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지속 함정]] [[유희왕]]의 지속 함정 카드. || [[파일:拷問車輪.jpg|width=100%]]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NightmareWheel-MP01-KR-MLSR-1E.png|width=98%]] || || 내수판 || 수출판 ||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지속=, 한글판 명칭=고문 바퀴, 일어판 명칭=拷問車輪(ごうもんしゃりん), 영어판 명칭=Nightmare Wheel, 효과외1=상대 필드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이 카드를 발동할 수 있다., 효과1=①: 이 카드가 마법 & 함정 존에 존재하는 한\, 대상 몬스터는 공격할 수 없으며\, 표시 형식의 변경도 할 수 없다. 그 몬스터가 필드에서 벗어났을 때에 이 카드는 파괴된다., 효과2=②: 자신 스탠바이 페이즈에 발동한다. 상대에게 500 데미지를 준다. 이 효과는 대상 몬스터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경우에 발동과 처리를 실행한다.)] 상대 몬스터의 공격과 표시 형식 변경을 봉쇄하는 효과, 자신 스탠바이 페이즈마다 상대에게 효과 데미지를 주는 효과를 가진 지속 함정. 공격 억제 효과가 있어 공격 몬스터의 공격시 발동하면 그대로 틀어막아줄 수 있다. 거기다 표시 형식도 봉인해주니 [[드림 삐에로]] 등 표시 형식 변경시 발동하는 효과를 막을 수 있으며, 뒷면 수비 표시 몬스터의 반전 소환을 막을 수도 있다. 번 효과 덕분에 [[고문(유희왕)|고문]] 덱, 풀 번 덱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며, 유지만 할 수 있다면 계속해서 상대 LP를 깎아내릴 수 있다. 덕분에 여러 방면에서 도움이 된다. 하지만 '''효과가 멀쩡히 살아있고''', 행동이 완전히 봉쇄되는 것도 아닌데다 고문 바퀴나 지정 몬스터가 파괴당해도 효과가 끝나기 때문에 금새 저지당할 확률이 높다. 더구나 대상이 된 몬스터를 릴리스하거나 엑스트라 덱 몬스터 소환용 소재로 사용하면 자신의 손해로 끝나게 된다. 지속 함정이라 제거되기 쉽다는 디메리트도 존재한다. 그래도 공격 봉쇄+매 턴 데미지라는 이중의 효과가 있기 때문에 고문덱이나 풀번덱에선 자주 쓰였다. 이젠 그런 덱이 거의 사라져서 이 카드도 보이지 않게 되었다. 거기다 문제는 비슷한 효과를 가진 [[데먼즈 체인]]이 존재한다는 점. 해당 카드는 데미지를 주는 대신 몬스터 효과를 무효로 하기 때문에 범용성이 더 높다. [[용암 마신 라바 골렘]], [[볼캐닉 퀸]], [[No.30 파멸의 애시드 골렘]] 같은 카드와의 콤보나 표시 형식 봉인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차별화하도록 하자. 의외로 잘 모르는 사람들이 많은데, 이 카드는 장착 마법이 아니라서 '''상대 필드의 뒷면 표시 몬스터'''도 대상으로 지정할 수 있다. 거기다가 대상 몬스터가 필드에서 벗어났을 때 파괴된다는 것까지 고려하면 대상 몬스터가 파괴되지 않는 이상 마법 & 함정 존에 남아서 골칫거리가 되는 [[육망성의 저주]]의 상위 호환. 표시 형식을 변경할 수 없는 효과는 카드의 효과가 아니라 '1턴에 1번' 할 수 있는 표시 형식 변경을 막는다는 의미이며, 대상 몬스터를 다른 카드의 효과로 표시 형식을 변경하는 건 가능하다. 원작 코믹스에서는 [[어둠의 마리크]]가 사용.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배틀 시티 본선 편|배틀 시티 본선 편]]에서 [[쿠자크 마이]]의 [[아마조네스(유희왕)|아마조네스의 격투전사]]가 자신의 [[처형인-마큐라]]를 파괴하자 발동하는 것으로 처음 등장했지만, 마이는 구출극을 발동해 격투전사를 패에 되돌려 이 카드를 회피했다. 이후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배틀 시티 결선 편|배틀 시티 결선 편]]에서는 [[죠노우치 카츠야]]의 [[로켓 전사]]를 대상으로 발동하여 몇 번 정도 죠노우치에게 데미지를 줬지만, 얼마 안 가 [[인조인간 -사이코 쇼커-]]가 필드로 나오면서 효과로 파괴되었다. 참고로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방영 당시에는 '고문'이라는 단어를 사용하기가 정서 상으로 곤란했는지 '스크래치 휠'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했다. 이는 [[대원방송]] 방영판도 마찬가지.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에서부터는 현재 카드명 그대로 등장했으며,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빛의 결사 편|빛의 결사 편]]에서 [[닥터 컬렉터]]가 [[DD(유희왕 GX)|DD]]와의 듀얼에서 세트해 발동하려 했다가 불발하는 것으로 나온다. [[유희왕 5D's]] 76화에서는 절도단의 리더 [[시드]]가 [[잭 아틀라스]]와 듀얼에서 사용. [[피스 골렘|멀티 피스 골렘]]을 구속시키는 데에 사용했다. 여담이지만 일본판 일러스트에서는 사람이 바퀴에 매달려 고문당하는 것을 묘사하고 있지만, 잔인성 문제인지 해외 수출판 일러스트에서는 고문당하는게 정체 불명의 몬스터로 바뀌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新たなる支配者 || 301-055 || [[시크릿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수록, 절판 || || [[스트럭처 덱 마리크편|STRUCTURE DECK : 마리크 편]] || SDM-038 || [[노멀]] || 일본 || 절판 || || [[하이 그레이드 팩|EXPERT EDITION Vol.1]] || EE1-JP055 || [[슈퍼 레어]] || 일본 || 절판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염왕의 급습]]- || SD24-JP039 || [[노멀]] || 일본 || || || [[하이 그레이드 팩|Dark Revelation Volume 1]] || DR1-EN055 || [[울트라 레어]] || 미국 || || || [[스트럭처 덱 마리크편|Structure Deck : Marik]] || SDMA-EN033 || [[노멀]] || 미국 ||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염왕의 급습(스트럭처 덱)|Onslaught of the Fire Kings]] || SDOK-EN038 || [[노멀]] || 미국 || || || [[왕가의 수호자]] || PGD-KR106 || [[울트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하이 그레이드 팩|하이 그레이드 팩 1]] || HGP1-KR055 || [[울트라 레어]] || 한국 || 절판 || || [[익스팬션 팩|익스팬션 팩 2]] || ESP2-KR060 || [[슈퍼 레어]] || 한국 || || || [[밀레니엄 팩]] || DSW-KR184 || [[울트라 레어]] || 한국 || 절판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고문 바퀴, version=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