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북제 황제)]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AF0D1 0%, #AAF0D1 20%, #AAF0D1 80%, #AAF0D1)" '''{{{#black 북제 비정통 황제}}}[br]{{{#black {{{+1 范陽王 | 범양왕}}}}}}'''}}} || || '''[[묘호|{{{#black 묘호}}}]]''' ||<(> 없음 || || '''[[시호|{{{#black 시호}}}]]''' ||<(> 없음 || || '''[[연호|{{{#black 연호}}}]]''' ||<(> 무평(武平, 577년 ~ 580년) || || '''[[성씨|{{{#black 성}}}]]''' ||<(> 고(高) || || '''[[휘|{{{#black 휘}}}]]''' ||<(> 소의(紹義) || || '''[[자(이름)|{{{#black 자}}}]]''' ||<(> 불명 || || '''{{{#black 부황}}}''' ||<(> [[제문선제|문선제]](文宣帝) || || '''{{{#black 모후}}}''' ||<(> 풍세부(馮世婦) || || '''{{{#black 생몰}}}''' ||<(> 546년 ~ ? || || '''{{{#black 재위}}}''' ||<(> 577년 ~ 580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북제]]의 비정통 황제이자, 황족. 북제의 부흥 운동가이다. 굳이 분류를 하자면 정통 황제가 아닌 비정통 황제라고 할 수 있다. == 생애 == [[577년]], [[북주]]의 대대적인 공격으로 [[북제]]가 망하자 당시 북제의 정주자사(定州刺史) 범양왕(范陽王) 직위에 있던 고소의는 돌궐에 망명한 상태였는데, 북주에 투항을 거부하고 영주 자사인 [[고보녕]]과 함께 북제 부흥 운동을 일으켰다. 황제로 추대되면서 연호는 무평(武平)으로 정했는데 북제가 멸망하기 전에 쓴 연호와 같았다. 그러나 당시 북제의 영역 대부분은 북주가 차지해버린 상황이었고, 고소의와 고보녕 등의 부흥 운동 세력은 유주 일부와 요서 일대에 겨우 의지해야 했다.[* 비슷한 상황으로 398년 이후 [[북위]] - [[후연]], [[북연]]의 모습과 유사하다. 다만 이때 산동 지역과 회남 지역은 남조 국가인 [[동진]]의 영역이었다는 차이가 있다.] 고소의는 [[돌궐]]과 연합해 북주를 공격하기도 했으나 북주는 오히려 돌궐과 연계해 580년 돌궐군에 의해 고소의는 북주로 압송되었다. 고소의가 압송된 뒤에도 고보녕을 중심으로 요서 일대에 있던 북제의 잔당들은 583년에 완전히 진압되었다. 고소의는 촉 땅으로 유배형에 처해졌고 몇년 뒤 사망했다고 한다. == 참고 서적 == * 중국어 위키 백과 : [[https://zh.wikipedia.org/wiki/%E9%AB%98%E7%BB%8D%E4%B9%89|내용]] * 고구려와 수나라의 전쟁 : [[https://books.google.co.kr/books?id=qjEXAwAAQBAJ&pg=PT9&lpg=PT9&dq=%EA%B3%A0%EC%86%8C%EC%9D%98(%E9%AB%98%E7%B4%B9%E7%BE%A9)&source=bl&ots=TwMgHjr3jp&sig=NzjqDfUNDL0lbgu-4Yn6IEBgoi8&hl=ko&sa=X&ved=0ahUKEwj_6ZL2oKTOAhVGP48KHZH0CesQ6AEIKzAD#v=onepage&q=%EA%B3%A0%EC%86%8C%EC%9D%98(%E9%AB%98%E7%B4%B9%E7%BE%A9)&f=false|내용]] == 둘러보기 == [include(틀:북제서)] [[분류:546년 출생]] [[분류:남북조시대/황제]] [[분류:비정통 황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