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고블린 슬레이어)] ||<-2>
'''{{{+1 {{{#910101,#910101 고}}}{{{#ab0202,#ab0202 블}}}{{{#c40202,#c40202 린}}} {{{#df0101,#df0101 슬}}}{{{#c40202,#c40202 레}}}{{{#ab0202,#ab0202 이}}}{{{#910101,#910101 어 Ⅱ}}}}}}''' {{{#910101,#910101 (2023)}}}[br]'''{{{#8c0101,#8c0101 ゴ}}}{{{#a10202,#a10202 ブ}}}{{{#b50202,#b50202 リ}}}{{{#c90202,#c90202 ン}}}{{{#df0101,#df0101 ス}}}{{{#c90202,#c90202 レ}}}{{{#b50202,#b50202 イ}}}{{{#a10202,#a10202 ヤ}}}{{{#8c0101,#8c0101 ーⅡ}}}'''[br]'''{{{#910101,#910101 G}}}{{{#a10202,#a10202 O}}}{{{#b00202,#b00202 B}}}{{{#bf0202,#bf0202 L}}}{{{#cf0202,#cf0202 I}}}{{{#df0101,#df0101 N}}} {{{#df0101,#df0101 S}}}{{{#cf0202,#cf0202 L}}}{{{#bf0202,#bf0202 A}}}{{{#b00202,#b00202 Y}}}{{{#a10202,#a10202 E}}}{{{#910101,#910101 R Ⅱ}}}'''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고블린슬레이어2기_애니키비주얼2탄.jpg|width=100%]]}}} || ||<-2> {{{#c40202,#c40202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c40202,#c40202 장르}}}''' ||[[다크 판타지]], [[액션]] || || '''{{{#c40202,#c40202 원작}}}''' ||카규 쿠모(蝸牛くも) || || '''{{{#c40202,#c40202 캐릭터 원안}}}''' ||칸나츠키 노보루(神奈月 昇) || || '''{{{#c40202,#c40202 총감독}}}''' ||[[오자키 타카하루]] || || '''{{{#c40202,#c40202 감독}}}''' ||타카다 미사토(髙田美里)[* 감독 대표작: [[최유기 RELOAD -ZEROIN-]]] || || '''{{{#c40202,#c40202 시리즈 구성}}}''' ||<|2>[[쿠라타 히데유키]] || || '''{{{#c40202,#c40202 각본}}}''' || || '''{{{#c40202,#c40202 캐릭터 디자인}}}''' ||[[카토 히로미]] || || '''{{{#c40202,#c40202 서브 캐릭터 디자인}}}''' ||테라오 켄지(寺尾憲治)[br]핫토리 사토시(服部聰志) || || '''{{{#c40202,#c40202 몬스터 디자인}}}''' ||오자와 미치히코(小澤理彦) || || '''{{{#c40202,#c40202 이펙트 디자인}}}''' ||[[오다 히로야스]] || || '''{{{#c40202,#c40202 의상 디자인}}}''' ||테라오 켄지 || || '''{{{#c40202,#c40202 프롭 디자인}}}''' ||핫토리 사토시 || || '''{{{#c40202,#c40202 디자인 웍스}}}''' ||와타나베 가쿠(渡部 岳)[br]나카지마 슌(中島 俊)[br]미카와 히로시(三川 大) || || '''{{{#c40202,#c40202 촬영 감독}}}''' ||노자와 케이스케(野澤圭輔) || || '''{{{#c40202,#c40202 편집}}}''' ||우메즈 토모미(梅津朋美) || || '''{{{#c40202,#c40202 미술 감독}}}''' ||카이 마사토시(甲斐政俊) || || '''{{{#c40202,#c40202 미술 설정}}}''' ||SAKO[br]이서구(李書九)[br]타카하시 다이치(高橋大地) || || '''{{{#c40202,#c40202 색채 설계}}}''' ||노지 히로마사(野地弘納) || || '''{{{#c40202,#c40202 효과 감수}}}''' ||타니구치 쿠미코(谷口久美子) || || '''{{{#c40202,#c40202 특수 효과}}}''' ||아라하타 아유미(荒畑歩美) || || '''{{{#c40202,#c40202 음향 감독}}}''' ||하마노 타카토시(濱野高年) || || '''{{{#c40202,#c40202 음향 효과}}}''' ||후루야 유지(古谷友二) || || '''{{{#c40202,#c40202 음악}}}''' ||스에히로 켄이치로(末廣健一郎) || || '''{{{#c40202,#c40202 음악 제작}}}''' ||[[굿스마일 필름]][br]아티스트 매니지먼트 오피스 || || '''{{{#c40202,#c40202 치프 프로듀서}}}''' ||후카오 사토시(深尾聡志) || || '''{{{#c40202,#c40202 프로듀서}}}''' ||이시카와 요시히로(石川義洋)[br]마츠모토 카즈키(松本一貴)[br]오구라 미츠토시(小倉光俊)[br]후시미 레이코(伏見怜子)[br]이소가이 노리토모(磯谷徳知)[br]우에키 타츠야(植木達也)[br]아이다 타케시(相田 剛) || || '''{{{#c40202,#c40202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사사키 유스케(佐々木悠祐) || || '''{{{#c40202,#c40202 애니메이션 제작}}}''' ||[[라이덴 필름]] || || '''{{{#c40202,#c40202 제작}}}''' ||고블린 슬레이어 2 [[제작위원회]] || || '''{{{#c40202,#c40202 방영 기간}}}''' ||[[애니메이션/2023년 10월|2023. 10. 06.]] ~ 방영 중 || || '''{{{#c40202,#c40202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AT-X]] / (금) 22:00[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애니플러스]] / (토) 01:00 || || '''{{{#c40202,#c40202 스트리밍}}}''' ||[[애니플러스]] [[https://www.aniplustv.com/items/3018|▶]][br][[Laftel]] [[https://laftel.net/item/41657|▶]][br][[네이버 시리즈온]] [[https://serieson.naver.com/v2/broadcasting/593258|▶]] || || '''{{{#c40202,#c40202 편당 러닝타임}}}''' ||24분 || || '''{{{#c40202,#c40202 화수}}}''' ||12화 (예정) || || '''{{{#c40202,#c40202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등급 제도#관련 규정|[[파일:19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width=20]] {{{#ffffff 19세 이상 시청가}}}]] {{{-2 {{{#ffffff (폭력성, 선정성)}}}}}} || || '''{{{#c40202,#c40202 관련 사이트}}}''' ||[[http://goblinslayer.jp/|[[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GoblinSlayer_GA)] || }}}}}}}}}}}} || [목차] [clearfix] == 개요 == [[라이트 노벨]] [[고블린 슬레이어]]를 원작으로 하는 [[고블린 슬레이어/애니메이션|애니메이션 시리즈]] 중 제2기. 총감독은 [[오자키 타카하루]], 감독은 타카다 미사토, 제작은 [[라이덴 필름]]. 방영 시기는 [[애니메이션/2023년 10월|2023년 10월]]. 1기 및 극장판이 원작 스토리라인을 그대로 따르지 않고 약간의 변경이 있었기 때문에[* 3~4화에서 원작 1권 중반의 오우거 전 → 5화에서 원작 4권의 일상 파트 → 6~9화에서 원작 2권의 물의 도시 편 → 10~12화에서 원작 1권 후반부인 고블린 로드 전을 다뤘다. 그리고 극장판은 원작 5권 내용이다.] 건너뛴 3권 다크 엘프 편과 4권 워록 편이 영상화 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또한 [[고블린 슬레이어: GOBLIN'S CROWN|극장판]]의 주요인물인 [[영애 검사]]가 주요 캐스팅 목록에 떠있는 것으로 보아, 원작 6권 스토리도 다룰 가능성이 크다. PV 제1탄에서 배 위에서의 싸움과 성벽 같은 곳에서 고블린 샤먼이 나오는 걸 봐서 원작 7권 엘프 마을 결혼식과 오프닝에서 악명의 태도 등장인물들이 나오는 걸 근거로 관련된 내용이 나오는 8권 까지 진행할 수 있다. == 공개 정보 == 2021년 1월 31일, [[GA문고]] FES 2021 ~GA 15th Anniversary~에서 TVA 2기 제작이 발표되었다. === PV === ||
{{{#!wiki style="margin: -4.8px -10px -6px" [youtube(rgjWgwstNbM, width=100%)]}}} || || '''제작 결정 PV''' || ||
{{{#!wiki style="margin: -4.8px -10px -6px" [youtube(Dc3U12kH3WA, width=100%)]}}} || || '''티저 PV''' || ||
{{{#!wiki style="margin: -4.8px -10px -6px" [youtube(0vBu1Ist7Ew, width=100%)]}}} || || '''PV 제1탄''' || ||
{{{#!wiki style="margin: -4.8px -10px -6px" [youtube(W90MhD6d-u4, width=100%)]}}} || || '''PV 제2탄''' || === 키 비주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고블린슬레이어Ⅱ_애니티저비주얼.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고블린슬레이어Ⅱ_애니키비주얼.jpg|width=100%]]}}} || || '''{{{#c40202,#c40202 티저 비주얼}}}''' || '''{{{#c40202,#c40202 키 비주얼 1탄}}}''' || == 줄거리 == >'난 세계를 구하지 않는다. 고블린을 죽일 뿐이다.' > >변경의 길드에는 고블린 토벌만으로 >은 등급(서열 3위)까지 오른 특이한 존재가 있다고 한다. > >모험가가 되어 처음으로 결성한 파티가 궁지에 몰린 [[여신관]]. >그녀를 위기에서 구해준 사람은 > >[[고블린 슬레이어(고블린 슬레이어)|고블린 슬레이어]]라고 불리는 남자였다. >---- >[[https://www.aniplustv.com/items/3018|애니플러스]] == [[고블린 슬레이어/등장인물|등장인물]] 및 주요 성우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고블린 슬레이어/등장인물)] ||
'''등장인물''' || '''성우''' || || '''[[고블린 슬레이어(고블린 슬레이어)|고블린 슬레이어]]''' || [[우메하라 유이치로]] || || '''[[여신관]]''' || [[오구라 유이]] || || '''[[엘프 궁수]]''' || [[토야마 나오]] || || '''[[소치기 소녀]]''' || [[이구치 유카]] || || '''[[접수원 아가씨]]''' || [[우치다 마아야]] || || '''[[드워프 도사]]''' || [[나카무라 유이치]] || || '''[[리자드맨 승려]]''' || [[스기타 토모카즈]] || || '''마녀''' || [[히카사 요코]] || || '''창잡이''' || [[마츠오카 요시츠구]] || || '''소년 마법사''' || [[이세 마리야]] || == [[고블린 슬레이어#설정|설정]]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고블린 슬레이어, 앵커=설정)] == 주제가 == === OP === ||<-2>
'''{{{#c40202,#c40202 OP[br]Entertainment}}}'''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c40202,#c40202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21bCrsGt050, width=100%)]}}} || ||<-2> '''{{{#c40202,#c40202 Full ver.}}}''' || || '''노래''' || [[Mili]] || || '''작사''' || Cassie Wei || || '''작곡''' || Cassie Wei[br]Yamato Kasai || || '''편곡''' || Yamato Kasai[br]arai tasuku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2> 하리마 유우(播摩 優) || || '''연출''' || || '''작화감독''' || 테라오 켄지(寺尾憲治)[br]코가 이소로쿠(古賀五十六)[br]칸바라 토우마(柑原豆真)[br]야마모토 슈헤이(山本周平)[br]이시야마 히로시(石山 寛) || }}}}}}}}} || ||<-2> {{{#!folding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출처: ''' || }}} || === ED === ||<-2>
'''{{{#c40202,#c40202 ED[br]霞の向こうへ[br]안개 너머로}}}'''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c40202,#c40202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IKRGq4mvdkE, width=100%)]}}} || ||<-2> '''{{{#c40202,#c40202 Full ver.}}}''' || || '''노래''' || [[나카시마 유키]] || || '''작사''' ||<|3> amazuti || || '''작곡''' || || '''편곡'''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2> 타카다 미사토(髙田美里) || || '''연출''' || || '''작화감독''' || 야마모토 슈헤이(山本周平)[br]코가 이소로쿠(古賀五十六) || }}}}}}}}} || ||<-2> {{{#!folding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출처: ''' || }}} || == 회차 목록 == ||
'''회차''' || '''제목'''[*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플러스]]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 || '''각본'''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총작화감독''' || '''방영일''' || || {{{-3 제1화}}} || {{{-3 ありふれた春の一日[br]흔하디흔한 어느 봄날}}} ||<|6> {{{-3 [[쿠라타 히데유키]]}}} ||<|2> {{{-3 타카다 미사토[br](髙田美里)}}} || {{{-3 타카다 미사토}}} || {{{-3 혼다 케이이치[br](本田敬一)[br]오오타 노부타카[br](太田宣貴)[br]미야타 나오미[br](宮田奈保美)}}} || {{{-3 이시야마 히로시[br](石山 寛)[br]핫토리 사토시[br](服部聰志)}}} || {{{-3 日: 2023.10.06.[br]韓: 2023.10.07.}}} || || {{{-3 제2화}}} || {{{-3 赤毛の少年魔術師[br]붉은 머리칼의 소년 마술사}}} || {{{-3 요시다 슌지[br](吉田俊司)}}} || {{{-3 미야타 나오미[br]후지타 마사유키[br](藤田正幸)[br]이토 타이요쿠[br](伊藤大翼)[br]타카하시 아츠코[br](高橋敦子)[br]사사키 아야카[br](佐々木彩香)[br]닛타 타쿠미[br](新田拓実)[br]코가 이소로쿠[br](古賀五十六)[br]오오타 노부타카[br][[이카이 카즈유키]][br]키노시타 유미코[br](木下由美子)}}} || {{{-3 테라오 켄지[br](寺尾憲治)}}} || {{{-3 日: 2023.10.13.[br]韓: 2023.10.14.}}} || || {{{-3 제3화}}} || {{{-3 町外れの訓練場[br]변두리의 훈련장}}} || {{{-3 사카타 준이치[br](坂田純一)}}} || {{{-3 세키노 세키쥬[* 세키노 케이이치(関野圭一)의 필명.][br](関野関十)}}} || {{{-3 이시야마 히로시[br]코가 이소로쿠[br]오오타 노부타카[br]하시모토 호다카[br](橋本穂高)[br]모리 에츠히토[br](森 悦史)[br]하나자와 유리[br](花澤友梨)[br]오쿠노 노리후미[br](奥野倫史)[br]타카다 히로미[br](高田浩美)[br]UEC}}} || {{{-3 이시야마 히로시[br]코가 이소로쿠}}} || {{{-3 日: 2023.10.20.[br]韓: 2023.10.21.}}} || || {{{-3 제4화}}} || {{{-3 そして冒険へ[br]그리고 모험으로}}} || {{{-3 [[니시타 마사요시]]}}} || {{{-3 미즈모토 하즈키[br](水本葉月)}}} || {{{-3 후지타 마사유키[br]오오타 노부타카[br][[Vercreek]][br]닛타 타쿠미[br]미야타 나오미[br]타카다 히로미[br]코가 이소로쿠[br]이카이 카즈유키[br]키노시타 유미코}}} || {{{-3 테라오 켄지[br]모리타 미노루[br](森田 実)}}} || {{{-3 日: 2023.10.27.[br]韓: 2023.10.28.}}} || || {{{-3 제5화}}} || {{{-3 かみきり丸、南の川へ[br]카미키리마루, 남쪽 강으로}}} || {{{-3 [[니시자와 스스무]]}}} || {{{-3 사모토 미츠쿠니[br](佐本三国)}}} || {{{-3 타카하시 아츠코[br]나이토 이노스케[br](内藤伊之介)[br]사사키 아야카}}} || {{{-3 이토 타이요쿠[br]하시모토 준이치[br](橋本純一)}}} || {{{-3 日: 2023.11.03.[br]韓: 2023.11.04.}}} || || {{{-3 제6화}}} || {{{-3 エルフ王の森[br]엘프 왕의 숲}}} || {{{-3 오쿠무라 요시아키[br](奥村よしあき)}}} || {{{-3 키무라 케이지[br](木村佳嗣)}}} || {{{-3 후지타 마사유키[br]오오타 노부타카[br]미야타 나오미[br]나마타메 야스히로[br](なまためやすひろ)[br]마츠모토 에니시[br](松本 緑)[br]닛타 타쿠미[br]타카다 히로미}}} || {{{-3 이시야마 히로시[br]사토 치하루[br](佐藤千春)}}} || {{{-3 日: 2023.11.10.[br]韓: 2023.11.11.}}} || || {{{-3 제7화}}} || {{{-3 ジャングル・クルーズ[br]정글 크루즈}}} || || || || || || {{{-3 日: 2023.[br]韓: 2023.}}} || || {{{-3 제8화}}} || || || || || || || {{{-3 日: 2023.[br]韓: 2023.}}} || || {{{-3 제9화}}} || || || || || || || {{{-3 日: 2023.[br]韓: 2023.}}} || || {{{-3 제10화}}} || || || || || || || {{{-3 日: 2023.[br]韓: 2023.}}} || || {{{-3 제11화}}} || || || || || || || {{{-3 日: 2023.[br]韓: 2023.}}} || || {{{-3 제12화}}} || || || || || || || {{{-3 日: 2023.[br]韓: 2023.}}} || == 해외 공개 == === 대한민국 === [include(틀:애니플러스 신작)] [[애니플러스]]에서 1기와 극장판에 이어 2023년 4분기 한일 동시방영작으로 들여와 자막으로 방영한다. == 평가 ==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드라마), tomato=, popcorn=)] [include(틀:평가/ANIPLUS, code=, user=)] [include(틀:평가/Filmarks(애니메이션), code=, user=)] [include(틀:평가/IGN 코리아, code=, user=)] [include(틀:평가/IMDb, code=, user=)] [include(틀:평가/Just Watch(드라마), code=, user=)] [include(틀:평가/MyAnimeList, code=, user=)] [include(틀:평가/TMDB(드라마), code=, user=)]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 user=)] [include(틀:평가/라프텔, code=, user=)] [include(틀:평가/알로시네(드라마), code=, press=, spectateurs=)] [include(틀:평가/야후! 키모, code=, user=)]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 user=)] [include(틀:평가/왓챠, code=, user=)] [include(틀:평가/크런치롤, code=, user=)]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 user=)]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드라마), code=, user=)] [include(틀:평가/네이버 시리즈온(방송), code=, Heart=)] === 방영 전 === 제작사가 [[WHITE FOX]]에서 [[라이덴 필름]]으로 바뀌면서 우려의 목소리가 있었으나, 같이 공개된 PV의 퀄리티가 1기보다도 높게 나오며 우려가 다소 종식되었다. 실제로 제작진도 전작의 감독 [[오자키 타카하루]]가 총감독으로 참여하고[* 동시기 [[BASTARD!! -암흑의 파괴신- 지옥의 진혼가편]]의 감독을 맡게 되면서 총감독으로 올라간 것으로 보인다.], 각본도 [[쿠라타 히데유키]]로 핵심 스태프는 대부분 연임이다. 작품색이 크게 바뀔 우려는 없다. 캐릭터 디자이너는 [[카토 히로미]]라는 베테랑 애니메이터로 교체되면서 캐릭터들이 좀 더 미형으로 디자인 되었고, 작화 퀄리티도 1기보다 안정화된 것이 눈에 띈다. 캐릭터 디자인이 바뀌었고 WHITE FOX와 라이덴 필름은 일하는 애니메이터 사이에 접점이 거의 없는 회사이므로 작화 스타일은 전작과 많이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 방영 후 === 캐릭터 디자인은 1기에 비해 좀 더 미형에 안정적으로 변했지만, 그 외 요소들은 1기에 비하면 못 미친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특히 작붕이 곳곳에서 보이고 있는데 이는 [[라이덴 필름]]의 실력 있는 애니메이터 참가가 거의 없어 작화 표현력 퇴보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1기가 나름 고평가를 받는데 지대한 영향을 미친 [[오자키 타카하루]] 감독이 본작에서는 감수에 가까운 총감독으로 물러나고 타카다 미사토가 메인 감독이 되었는데, 상대적으로 연출 실력이 낮은 터라 1기의 강점이었던 연출 기법이 대부분 사라졌다. 그래도 1기만큼은 아니지만 5년간의 텀이 있는것 치고는 한국에서의 반응이나 관심은 나름대로 있는 편이다. == 기타 == * 원작자 인터뷰에 따르면 원작 3권 다크 엘프 편과 4권 워록 편은 영상화가 안됐을 뿐 이미 진행한 뒤라는 설정이라고 한다. [[분류:고블린 슬레이어/애니메이션]][[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2023년 4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다크 판타지 애니메이션]][[분류:라이덴 필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