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경상북도의 버스 터미널)] [목차] == 위치 == [[경상북도]] [[고령군]] 대가야읍 중앙로 29 (헌문리 50-3) 프리패스 사용은 고령에 고속버스가 없어서 이용이 불가능하다. 오래된 터미널이라 그런지 난방이 잘 안된다. 터미널 영업은 오전 6시 15분 다산행을 시작으로 터미널 문을 연다. 농어촌 홈은 고령버스의 경우 저녁 7시 40분 개진행 막차가 떠나면 고령버스의 영업은 종료되고 타지 농어촌버스는 밤 8시 성주행 막차가 떠나면 모든 농어촌버스의 영업이 종료된다. 시외버스는 오전 7시 10분 해인사행을 시작으로 시외버스 영업을 시작한다. == 부대시설 == 입구 옆에 추어탕집이 하나 있고 건물 내 대합실 옆에 매점이 있다. == 노선[* 2023년 1월 기준] == === 시외버스 === * 코로나19 이후 시간표 및 가격 변동이 있을 수 있음. ==== 수도권 ==== ||<-3> '''{{{#ffffff 수도권}}}''' || || '''{{{#ffffff 행선지}}}''' || '''{{{#ffffff 운행횟수}}}''' || '''{{{#ffffff 운수회사}}}''' || || '''[[서울남부터미널|{{{#ffffff 서울남부}}}]]''' || 일 3회 || [[동일익스프레스]] || ||<-3>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3> '''{{{#ffffff --의령--·합천발 서울남부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 '''[[성주버스정류장|{{{#ffffff 성주}}}]]''' ||<-2> 발권불가 || || '''[[대전복합터미널|{{{#ffffff 대전}}}]]''' || 2:05 || ₩ 20,700({{{#ff0000 프리미엄}}}) || || '''[[서울남부터미널|{{{#ffffff 서울남부}}}]]''' || 3:35 || ₩ 38,200({{{#ff0000 프리미엄}}}) || || '''{{{#ffffff 운행시각표}}}''' ||<-2>{{{#ff0000 08:25, 11:25(--대전경유--), 17:25}}} || ||<-3>[[시외버스 서울남부-합천]] 참고. 전회프리미엄으로 운행하며, 프리미엄은 2019년 2월 부터 운행이 시작되었다. 참고로 그 이전에는 모두 우등 및 일반으로 운행했으며 현재 우등 및 일반은 코로나19로 철수한 상태. 이 노선의 경우 먼 옛날에는 [[코리아와이드 진안]]에서 운행했다가 [[천일여객]] 및 [[고려여객]]으로 넘겼다. 당시에는 성주를 거치지 않았으며 전회일반이었다. 그러다가 1998년부터 7회 중 5회에 한해 [[성주버스정류장]]을 거치기 시작하고 2000년대 중반부터 [[경전여객]]이 참여하기 시작했으며 2014년에 [[천일여객]] 및 [[고려여객]]이 철수하고 경전여객 단독운행으로 변경되었으며 전회 성주를 경유하게 되었다. 이후 28인승 버스도 철수했다가 2017년 1월 12일 부터 우등할증을 받음과 동시에 다시 28인승 우등 차량이 투입되기 시작했으며 이때 쯔음 [[경전여객]]에서 [[동일익스프레스]]로 회사가 바뀌었다. 2020년 코로나19로 인해 2회로 줄였다가, 3회로 다시 늘렸다. 운행횟수가 적고 막차가 이른 편이고 전회프리미엄이라 요금이 비싸 막차 시간 이후에는 대구로 가야 한다. 참고로 고령→합천 방면은 이 노선 구간승차가 가능하지만 합천→고령방면은 구간승차가 불가능하다. || }}} || ==== 충청권 ==== ==== 영남권 ==== =====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부산서부 방면]][* [[시외버스 부산서부-거창]] 참고.] ===== * [[현풍시외버스터미널|현풍]] 경유 * 하루 8회 운행 첫차 07:35 막차 19:35 * 부산 --일반 10,500원-- 우등 13,700원 * 현풍 --일반 2,700원-- 우등 3,500원 * [[거창시외버스터미널|거창]]에서 출발한다. ===== [[마산시외버스터미널|마산]], [[창원종합버스터미널|창원]], --[[장유시외버스정류장|김해장유]], [[김해여객터미널|김해]]-- 방면 ===== * 하루 1회 운행 16:30 * 현풍 3,400원 마산 7,800원 창원 8,400원 --김해 11,700원-- * [[김해여객]] 파산으로 4월 13일 부터 [[신흥여객(경남)|신흥여객]]에서 운행재개, 단, 창원으로 단축. ===== [[합천시외버스터미널|합천]], --[[진주시외버스터미널|진주]]-- 방면 ===== * [[합천시외버스터미널|합천]]행 2회 운행. 운행 첫차 11:20(합천행) 막차 20:30 * --귀원 1,200원 합가 1,300원 지릿재 1,500원 율곡 2,200원-- 합천 3,000원 --대양 3,700원 쌍백 5,000원 삼가 5,500원 대의 6,100원 송계 6,400원 지대 6,400원 안간 7,100원-- 진주 9,900원 * 현재 직행으로 전환 후 대거 감축 및 대부분 행선지 및 [[서부정류장|대구서부]]발 [[합천시외버스터미널|합천]] [[시외버스 대구서부-합천|종착]] 운행중지. 현재 [[서울남부터미널|서울남부]]발 합천행이 중간정차중. [[시외버스 서울남부-합천|합천 종착]] 21인승 프리미엄, * 완행의 경우 유일하게 지릿재를 넘는 노선이었다. ===== [[거창시외버스터미널|거창]] 방면 ===== * 하루 7회 운행 (우등 6회 포함) 첫차 08:50 막차 20:40 * 거창 --일반 3,900원-- 우등 5,100원[* 전회 우등이며 임시배차때만 일반차량이 출연하여 운행함] * 가조 우등 3,700원 * 국도운행은 귀원 1,300원 분기 1,800원 묘산 2,600원 권빈 3,300원 신봉산 3,600원 거창 5,100원[* 운임은 동일한 부산서부, 현풍에서 오는 거창직행 표를 가지고 이 노선 완행차량에 승차할 수 없으니 유의할 것] * 완행은 1회만 운행.[* 창원-현풍 고속도로운행, 현풍-거창 국도운행이다.] 그 외 에는 고속도로 경유 우등버스. 완행은 [[창원종합버스터미널|창원]], 직행은 [[시외버스 부산서부-거창|부산서부 출발.]] ===== 쌍책, [[초계면|초계]] 방면 ===== * 하루 4회. 첫차 09:40 막차 17:30 * 안림 1,300원 신곡1리, 신곡2리 1,300원 박곡 1,700원 하신 1,800원 사양 1,900원 매호 2,300원 쌍책 2,600원 적중 3,200원 초계 3,500원 * [[시외버스 대구서부-초계]] 참조. ===== [[해인사]] 방면 ===== * 하루 14회. 첫차 07:10 막차 20:30 (40분~1시간 20분 간격) * 귀원 1,300원 분기 1,800원 야로 2,300원 가야 3,000원 해인사 4,200원 * [[시외버스 대구서부-해인사]] 참조. ===== [[서부정류장|대구서부]] 방면 ===== * 하루 26회. 첫차 07:00 막차 20:45 * 코로나19로 인하여 현재 배차가 들쑥날쑥함. 배차가 비는 시간에는 [[고령 버스 606|606번]] 탑승 요망. * 대구 3,700원 * 비좌석제 현장발권. 10월 11일 부터 경전 철수. * 시외버스임에도 입석승차를 허용한다. [[경일교통]] 시간은 농어촌버스 이기 때문에 민원 발생시 성주군에 민원을 넣어야 하며, [[대원고속]] 시간은 경기도에 민원을 넣어야 한다. ===== [[가조면|가조]] 방면 ===== * 하루 2회. 첫차 09:35 막차 21:30 * 가조 2,300원 === 농어촌버스 === * 성산-위천삼거리-[[화원읍|화원]]-[[대곡역(대구)|대곡역]]-[[상인역]]-[[서부정류장|대구서부(완행)]]-[[서문시장(대구)|서문시장]] * [[고령 버스 606]] 참고. 종점에서 계열사 노선인 [[성주, 칠곡 버스 250|250번]]과 연계가 가능하다. * [[성주버스정류장|성주]] 방면(수륜 창천 경유 완행) * 하루 9회 운행 첫차 07:45 막차 21:00 * 화암 1,300원 개정 1,400원 오천 1,800원 수륜 2,000원 양정 2,400원 수성동 2,600원 창천 2,900원 대천 3,200원 대가 2,700원 성주 4,400원 * ([[성주버스정류장|성주]]까지는 50분 정도가 소요되며 [[서울남부터미널|서울남부]]까지 가는 직행은 구간승차가 불가능하다.) [[서부정류장|대구서부]] 출발. * [[성주 버스 성주-고령-대구서부]] 참조. * 개진-박석진교-현풍 방면 * 하루 6회 운행. 경쟁 노선으로 [[천일여객]]의 [[시외버스 부산서부-거창]] 노선과 [[신흥여객(경남)|신흥여객]]의 창원~거창 노선이 있음. 시외버스는 11회 운행. * 쌍림 방면 * 하루 11회 운행. 첫차07:40 막차 19:05 * 송림 1,650원 백산 1,750원 석사 1,850원 신촌 1,950원 산주 2,050원 * [[고령 버스 고령-쌍림]] 참조.[* 석사에서 내려 1.9km 정도 걸으면 분기정류소가 나오는데 [[합천 버스 808|해인사 및 합천행 버스]]와 연계가 가능하다.] * 운수 방면 * 하루 10회 운행 첫차 06:45 막차 19:10 * 요금 1,300원 * [[고령 버스 고령-운수]] 참조. 일부 시간 [[성주군]] [[용암면]]까지 운행. * 용암[* 성주군 용암면] 방면 * 하루 4회 운행 06:15(용암 경유 다산행) 08:20(용암행) 13:00(용암 경유 다산행) 17:10(용암행) * 요금 1,900원 * [[고령 버스 고령-운수]] 및 [[고령 버스 고령-다산]] 참조[* 다산행 2회가 운수, 용암을 경유한다.].[* 용암에서 성주행 및 선남/[[문양역]]행 버스와 연계가 가능하다.] * 저전 방면 * 하루 6회 첫차 07:30 막차 19:00 * 요금 1,300원 * [[고령 버스 대가야읍]] 참조. * 반룡사 방면 * 하루 5회 첫차 06:20 막차 18:05 * 요금 1,300원 * [[고령 버스 고령-쌍림]] 참조. * 덕곡 방면[* 성주군 수륜면 백운리 방면은 1일 2회 운행하며 가야산 성주군 방면으로 갈때 이용하면 좋다.][* 백운동에서 성주행 버스와 연계가능.] * 하루 10회 첫차 07:10 막차 19:30 * 가륜 1,550원 노1리 1,650원 용흥 1,700원 옥계 1,850원 백동 1,850원 백운1리 2,050원 노2리 2,050원 백운2리 2,550원 국민호텔 2,550원 * [[고령 버스 고령-덕곡]] 참조. * 상용 방면 * 하루 3회 10:15 13:25 18:05 * 득성 1,400원 성산박곡1,500원 대흥 1,700원 용소 1,800원 상용 1,900원 * [[고령 버스 고령-상용]] 및 [[고령 버스 고령-다산]] 참조[* 다산행 일부가 상용을 경유한다.]. * 개진 방면 * 하루 6회 첫차 06:15 막차 19:40 * 득성 1,400원 옥산 1,600원 오곡 1,850원 부2리 2,000원 부1리 2,100원 생동 2,300원 * [[고령 버스 고령-개진]] 참조. * [[다산면|다산]] 방면 * 하루 7회 첫차 06:15 막차 18:20 * 성산박곡 1,500원 새터 1,750원 무계 1,700원 벌지1 1,950원 송곡1900 벌지2 1,950원 다산 2,450원 * [[고령 버스 고령-다산]] 참조. 다산에서 [[대구 버스 650|650번]]과 연계가 가능하며, 일부 시간 [[성주군]] [[용암면]]까지 들어갔다 나온다. * 우곡 방면 * 하루 11회 첫차 06:10 막차 20:10 * 사촌1,450원 도진 1,750원 난야월 1,950원 속동 1,950원 야정 1,950원 월호 2,050원 대곡동 2,250원 연동 2,250원 사전동 2,350원 봉산동 2,600원 포동 2,600원 예곡동 2,750원 * [[고령 버스 고령-우곡]] 참조. * 외동 방면 * 하루 4회 08:20 10:40 16:30 18:10 * 요금 1,300원 * [[고령 버스 대가야읍]] 참조. == 과거에 운행하던 노선 == [[월항정류장|월항]], 죽전, [[왜관북부정류장|왜관북부]], [[왜관남부정류장|왜관남부]], [[대구북부정류장|대구북부]]: 경일교통의 전신 경상여객에서 시외버스를 운행했을때 운행했으며, 날짜미상으로 [[성주버스정류장|성주]]로 단축되었다. 안의, 수동, [[함양시외버스터미널|함양]]: 1999년 까지만 해도 운행했으나 2000년도에 폐지되었다.[* 부산 사상에서 오는 거창행 버스를 타고 [[거창시외버스터미널]]에서 환승해야한다.] 신원: 2015년 1월 경에 폐지되었다[[https://blog.naver.com/ycs6781/220227921502|2015년 1월 대구서부정류장 시간표(1월 1일 촬영) - 9번째 사진의 가운데(거창.가조)]]. 신원은 [[거창군]] 신원면을 뜻한다.[* 신원정류소의 경우 마지막으로 운행하던 [[태영고속|창원고속]]의 부산서부-신원 노선이 2013년 12월 31일 운행을 마지막으로 폐지되어 [[거창시외버스터미널|거창]]으로 가서 농어촌버스를 이용해야 한다. 과거 [[산청교통]]의 산청-신원 노선이 살아있었을 시절에는 [[산청버스터미널|산청]]으로 가도 되었으나 폐지되면서 무조건 거창으로 가야 한다.] [[대전복합터미널|대전(복합)]] : 검증된 자료로는 2번 부활하고 3번 폐지되었다.[* 아주 오래전에 폐지된걸로 추측되나 확실하지 않고 2009년 [[서부정류장|대구서부]] 경유로 1번 부활한 적 있으나 2010년대 초반에 폐지되었다. 아마도 [[거창고속]] 운행승무원이 이 노선운행 문제제기로 폐지했을수도 있다. 그 당시 [[경전여객]]은 대전복합-경부고속도로직통-대구서부-고령-합천,( 원래는 합천,고령-현풍으로 가야했으나 대구서부로 바뀐 것. 그래서인지 [[거창고속]]과 다툼전쟁이 많았다.) [[거창고속]]은 대전복합-함양-거창-야로-가야-해인사 노선이 있었는데 노선이 워낙 비슷하게 편성된탓에 자회사간 [[경부고속도로]]를 활용한 고령 경유와 [[통영대전고속도로]]을 이용한 함양 경유간 서로 수요뺏기로 인해 수요 감소가 문제가 되어 폐지되었다. [[시외버스 대전-대구서부-합천]] 노선은 2010년대 초반에 폐지되었다. 실제로도 해인사는 합천에서 거리가 아주 멀고 합천에서는 횟수도 적어 고령에서 환승하는 것이 더 편리하다. 현재도 [[대전복합터미널]]에서 김천, 구미노선이 운행 하지 않는것도 [[대전역]]에서 철도망이 아주 발달해 있기 때문이다.[[시외버스 대전-대구서부-합천]] 노선은 [[광주대구고속도로]], [[통영대전고속도로]]를 이용한다는 아주 잘못된 정보(광주대구고속도로와 통영대전고속도로를 이용하는 노선은 대전-함양-거창-해인사 노선이며, 2018년 초중반에 폐선되었다.)가 있으나 합천에서 출발해 [[서부정류장]]을 경유하여 [[경부고속도로]]로 갔었다. 다만 다른 충청권 노선과 달리 [[구미종합터미널]]은 경유하지 않았다. 과거 고령터미널 노선도를 보면 구미행도 있었는듯 하다.] [[유스퀘어|광주(유스퀘어)]], 서상, 장계, [[진안시외버스공용정류장|진안]], [[전주시외버스공용터미널|전주]] : 88올림픽고속도로 등 지속적인 도로망 확충으로 결국 대구 ~ 거창을 무정차로 운행하면서 폐지. [[울산시외버스터미널|울산]] : 거창 출발로 [[금아리무진]]이 운행했으며 고령 이후 신복, 태화를 거쳐서 운행했으나 수요부족으로[* 거창,고령~울산간 수요는 거의 없었고 거의 대부분 거창 ~ 고령 수요였다고 한다.] 결국 2010년에 폐지되었다. 현재 고령에서 울산으로 가려면 [[서부정류장|대구서부]]로 [[시외버스 대구서부-울산|가야한다.]] [[가야산|백운동]] : 2002년 고령로얄고속의 임금체불 및 막장화로 인해 파산되어 폐선되었다. == 여담 == * 터미널에서 나오면 개인택시 영업소가 있다. 버스가 잘 안오거나 시간이 안 맞는 경우 택시를 이용하면 된다. * 바로 옆에 [[세븐일레븐/한국|세븐일레븐]] [[편의점]]이 있다. * 고령읍내까지는 걸어서 금방 갈 수 있다. 고령 5일장도 걸어서 가능. 대가야고분군까지는 걸어가기에는 좀 먼 거리다[* 대가야고분군의 경우 축협에서 내리면 된다.][* 다만, 축협의 경우 대구서부에서 해인사, 초계, 묘산, 가조로 가는 시외버스만 경유하기 때문에 참고하여야 한다. 거창, 성주, 부산, 서울 등지에서 올 경우 쌍림방면 농어촌버스를 타거나 택시를 타야한다.]. 김상덕선생순국기념비도 여기서 멀지 않다. * 대구경북 방면 노선[* [[고령 버스 606|606번]] 제외.]보다 부산울산경남 방면 노선이 더 많다.[* 실제로도 경남 [[합천군]]하고 가깝기 때문인지라] * 시외버스 대부분은 대구[[서부정류장]]까지 나가서 이용해야 한다. 심지어 같은 [[경상북도|경북]] 지역임에도 [[코리아와이드 경북]], [[금아리무진]] 같은 경북 시외버스 업체는 안들어오고[* 2018년 11월 6일까지는 대구서부-고령-해인사 노선으로 [[코리아와이드 진안]]이 들어온적이 있었다.][* 대부분 경남 시외버스 업체가 주로 들어오며 그 중 [[거창고속]]이 많이 들어온다. 2019년까지는 [[경전여객]]도 많이 들어왔으나 코로나19로 인해 거의 철수했다.] 노선도 대구경북은 [[서부정류장|대구서부]]행 밖에 없다. * 해인사 행 막차가 오는 시간인 저녁 20시 30분에 문을 닫는다. 이후 20시 35분 ~ 20시 40분 사이에 오는 [[동일고속]]의 [[시외버스 서울남부-합천|서울남부-합천]]과 20시 45분에 [[서부정류장|대구서부]]로 가는 막차를 이용하려면 터미널 밖으로 나가야 한다. 표는 20시 30분 이전까지 미리 끊어놔야 하며 긴급사정으로 20시 30분 이후에 온 경우 기사에게 현금으로 요금을 지불해야 한다.교통카드는 모든 배차 노선 사용불가[* 다만 20시 40분 부산서부발 현풍에서 넘어오는 거창행은 미리 승차권을 구매 안해도 모바일 예매로 QR코드를 찍고 탈수있다. --현금승차는 비어있는 좌석 찾아서 앉아야하기때문--][* 하필이면 해인사발 고령경유 대구서부행 막차가 [[대원고속]]이기에 교통카드가 수도권 바깥 지역이 아니라 안 되는것 그래서 현금이 아니라 승차권으로 탈꺼면 못해도 최소 20시 28분까지는 표를 끊어놔야한다.터미널이 문을 닫으면 차피 무인발매기도 사용못하기 때문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려면 해인사발 고령 경유 [[대원고속]]막차를 [[서부정류장]]이 아니라 [[용인공용버스터미널]]로 바꾸고 매표소 문을 닫으면 교통카드 결제가 가능한 [[고령 버스 606|606번]] [[서부정류장역]], [[설화명곡역]] 중간종료 배차 편성을 한개씩 늘려야할것으로 보인다.-- 어쨋거나 대구권 광역환승할인시행시 606번이 중간에 끊겨도 설화명곡에서 1호선 방촌행으로 23시 16분까지는 커버칠수있기에--] == 중간정류소 == === --합천, 진주--, 해인사, 초계 방면 === * 축협정류장 : 고령성주축협 앞에 있으며, 지산리에 있다. 시장입구에서 가까워서 고령장날에 합천군 야로면과 가야면[* 야로면과 가야면이 합천군이지만 거리상 고령군청과 가까우며 그래서 그런지 고려시대 이전에는 고령군에 속해 있었다.]에서 사는 어르신들이 여기서 내린다. 매표소는 없으므로 현금으로 버스를 승차해야 하며, 대구나 창원/마산/현풍에서 여기로 올 일이 있을 경우에는 고령 표로 끊고 내리면 된다. 고령터미널 뒤에 있다고 귀원 표로 끊어버리면 [[바가지(경제 용어)|요금만 더 내는 꼴]]이므로 주의하자. [[시외버스 대구서부-합천]] 및 [[시외버스 대구서부-진주]] 완행과 [[시외버스 대구서부-거창·함양|시외버스 대구서부-거창]] 고령, 묘산 경유 완행, [[시외버스 대구서부-거창·함양|시외버스 대구서부-거창]] 고령, 가조 경유 준직통, [[시외버스 대구서부-해인사]], 김해/창원-거창, [[시외버스 대구서부-초계]]가 여기에 선다. 현재는 [[시외버스 대구서부-해인사]]와 [[시외버스 대구서부-초계]], 시외버스 창원-거창만 선다.[* [[시외버스 부산서부-거창]]은 축협 중간승하차가 불가능해 대가야고분군을 거치지 않고 바로 [[33번 국도]]를 통해 간다.] * 귀원정류소 : 읍내와 떨어진 쌍림면 귀원리에 있는 '귀원삼거리'에 정차하며, '합동정류소'가 있는 '신우할인마트'에서 표를 살 수 있다. 단, 신우할인마트에서는 '귀원정류소'가 아닌 '쌍림합동정류소'로 표기되어 있다. 현재는 [[시외버스 대구서부-해인사]]만 선다. * --합가정류소-- : 쌍림면 합가1리에 서며, '개실마을'이라고 적혀 있는 곳에서 버스를 탄다. 매표소는 없으므로 현금으로 버스를 승차해야 하며, [[시외버스 대구서부-합천]] 및 [[시외버스 대구서부-진주]] 완행이 여기에 선다. 2020년 4월 부터 시외버스 대구서부-합천, 진주완행이 운행이 정지되어 중간정류소 기능을 상실했다. [[분류:경상북도의 버스 터미널]][[분류:고령군의 교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