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SBS 월화 드라마(1991~1995))] [목차] [clearfix] == 개요 == * [[http://www.youtube.com/watch?v=1KErhV4MHiA|오프닝 영상]] * [[http://programs.sbs.co.kr/drama/confession/vods/74923|공식 홈페이지]] 1995년 3월 13일부터 동년 7월 4일[* 당일 29~30회를 연속 편성했다.]까지 SBS를 통해 방영된 월화드라마. 전년도 작품 <사랑의 향기>를 맡았던 박정란 작가[* 엄마의 얼굴, 재회, 부부, 연가, 칸나의 뜰, 겨울새, 사랑의 계절, 동심초, 무지개, 민들레, 천사의 입술, 여자의 강, [[미망인(드라마)|미망인]], [[딸이 더 좋아]], [[이별 그리고 사랑]], [[KBS 드라마 스페셜|KBS 드라마게임]] - 건널목, 87' 행복을 찾습니다, [[유혹(1987년 드라마)|유혹]], [[내일 잊으리]], [[울밑에선 봉선화]], 가족, [[여자의 시간]], [[겨울 무지개]], [[들국화(드라마)|들국화]], [[사랑의 향기]], [[곰탕(드라마)|곰탕]], [[엄마의 깃발]], [[새끼(드라마)|새끼]], [[사랑해 사랑해]], [[하나뿐인 당신]], [[어여쁜 당신]], 백정의 딸, [[소문난 여자]], [[노란 손수건(드라마)|노란 손수건]], [[행복한 여자]], [[사랑해, 울지마]], 초혼, [[천 번의 입맞춤]], [[엄마의 정원]], [[아름다운 당신(MBC)|아름다운 당신]]]와 고흥식 PD 콤비의 컴백작이며 총 30부작이다. 방영 초반에는 밤 10시에 했다가, 마지막회인 7월 4일에 9시로 1시간 땡겼다. == 특징 == 젊은 시절 첫사랑에 실패한 연인들이 30대에 와서 우연히 해후하여 애증의 갈등을 거쳐 다시금 사랑하게 되는 게 내용이었고, 1992년 병역법 위반으로 집행유예 선고를 받아 방송 출연이 규제된 이후 [[복권(법률)|복권]]된 [[변우민]]의 컴백작으로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5022500329114004&editNo=20&printCount=1&publishDate=1995-02-25&officeId=00032&pageNo=14&printNo=15351&publishType=00010|화제를 모았고]], 방영 전날인 1995년 3월 12일자 일요특집 <생방송 출발! 새아침>을 통해 홍보한 바 있었다. 그러나 동 방송사의 <사랑은 블루>처럼 제2회에서 [[기레기|신문기자를 부정적으로 까내리는 장면]]을 여과 없이 내보내서 방송가 등지에서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5040100329115017&editNo=20&publishDate=1995-04-01&officeId=00032&pageNo=15&printNo=15384&publishType=00010&from=news|비난을 받았고]], 하필이면 방영 기간 중 지역민방 4개사[* [[KNN|PSB]](현 [[KNN]]), [[대구방송|TBC]], [[광주방송|KBC]], [[대전방송|TJB]].] 개국[* 지역민방 개국 이후인 1995년 5월 23일 방송분 도입부에 그동안의 스토리를 하이라이트 형태로 방송했다. 다만 4개 지역민방에선 개국 전 시험방송이 시작된 지 3일 후인 1995년 4월 3일 7회부터 전파를 탔다. 지역민방 시험방송 대다수가 칼라바 외에는 SBS 프로그램 릴레이로 주로 이루어졌으니...], 제1차 전국동시지방선거 등의 여파로 4차례나 휴방하기도 했다. 같은 시간대에 편성된 KBS2의 <장녹수> 및 MBC의 <호텔>이라는 막강 라이벌 작품 앞에서도 고전을 면치 못했다. 설상가상으로 주인공 정병준 역을 맡던 배우 [[임성민(남배우)|임성민]]이 동시기 방영한 MBC 주말연속극 <[[사랑과 결혼]]>에도 겹치기 출연을 하면서 몸을 쉬지 못해 동년 5월에 드라마 촬영 중 간경화로 쓰러져 장기 입원한 탓에 스토리상 지장이 생겼다. 결국 그는 19회 이후 극중 해외 출장 도중 교통사고로 사망한다는 식으로 중도 하차한 후 주인공 없이 6주를 버티다 30회를 끝으로 중도 종영됐고, 종영 한달 뒤인 8월 20일에 유명을 달리함으로써 <사랑과 결혼>과 함께 유작이 되었다. 종영 후 2016년부터 국립중앙도서관 홈페이지에 전편이 관내공개 형식으로 업로드되었고, 2022년부터 SBS 홈페이지에서 다시보기 서비스 중이다. == 등장인물 == * 이현주: [[김미숙(배우)|김미숙]] * 정병준: [[임성민(남배우)|임성민]] * 양창훈: [[변우민]] * 이현경: [[음정희]] * 유채영: [[김해숙]] * 김창수: [[오대규]] * 이현식: [[이성용(배우)|이성용]] * 유우성: [[신구|신구]] 유채영의 아버지. * 유우성의 부인: [[정혜선(배우)|정혜선]] * 장도영: [[장용]] * 이세웅: [[최우혁(1985)|최우혁]] * 미경: [[정나온]][* 당시 '정진경' 명의로 활동.] * 허경숙: [[이상미(배우)|이상미]] * 송인섭: [[안승훈]] * 목공소 주인: [[신충식]] * 김 비서: [[박영지]] * [[문창길]] * [[이진아(배우)|이진아]] * [[최항석]] * 노영화 * [[신성균(배우)|신성균]] * [[순동운]] * 최아란 * 송수빈 * [[임종국(성우)|임종국]] * [[한영숙(성우)|한영숙]] * [[김영인(1940)|김영인]] * [[이호성(배우)|이호성]] * 성명신 * 박승태 * 전혜진(특별출연) * 김두희 * 천영덕 * 김은지 == 여담 == * OST 음반은 [[서울음반]]에서 CD-ROM 및 카세트테이프로 발매된 바 있다. * [[정나온]]의 데뷔작이다. [각주] [[분류:1995년 드라마]][[분류:1995년 종영]][[분류:SBS 월화 드라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