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운행중단)] [목차] == 노선 정보 == ||<-6><:>{{{#ffffff 고속버스 대전복합↔포항}}}|| ||<:>노선||<-2><:>[[대전광역시]] [[동구(대전광역시)|동구]] [[용전동(대전)|용전동]]([[대전복합터미널]])||<:>↔||<-2><:>[[경상북도]] [[포항시]] [[남구(포항)|남구]] 해도동([[포항고속버스터미널]])|| ||<|2><:>포항행[br](하행)||<:>첫차||<:>08:20||<|2><:>대전복합행[br](상행)||<:>첫차||<:>08:20|| ||<:>막차||<:>18:00||<:>막차||<:>18:00|| ||<-3><:>배차간격||<-3><:>일 3회(8:20, 13:00, 18:00)|| ||<-3><:>운수사명||<-3><:> [[천일고속]] || ||<-2><:>노선||<-4><:>[[대전복합터미널]] ↔ [[대전IC]] ↔ [[경부고속도로]] ↔ [[도동JC]] ↔ [[새만금포항고속도로]] ↔ [[포항IC]] ↔ [[포항시청]] ↔ [[포항고속버스터미널]] || == 개요 == [[대전광역시]]와 [[경상북도]] [[포항시]]를 잇는 [[고속버스]] 노선. [[천일고속]]에서 운행하고 있다. == 특징 == * 전 배차가 [[포항시청]]에서 중간 승하차한다. * 동양고속은 2006년 4월 8일 [[한진고속]] 인수를 통해 들어왔다. * [[포항시|포항]]의 철도교통 여건이 매우 열악했을 적에는 지방간 중장거리 노선임에도 40분 간격으로 운행할 정도로 수요가 많았으나, 2015년 4월 2일에 [[동해선]] KTX가 개통한 후에는 수요가 고속철도로 대거 이탈했다.[* 동해선 신 모량신호장의 분기 기능 부여 당시에는 [[중앙선]] [[안동역]]~[[영천역]] 구간에 [[가공전차선]]이 없어서, 현 [[포항역]]에 [[ITX-새마을]]같은 일반철도 투입이 안 됐다. 2021년 12월 28일 부로 [[중앙선]] 복선전철 영천~경주 구간과 [[동해선]] 복선전철 태화강~포항 구간의 개통으로 ITX-새마을이 들어올 수 있게 되었으나, 아직 [[무궁화호]]만 들어오고 있다.][* [[대전역|대전]] ↔ [[포항역|포항]] KTX 요금은 30,400원으로 우등고속 요금인 23,700원보다 6,700원 비싸지만, 속도와 정시성을 무기로 고속버스의 수요를 가져오게 되었다.] [[고속버스 서울경부-포항|서울 ↔ 포항]] 노선도 수요가 어느 정도 빠지긴 했지만 경주나 울산, [[시외버스 동서울-포항|동서울발]]만큼 처참한 수준까지는 아니었는데, 이 노선은 경주, 울산, 동서울발 수준만큼 처참하게 몰락했다.[* 대전 ↔ 경주 고속버스 노선은 아예 폐지됐다. 게다가 [[고속버스 대전복합-동대구|대전 ↔ 대구]] 고속버스 노선도 대거 감차되어, 경주에서 대전으로 가려면 철도 외에는 선택지가 없다. 화천리의 현 경주역에서 경주 시내로는 노서동 [[경주고속버스터미널|고속터미널]] 승하차 기준으로 시내버스 이용 시 20분 걸린다.] [[대전복합터미널|같은 터미널]]에서 출발하는 [[고속버스 대전복합-울산|대전 ↔ 울산]] 고속버스도 2010년 11월에 KTX 개통 후 수요가 고속철도로 대거 빠지며 양방향으로 심야우등이 폐지됐고, 2016년 12월 SRT 개통 후에는 우등고속 기준으로 [[대전역|대전]] ↔ [[울산역|울산]] SRT와 요금이 불과 '''단돈 500원~800원 차이밖에 나지 않게 되면서''' 사실상 멸망하고 말았다. [[코오롱고속]] 시절부터 운행한 대전 ↔ 경주 고속버스 노선은 몰락을 넘어 아예 '''폐선'''되었다. 대전 ↔ 포항 노선이 몰락하는 동안 KTX는 꾸준히 증회하여 현재의 모습으로 자리잡았고, 현재도 꾸준히 증회 및 [[SRT]]의 동해선 투입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결국 SRT는 2023년 9월 1일부터 1일 2회 [[포항역]]에 들어온다. * 소요시간은 보통 2시간 50분 전후가 걸린다. 하행은 [[칠곡휴게소]], 상행은 [[추풍령휴게소]]나 [[황간휴게소]]에서 휴식한다. 양 방향 막차는 보통 휴게소 휴식 없이 무정차로 운행하는 편이다. * 포항발 심야우등 폐지 등으로 점차 감회되고 있다가, 코로나19로 더블 펀치를 맞은 후 완전히 몰락했다. 2020년 10월 동양고속이 이 노선에서 철수하게 되면서 천일고속이 단독으로 운행하게 되었다. 현재 양방향 모두 8:20, 13:00, 16:00 우등고속만 운행한다. 그러면서 심야우등도 폐지되고 운행횟수도 1일 3회로 처참하게 몰락했다. 3회의 운행 시간 외에 대전에서 포항으로 가려면, 동대구에서 환승하거나 [[대전역]]으로 가서 KTX를 이용하는 것 외엔 답이 없다.[* [[고속버스 대전복합-동대구|대전 ↔ 대구]] 고속버스 노선도 결국 2023년에 2회로 감회되며 몰락하기는 했지만, [[고속버스 대전복합-울산|대전 ↔ 울산]] 노선 및 대전 ↔ 포항 노선에 비하면 감차되는 시기가 상대적으로 늦었다.] 다만, 주말에는 그나마 만석 가까이 채우는 등 수요가 완전히 없다고는 하기 어렵다. * 여담으로 천안에서 포항으로 가는 버스가 1일 1회뿐이고 그것도 세종청사/세종/경주를 거쳐 오래 걸리기에 포항 거주자가 안성 혹은 천안 쪽으로 대학을 다니거나 그 반대의 경우 이 노선을 나름 활용하기도 한다. 물론 [[천안아산역]]에서 [[KTX]]로 [[포항역]]까지 바로 갈 수 있긴 하지만 배차가 적으며, [[대전역]]에서 [[KTX]]로 [[포항역]]으로 바로 갈 수 있기도 하지만 [[대전복합터미널]]-[[대전역]] [[환승저항]]이 있는데다가 무엇보다 현재의 [[포항역]]은 포항 [[남구(포항)|남구]]에서 접근성이 떨어진다.[* 이 노선의 시간이 안 맞는 경우 [[고속버스 대전복합-동대구|대전 ↔ 대구]] 고속버스를 이용한 후, [[시외버스 동대구-포항(직통)|동대구 ↔ 포항]] 시외버스를 이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2023년에 [[고속버스 대전복합-동대구|대전 ↔ 대구]] 노선이 추가로 감차되어, 환승용으로 대구에서 이용하려면 한 번 더 생각해 보아야 한다.] * 2023년 6월 1일부터 운행이 중단됐다. [[포항고속버스터미널]]에는 1년 동안 운휴한다고 공지했다. == 운임표 == * 성인 23,700 * 아동 11,900 == 둘러보기 == [include(틀:포항시의 시외버스 및 고속버스)] [[분류:고속버스 대전복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