(2000년))] ||<|2> 격차[br](1위/2위) ||<|2> 투표율[br](선거인/표수) || || '''후보''' || [[이인기|{{{#ffffff '''이인기'''}}}]] || [[이수성(정치인)|{{{#ffffff 이수성}}}]] || || '''득표수[br](득표율)''' || {{{#ffffff '''23,898 [br] (53.44%)'''}}} || '''20,821 [br] (46.55%)''' || '''3,078 [br] (△7.11)''' || '''46,280 [br] (68.94%)''' || || '''왜관읍''' || {{{#0000A8 57.40%}}} || 42.59% || △14.81 || {{{#696969 66.67}}} || || '''지천면''' || 41.10% || {{{#353F9C 52.68%}}} || △2.45 || 70.65 || || '''동명면''' || 47.31% || {{{#353F9C 52.68%}}} || ▼5.37 || 73.35 || || '''가산면''' || {{{#0000A8 '''59.89%'''}}} || {{{#696969 41.10%}}} || △18.79 || 73.62 || || '''석적면''' || {{{#0000A8 56.55%}}} || 43.44% || △13.11 || 73.94 || || '''북삼면''' || 43.81% || {{{#353F9C 56.18%}}} || ▼12.37 || 74.99 || || '''약목면''' || {{{#696969 30.96%}}} || {{{#353F9C '''69.03%'''}}} || '''▼38.07''' || 74.52 || || '''기산면''' || 45.27% || {{{#353F9C 54.72%}}} || ▼9.45 || 74.59 || || '''후보''' || [[이인기|{{{#0000A8 이인기}}}]] || [[이수성(정치인)|{{{#353F9C '''이수성'''}}}]] || 격차 ||<|2> || || '''부재자투표''' || {{{#0000a8 50.96%}}} || 49.03% || ▼1.93 || 이 중 칠곡군 선거구는 서울법대 출신 스승 vs 제자의 대결로 관심을 끌었고, 접전끝에 한나라당 이인기 후보가 3천표 차이로 신승을 거두게된다. == 고령군·성주군·칠곡군 (17대 ~ ) ==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고령군·성주군·칠곡군'''}}}}}}[br]{{{#ffffff 고령군[*고령 대가야읍, 덕곡면, 운수면, 성산면, 다산면, 개진면, 우곡면, 쌍림면], 성주군[*성주 성주읍, 선남면, 용암면, 수륜면, 가천면, 금수면, 대가면, 벽진면, 초전면, 월항면], 칠곡군[*칠곡 왜관읍, 북삼읍, 석적읍, 지천면, 동명면, 가산면, 약목면, 기산면] 일원}}}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이인기]](李仁基)''' || '''49,586'''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 || '''60.99%''' || '''당선''' || ||<|2> {{{#000000 {{{+5 '''3'''}}}}}} || 조창래(趙昌來) || 31,711 || 2위 || || [include(틀:열린우리당)] || 39.01%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43,718 ||<|3> '''투표율'''[br]58.09% || || '''투표 수''' || 83,480 || || '''무효표 수''' || 2,183 ||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고령군·성주군·칠곡군'''}}}}}}[br]{{{#ffffff 고령군 일원[*고령 대가야읍, 덕곡면, 운수면, 성산면, 다산면, 개진면, 우곡면, 쌍림면], 성주군 일원[*성주 성주읍, 선남면, 용암면, 수륜면, 가천면, 금수면, 대가면, 벽진면, 월항면], 칠곡군 일원[*칠곡 왜관읍, 북삼읍, 석적읍, 지천면, 동명면, 가산면, 약목면, 기산면]}}}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2'''}}}}}} || [[석호익]](石鎬益) || 37,515 || 2위 || || [include(틀:한나라당)] || 47.04% || 낙선 || ||<|2> {{{#ffffff {{{+5 '''6'''}}}}}} || 전춘길(田春吉) || 2,856 || 3위 || || [include(틀:평화통일가정당)] || 1.10% || 낙선 || ||<|2> {{{#ffffff {{{+5 '''7'''}}}}}} || '''[[이인기]](李仁基)''' || '''39,375''' || '''1위''' || || '''[include(틀:무소속)]''' || '''49.37%''' || '''당선''' || ||<|3> '''계''' || '''선거인 수''' || 153,500 ||<|3> '''투표율'''[br]53.03% || || '''투표 수''' || 81,400 || || '''무효표 수''' || 1,651 ||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고령군·성주군·칠곡군'''}}}}}}[br]{{{#ffffff 고령군 일원[*고령 대가야읍, 덕곡면, 운수면, 성산면, 다산면, 개진면, 우곡면, 쌍림면], 성주군 일원[*성주 성주읍, 선남면, 용암면, 수륜면, 가천면, 금수면, 대가면, 벽진면, 월항면], 칠곡군 일원[*칠곡 왜관읍, 북삼읍, 석적읍, 지천면, 동명면, 가산면, 약목면, 기산면]}}}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이완영]](李完永)''' || '''42,569''' || '''1위'''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50.49%''' || '''당선''' || ||<|2> {{{#3AB34A {{{+5 '''2'''}}}}}} || 최국태(崔國泰) || 9,897 || 3위 || || [include(틀:민주통합당)] || 11.73% || 낙선 || ||<|2> {{{#ffffff {{{+5 '''6'''}}}}}} || 황옥성(黃玉星) || 505 || 5위 || || [include(틀:기독자유민주당)] || 0.59% || 낙선 || ||<|2> {{{#ffffff {{{+5 '''7'''}}}}}} || [[석호익]](石鎬益) || 28,139 || 2위 || || [include(틀:무소속)] || 33.37% || 낙선 || ||<|2> {{{#ffffff {{{+5 '''8'''}}}}}} || [[송우근]](宋宇根) || 3,193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3.78%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61,254 ||<|3> '''투표율'''[br]53.01% || || '''투표 수''' || 85,479 || || '''무효표 수''' || 1,176 ||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4> [[고령군·성주군·칠곡군|{{{#ffffff {{{+1 '''고령군·성주군·칠곡군'''}}}}}}]][br]{{{#ffffff 고령군 일원[*고령 대가야읍, 덕곡면, 운수면, 성산면, 다산면, 개진면, 우곡면, 쌍림면], 성주군 일원[*성주 성주읍, 선남면, 용암면, 수륜면, 가천면, 금수면, 대가면, 벽진면, 월항면], 칠곡군 일원[*칠곡 왜관읍, 북삼읍, 석적읍, 지천면, 동명면, 가산면, 약목면, 기산면]}}}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이완영]](李完永)''' || '''57,427''' || '''1위'''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69.48%''' || ---'''당선'''---[* [[2019년]] [[6월 13일]]에 당선 무효 및 의원직 상실. 자세한 내용은 [[이완영]] 문서 참조.] || ||<|2> {{{#ffffff {{{+5 '''2'''}}}}}} || 박장호(朴壯鎬) || 25,222 || 2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30.51%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67,318 ||<|3> '''투표율'''[br]51.1% || || '''투표 수''' || 85,450 || || '''무효표 수''' || 2,801 ||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4> [[고령군·성주군·칠곡군|{{{#ffffff {{{+1 '''고령군·성주군·칠곡군'''}}}}}}]][br]{{{#ffffff 고령군 일원[* 대가야읍, 덕곡면, 운수면, 성산면, 다산면, 개진면, 우곡면, 쌍림면], 성주군 일원[* 성주읍, 선남면, 용암면, 수륜면, 가천면, 금수면, 대가면, 벽진면, 월항면], 칠곡군 일원[* 왜관읍, 북삼읍, 석적읍, 지천면, 동명면, 가산면, 약목면, 기산면]}}}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장세호]](張世浩) || 24,988 || 2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24.02% || 낙선 || ||<|2> {{{#ffffff {{{+5 '''2'''}}}}}} || '''[[정희용]](鄭熙溶)''' || '''65,236''' || '''1위''' || || [include(틀:미래통합당)] || '''62.71%''' || '''당선''' || ||<|2> {{{#ffffff {{{+5 '''7'''}}}}}} || 정한석(鄭翰錫) || 1,075 || 4위 || || [include(틀:국가혁명배당금당)] || 1.03% || 낙선 || ||<|2> {{{#ffffff {{{+5 '''8'''}}}}}} || [[김현기(1966)|김현기]](金玄基) || 12,727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12.23%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65,644 ||<|3> '''투표율'''[br]63.8% || || '''투표 수''' || 105,749 || || '''무효표 수''' || 1,723 || ||<-10> {{{#ffffff '''21대 총선 고령군 개표 결과'''}}} || ||<-10> {{{#ffffff '''국회의원 선거 (고령군·성주군·칠곡군)'''}}}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미래통합당)] || [include(틀:무소속)] ||<|2> 격차[br](1위/2위) ||<|2> 투표율[br](선거인/표수) || || '''후보''' || [[장세호|{{{#ffffff 장세호}}}]] || [[정희용|{{{#ffffff '''정희용'''}}}]] || [[김현기(1966)|{{{#ffffff 김현기}}}]] || || '''득표수[br](득표율)''' || '''3,282 [br] (17.20%)''' || {{{#ffffff '''13,112 [br] (68.74%)'''}}} || '''2,467 [br] (12.93%)''' || '''- 9,830 [br] (▼51.54)''' || '''19,452 [br] (67.32%)''' || || '''대가야읍''' || 17.19% || {{{#ff7e9d 64.93%}}} || '''16.89%''' || '''▼47.74''' || 63.10 || || '''덕곡면''' || {{{#696969 10.50%}}} || {{{#ef426f '''77.20%'''}}} || 10.94% || {{{#696969 △66.26}}} || '''71.40''' || || '''운수면''' || 16.30% || {{{#ef426f 68.18%}}} || 13.75% || ▼51.88 || 69.10 || || '''성산면''' || 12.07% || {{{#ef426f 70.86%}}} || 15.55% || △55.31 || 66.86 || || '''다산면''' || '''20.45%''' || {{{#ef426f 69.69%}}} || {{{#696969 8.99%}}} || ▼49.24 || {{{#696969 62.86}}} || || '''개진면''' || 10.93% || {{{#ef426f 76.88%}}} || 11.02% || △65.86 || 65.43 || || '''우곡면''' || 11.29% || {{{#ef426f 73.83%}}} || 13.57% || △60.26 || 68.04 || || '''쌍림면''' || 12.93% || {{{#ef426f 74.59%}}} || 11.25% || ▼61.66 || 66.76 || || '''후보''' || [[장세호|{{{#004ea2 장세호}}}]] || [[정희용|{{{#ef426f '''정희용'''}}}]] || [[김현기(1966)|{{{#808080 김현기}}}]] ||<-2>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24.05% || {{{#ef426f 56.96%}}} || 13.29% ||<-2> ▼32.91 || || '''관외사전투표''' || 28.61% || {{{#ef426f 58.80%}}} || 11.96% ||<-2> ▼30.19 || || '''재외투표''' || {{{#004ea2 50.00%}}} || {{{#ef426f 50.00%}}} || 0 ||<-2> 0 || ||<-10> {{{#ffffff '''21대 총선 성주군 개표 결과'''}}} || ||<-10> {{{#ffffff '''국회의원 선거 (고령군·성주군·칠곡군)'''}}}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미래통합당)] || [include(틀:무소속)] ||<|2> 격차[br](1위/2위) ||<|2> 투표율[br](선거인/표수) || || '''후보''' || [[장세호|{{{#ffffff 장세호}}}]] || [[정희용|{{{#ffffff '''정희용'''}}}]] || [[김현기(1966)|{{{#ffffff 김현기}}}]] || || '''득표수[br](득표율)''' || '''4,941 [br] (18.49%)''' || {{{#ffffff '''16,986 [br] (63.57%)'''}}} || '''4,539 [br] (16.98%)''' || '''- 12,045 [br] (▼45.08)''' || '''27,228 [br] (68.19%)''' || || '''성주읍''' || '''22.15%''' || {{{#ff7e9d 58.47%}}} || 18.72% || '''▼36.32''' || {{{#696969 61.78}}} || || '''선남면''' || {{{#696969 13.63%}}} || {{{#ef426f '''71.36%'''}}} || {{{#696969 14.08%}}} || {{{#696969 △57.27}}} || 66.33 || || '''용암면''' || 15.24% || {{{#ef426f 60.80%}}} || '''23.08%''' || △37.72 || 66.71 || || '''수륜면''' || 14.89% || {{{#ef426f 68.64%}}} || 15.70% || △52.94 || 67.41 || || '''가천면''' || 17.29% || {{{#ef426f 67.00%}}} || 14.09% || ▼49.71 || '''76.28''' || || '''금수면''' || 16.50% || {{{#ef426f 66.57%}}} || 15.65% || ▼50.07 || 75.43 || || '''대가면''' || 16.94% || {{{#ef426f 59.52%}}} || 22.82% || △36.69 || 68.22 || || '''벽진면''' || 15.44% || {{{#ef426f 67.18%}}} || 16.40% || △50.77 || 68.05 || || '''초전면''' || 17.52% || {{{#ef426f 66.57%}}} || 14.55% || ▼49.05 || 63.87 || || '''월항면''' || 13.81% || {{{#ef426f 70.56%}}} || 14.84% || △55.72 || 67.94 || || '''후보''' || [[장세호|{{{#004ea2 장세호}}}]] || [[정희용|{{{#ef426f '''정희용'''}}}]] || [[김현기(1966)|{{{#808080 김현기}}}]] ||<-2>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17.85% || {{{#ef426f 60.71%}}} || 16.96% ||<-2> ▼42.86 || || '''관외사전투표''' || 28.87% || {{{#ef426f 54.62%}}} || 15.34% ||<-2> ▼25.75 || || '''재외투표''' || {{{#004ea2 53.33%}}} || 33.33% || 13.33% ||<-2> △20.00 || ||<-10> {{{#ffffff '''21대 총선 칠곡군 개표 결과'''}}} || ||<-10> {{{#ffffff '''국회의원 선거 (고령군·성주군·칠곡군)'''}}}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미래통합당)] || [include(틀:무소속)] ||<|2> 격차[br](1위/2위) ||<|2> 투표율[br](선거인/표수) || || '''후보''' || [[장세호|{{{#ffffff 장세호}}}]] || [[정희용|{{{#ffffff '''정희용'''}}}]] || [[김현기(1966)|{{{#ffffff 김현기}}}]] || || '''득표수[br](득표율)''' || '''16,765 [br] (28.78%)''' || {{{#ffffff '''35,138 [br] (60.33%)'''}}} || '''5,721 [br] (9.82%)''' || '''- 18,373 [br] (▼31.55)''' || '''59,069 [br] (61.00%)''' || || '''왜관읍''' || 27.71% || {{{#ef426f 60.35%}}} || 11.13% || ▼32.64 || 61.82 || || '''북삼읍''' || 29.07% || {{{#ef426f 63.00%}}} || 6.75% || ▼33.93 || 57.55 || || '''석적읍''' || '''38.20%''' || {{{#ff7e9d 48.52%}}} || '''11.98%''' || '''▼10.33''' || {{{#696969 50.34}}} || || '''지천면''' || {{{#696969 14.64%}}} || {{{#ef426f 75.08%}}} || 9.69% || {{{#696969 ▼60.43}}} || 64.31 || || '''동명면''' || 16.78% || {{{#ef426f 71.70%}}} || 10.76% || ▼54.92 || 66.87 || || '''가산면''' || 16.98% || {{{#ef426f '''76.37%'''}}} || {{{#696969 5.86%}}} || ▼59.39 || 65.42 || || '''약목면''' || 22.12% || {{{#ef426f 70.58%}}} || 6.28% || ▼48.47 || 62.44 || || '''기산면''' || 29.40% || {{{#ef426f 60.62%}}} || 8.76% || ▼31.21 || '''68.71''' || || '''후보''' || [[장세호|{{{#004ea2 장세호}}}]] || [[정희용|{{{#ef426f '''정희용'''}}}]] || [[김현기(1966)|{{{#808080 김현기}}}]] ||<-2>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33.14% || {{{#ef426f 48.57%}}} || 13.14% ||<-2> ▼15.43 || || '''관외사전투표''' || 36.82% || {{{#ef426f 49.29%}}} || 12.30% ||<-2> ▼12.48 || || '''재외투표''' || {{{#004ea2 60.00%}}} || 33.33% || 6.66% ||<-2> △26.67 ||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4> [[고령군·성주군·칠곡군|{{{#ffffff {{{+1 '''고령군·성주군·칠곡군'''}}}}}}]][br]{{{#ffffff 고령군 일원[* 대가야읍, 덕곡면, 운수면, 성산면, 다산면, 개진면, 우곡면, 쌍림면.], 성주군 일원[* 성주읍, 선남면, 용암면, 수륜면, 가천면, 금수면, 대가면, 벽진면, 월항면.], 칠곡군 일원[* 왜관읍, 북삼읍, 석적읍, 지천면, 동명면, 가산면, 약목면, 기산면.]}}}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 0 ||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00.00% || || ||<|2> {{{#FFFFFF {{{+5 '''2'''}}}}}} || || 0 || || || [include(틀:국민의힘)] || 00.00% || || ||<|2> {{{#000000 {{{+5 '''3'''}}}}}} || || 0 || || || [include(틀:정의당)] || 00.00% || || ||<|3> '''계''' || '''선거인 수''' || ||<|3> '''투표율'''[br]00.00% || || '''투표 수''' || || || '''무효표 수''' || || [[국민의힘]]에서는 현역 국회의원 [[정희용]]이 출마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2022년]] 연말에 [[2022년 윤석열 정부 특별사면|대통령 특사]]로 복권된 이완영 전 의원이 출마할 것으로 전망된다. == 관련 문서 ==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지역구 국회의원/경상북도]] [[분류:선거구/대한민국]][[분류:경상북도의 정치]][[분류:고령군]][[분류:성주군]][[분류:칠곡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