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고성군(강원)의 읍]] [include(틀:고성군(강원도)의 읍면)] ||<-2> '''{{{+2 고성읍}}} [br] 高城邑''' || || 국가 || [[북한]] || || 광역시도 || [[강원도(북한)|강원도]] || || 시간대 || UTC+9 || || 인구 || 14,936명 || || 면적 || 55.84㎢ || ||<-2><:> [include(틀:지도, 장소=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고성군)] || [목차] == 개요 == [[강원도 고성군]]의 중심지였다. 현재는 [[강원도(북한)]] [[고성군(북한)]]. [[1914년]] [[부군면 통폐합]]에 따라 고성군 안창면(安昌面)과 동면(東面)을 합해 고성면이 되어 신설된 [[간성군]](杆城郡)에 속하였다. [[1919년]] 고성군으로 개칭되었고, [[1940년]]에 읍으로 승격되었다. [[8.15 광복]] 후 [[삼팔선]] 이북의 고성읍은 [[미수복지역]]으로 남았다가 [[1953년]] 7월 [[정전 협정(6.25 전쟁)|정전 협정]]으로 [[북한]]에 남게 되었다. 서쪽은 [[남강#s-2]]을 경계로 [[고성군(강원특별자치도)/행정#s-3.4|수동면]]과 접하고, 남쪽은 [[군사분계선]]에 막혀 있다. 북쪽은 [[외금강면]]에 접하며, 동쪽은 [[동해]]에 임해 있다. 읍의 북쪽 반 가량에는 남강 하류 연안에 발달한 고성평야가 있고 남쪽에는 산지와 좁은 해안평야가 있다. 해안은 사빈으로 된 곳이 많으나 수원단과 해금강과 같은 암석으로 된 해식지형이 발달해 경승지를 이루고 있다. 고성평야를 중심으로 [[벼]]농사가 잘 되는 편이고, [[보리]]·[[조(식물)|조]]·[[수수]]·[[옥수수]]·[[감자]] 등의 생산량이 많다. 또 [[양잠]]·축우도 활발하다. [[8.15 광복]] 전에 [[동해북부선]]이 개통되었으나 [[6.25 전쟁]]으로 파괴되었다. [[부산]]과 [[원산]]을 연결하는 [[국도 7호선]]이 종관한다. 고성은 해금강 관광의 기지 구실을 한다. 동(東)·서(西)·말무(末茂)·입석(立石)·봉수(烽燧)·보호(寶湖)·고봉(高峰)·포외진(浦外津)·감월(鑑月)·송도진(松島津)·명호(明湖)·송현(松峴)·대강(大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