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 설명, 설명=이 문서에서는 고블린 대 노움 확장팩 자체의 개괄 및 해당 분기의 메타를 다룹니다.)] [include(틀:하스스톤)] [[파일:external/d2bcb01295671071de87eac3d498f7824df2e44dc4d37d649cdfa05d35a90930.png|width=500]] {{{+3 '''Goblins vs Gnomes'''}}} '''고블린 대 노움''' [목차] == 개요 == [youtube(ptHAm_Nlr0M, width=450, height=360)] {{{#!folding 트레일러 가사 ▼ ||[[고블린(워크래프트 시리즈)|고블린]]과 [[노움(워크래프트 시리즈)|노움]], 고블린과 노움! 똘똘하긴 하지만 아, 예측불허지 만들었다 하면 다 와장창창 폭바~알 제대로 엉망진창, 고블린과 노움! 고블린의 분노를 보여주마! / [[놈리건]]을 위하여!||}}} 고불린, 노움, 기계를 테마로 하는 [[하스스톤]]의 첫 번째 확장팩. 2014년 11월 8일 공개되어 2014년 12월 9일 출시되었다. 크라켄의 해에 야생으로 전환되었다. == 특징 == 고블린, 노움 카드들이 추가되었으며 고블린과 노움의 특징을 반영해 무작위 하수인을 뱉어내는 벌목기, 50%의 확률로 공격이 빗나가는 오우거, 범위 내에서 무작위 피해를 입히는 '''파지직, 임프 폭발''' 등 무작위성이 짙은 카드들이 대거 추가되었다. === 새로운 종족 - [[하스스톤/종족#s-3.1|기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하스스톤/종족, 문단=3.1)] === [[예비 부품]]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예비 부품)] == 카드 ==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일람)] [youtube(3y7rXGL1ICY, width=420, height=315)] === {{{#gray 일반 등급}}}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하스스톤/카드일람/고블린 대 노움/일반 등급)] === {{{#0063ff 희귀 등급}}}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하스스톤/카드일람/고블린 대 노움/희귀 등급)] === {{{#9400d3 특급 등급}}}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하스스톤/카드일람/고블린 대 노움/특급 등급)] === {{{#ffa500 전설 등급}}}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하스스톤/카드일람/고블린 대 노움/전설 등급)] == 평가 == ||<-2>
'''[[메타크리틱|[[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width=100]]]]''' || || '''[[https://www.metacritic.com/game/pc/hearthstone-heroes-of-warcraft---goblins-vs-gnomes| {{{#white 스코어[br]84/100}}}]]''' || '''[[https://www.metacritic.com/game/pc/hearthstone-heroes-of-warcraft---goblins-vs-gnomes/user-reviews| {{{#black 유저 평점[br]6.2/10}}}]]''' || ||<-2> {{{#!wiki style="margin: -4px" {{{-3 {{{#gray '''*''' PC판 기준}}}}}}}}}|| 출시 직후에는 무작위성이 너무 심해졌다는 지적이 많았다. 어느정도 통제 가능했던[* 대표적으로 라그나로스, 회전베기나 일제사격, 실바나스의 죽음의 메아리가 있다. 모두 적절한 필드 컨트롤로 어느정도 원하는 결과를 낼 수 있다.] 이전과 다르게 고놈에서는 컴퓨터 연산을 적극 활용한 무작위 요소[* 가장 대표적인 것이 [[고블린 벌목기(하스스톤)|누군가 조종하는 벌목기]]와 [[박사 붐]], [[불안정한 차원문]], 파지직, 임프 폭발이다.]가 등장하면서 운에 따라 승패가 갈리는 빈도가 늘었다는 것이다. 다만 초보, 저과금 유저의 진입장벽을 낮춘 점에서는 고평가를 받았다. 어느 덱에 투입해도 성능이 크게 떨어지지 않는 벌목기, 치유로봇, '''[[박사 붐]]'''을 통해 소위 잡덱으로도 등급전에 어느 정도 입문할 수 있었으며, 고블린 대 노움 당시 강력했던 덱의 제작 비용도 적은 편이었다. 이후 [[대 마상시합]]이 출시되면서 직업 균형 면에서는 훨씬 나았다는 재평가를 받았고, [[비열한 거리의 가젯잔]]을 기점으로는 오히려 평가가 긍정적인 쪽으로 반전되었다. 가장 많은 비판을 받은 무작위성이 짙은 카드들이 이후 확장팩에서도 계속 추가된 점도 있지만, 고블린 대 노움의 무작위성이 짙은 카드들은 흥행에 오히려 득이 되었기 때문이다. == 메타 == 전반기는 죽음의 메아리 사냥꾼과 미드레인지 성기사가, 후반기는 기름 도적이 맹위를 떨쳤다. 쓸만한 기계 하수인들이 다량 추가되어 기계 덱, 그중에서도 기계 마법사가 대중적으로 유행하였다.[* 카드 대부분이 일반 카드들이라 저렴하며 운영도 간단한 편이기 때문.] 그만큼 커뮤니티에서 욕도 많이 먹었으나 악명에 비해 강력한 덱은 아니었다. * 전사 * 방밀 전사는 방패 여전사가 추가되면서 불의 정령 같은 미드레인지 하수인을 더욱 쉽게 처리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상성이 안 좋은 성기사가 치고올라오면서 중위권을 간신히 지켰다. * 사냥꾼 * 죽음의 메아리 사냥꾼은 쓸만한 신규 카드가 거의 없어 위니 흑마법사에게 왕좌를 내줬으나 구관이 명관이라 꾸준히 좋은 성적을 거뒀다. 하지만 2015년 1월 31일에 장의사가 하향된 후에는 몰락했다. * 돌진 사냥꾼은 죽음의 메아리 사냥꾼 때문에 묻혀 있다가 장의사 하향 후 사냥꾼의 주력 덱으로 다시 자리매김하는데 성공했다. * 굶주린 대머리수리 하향 이후 죽메 사냥꾼에 묻혀 있었던 미드레인지 사냥꾼이 장의사 하향을 계기로 다시 연구되기도 했으나 큰 반향은 몰고 오지 못했다. * 흑마법사 * 위니 흑마법사는 임프 폭발을 추가해 악명을 이어나갔다. 죽음의 메아리 사냥꾼을 제치고 최강자에 오르는 기염을 토했지만, 장의사 하향 후에는 경쟁력을 상실해 도태되었다. * 거인 흑마법사는 유전자 재결합사, 낡은 치유로봇 등 신카드를 투입하는 덱이 시도되었다.[* 오우거 투사는 고대의 감시자의 대체재로, 유전자 재결합사는 피 깎인 거인이나 낡은 치유로봇 같이 비용 대비 스탯이 나쁜 하수인을 재활용하는 용도로 쓰였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들은 단발성에 그쳤고 유저 대부분이 낡은 치유로봇만을 추가한 클래식한 덱으로 회귀했다. 메타 끝자락에는 공허소환사와 말가니스를 섞은 덱이 1티어에 올랐다. * 마법사 * 냉기 마법사는 어그로 덱들의 템포가 이전보다 빨라진 여파를 받아 완전히 메타에서 밀려났다. * 신규 카드 메디브의 메아리를 이용한 탈진 마법사가 등장했다. 그러나 실전성은 낮아 예능 덱 수준에 머물렀다. 변종으로 거인들을 추가하기도 했으나 앞의 덱과 비슷한 취급을 받았다. * 기계 마법사는 혼란한 메타 초반에 1티어에 오르며 마법사의 부활을 알렸다. 그러나 시간이 지날수록 거품이 쭉쭉 빠져 후반 즈음엔 2티어로 떨어졌다. * 드루이드 * 미드레인지 드루이드는 신규 드루이드 카드들이 모두 폐급이라는 이유로 비관적인 전망이 우세했다. 하지만 중립 카드인 벌목기와 박사 붐에서 정답을 찾아 1티어를 유지했다. * 토큰 드루이드는 지브스가 추가되면서 패 수급 능력이 이전보다 상승했지만 결국엔 메타에서 도태되어 사라졌다. * 성기사 * 미드레인지 성기사는 신병 관련 카드들이 추가되면서 초중반이 모두 탄탄해졌다. 메타 초반에는 1티어에 오르는 기염을 토했으나 장의사 하향 이후 어그로 덱이 감소하고 기름 도적이 1티어에 오르자 2티어로 추락했다. * 컨트롤 성기사는 미드레인지 성기사에 관심이 집중되면서 유저들의 관심 속에서 멀어졌으나 미드레인지 성기사와 함께 1티어에 올랐다. 그러나 장의사 하향 후에는 미드레인지 성기사와 함께 타격을 받았고 결국 메타에서 도태되었다. * 어그로 성기사도 미드레인지 성기사에 주어진 여러 초반 카드들 덕분에 수혜를 입었다. 그러나 기계 덱을 비롯해대중적으로 유행하던 여러 어그로 덱들에 비해 경쟁력이 없어 묻혔다. * 도적 * 주문 도적은 확장팩 출시 직전에 치러진 가젯잔 경매인 하향으로 엄청난 타격을 입었다. 이후 가젯잔 경매인을 전력 질주로 대체해 덱을 부활시켜보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결국 사장되었다. * 기존보다 하수인을 늘린 주문 도적도 등장했는데, 여기에 신규 카드인 땜장이의 뾰족칼 기름이 더해져 기름 도적이 탄생했다. 장의사를 비롯한 어그로 덱에게 고전하고 있었으나 장의사 하향 이후엔 1티어에 오르는데 성공했다. * 주술사 * 클래식 주술사는 넵튤론과 박사 붐이라는 후반 카드들을 얻었다. 그러나 초반이 너무 열악해져 반쯤 사장되었다. * 주술사에게도 기계 하수인이 추가된만큼 기계 주술사도 연구되었다. 암울했던 주술사 덱 중에선 그나마 돌릴만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 사제 * 죽음의 메아리 사제는 이전보다도 부진한 성적을 거뒀다. 장의사 하향 후에는 몰락했다. * 컨트롤 사제는 신규 카드들의 혜택을 받지 못해 약체에 머물렀다. 설상가상으로 기름 도적이 1티어에 오른 후에는 상황이 더 안 좋아졌다. 겨우 위안거리를 찾자면 기름 도적이 주문 도적보다는 사제 입장에서 그나마 상대 할만하다는 것.[* 비교하자면 주문도적 상대론 아무것도 못하다 죽지만 기름 도적 상대로는 뭐라도 해보고 죽는다....] == 기타 == [[https://www.youtube.com/watch?v=W7kugzdv2N0|중국어판 주제가]]가 한때 컬트적인 인지도를 얻었었다. {{{#!folding 몬더그린 가사 전문(저속한 표현이 다소 있으니 주의할 것) [ 펼치기 · 접기 ] [[피지컬]][[조루]]~[* 地精大战侏儒. 본 확장팩 제목의 중국어 표기이기도 하다.] 피지컬조루~↗ 다부쳤지 [[총리]]! 니[[후타나리|부랄보지]]~~ 매일 쟨 [[파밍]]? [[조지 부시|부시]]좆밥 좆이밥쫘~~~~~~~~~잘먹어~ [[모신나강#우크라이나의_장작|땅파면 총보였슈]]! 피지컬조루! 씨방 뒤진다 [[누구|누궈]]!~~ 왜이러노 [[미국인|아메리칸]]? }}} {{{#!folding 몬더그린 가사 전문 2 (저속한 표현이 다소 있으니 주의할 것) [ 펼치기 · 접기 ] 피지컬조루~ 피지컬조루~↗ 다 부쳤지 총리~ 니뷰랄보지~ 매일 쟨 파밍~ 붓에 총 빠졌지 밥 짜~ (잘 먹어!) 땅 파면 총 보였슈~ 피지컬조루!! 씨~방 뒤~진다 누고? 왜이러노 아메리칸?? }}} [[분류:하스스톤/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