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야수족]][[분류:유희왕/OCG/일반 몬스터]][[분류:유희왕/OCG/펜듈럼 소환]] [[유희왕/OCG]]의 상급 일반 / [[펜듈럼 소환|펜듈럼 몬스터]] 카드. [목차] == 설명 == [[파일:ゴースト・ビーフ.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일반=, 펜듈럼=, 한글판 명칭=고스트 비프, 일어판 명칭=ゴースト・ビーフ, 영어판 명칭=Ghost Beef, P스케일=4, 레벨=7, 속성=어둠, 종족=야수족, 공격력=2000, 수비력=1000, P효과1=①: 1턴에 1번\,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주사위를 1회 던진다. 턴 종료시까지 이 카드의 펜듈럼 스케일을 나온 눈의 수만큼 올린다(최대 10까지)., 효과1=미식가인 소의 유령. 가장 좋아하는 음식인 로스트 비프에는 사족을 못 쓰며\, 오늘도 새로운 맛과의 만남에 설레면서 현세를 방황하고 있다.)] 레벨 7의 [[일반 몬스터]] 중 최약체였던 [[슬롯머신 AM-7]]과 [[일반 몬스터/개별 문서가 없는 카드#스톤 드래곤|스톤 드래곤]]을 능가하는 약골 몬스터. 그래도 레벨이 높은 일반 몬스터인 덕분에 [[소환사의 스킬]] 등으로 쉽게 서치할 수 있다. 효과를 사용하면 펜듈럼 스케일은 최저라도 5가 되므로, 하급 몬스터의 펜듈럼 소환이 가능해진다. 하지만 펜듈럼 스케일이 불안정한 이 카드를 쓰는 것보다는, 애초에 펜듈럼 스케일이 높은 [[마술사(유희왕)#용혈의 마술사|용혈의 마술사]]나 [[이그나이트]] 등이 더 쓰기가 용이하다. [[엉터리(유희왕)|엉터리]]를 사용하면 펜듈럼 스케일이 최저 6이 되며, 2분의 3 확률로 10이 되니 이 불안정한 요소를 어느 정도는 해소할 수 있다. 특정 카테고리 이외의 레벨 8, 9 몬스터를 원래 레벨 그대로 펜듈럼 소환하고 싶을 경우, 후보는 이 카드나 [[EM(엔터메이트)#EM 라 팬더|EM 라 팬더]] 정도뿐이지만 라 판다의 스케일을 10으로 하는 건 시간이 꽤 걸리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이 카드로 좁혀진다. 기본적으로는 [[펜듈럼 턴]] 쪽이 확실하지만, 풀몬스터나 주사위 사용이 잦은 덱에서의 사용을 노려보는 것도 좋을 듯하다. 이름의 유래는 [[고스트]] + 로스트 비프. 그래서인지 소 주제에 소고기 요리를 탐한다는 괴랄한 일러스트와 텍스트가 특징이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듀얼리스트 페스티벌 2016 프로모션 팩 || DF16-JP008 || [[노멀]] [[패러렐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관련 카드 == === [[마일드 터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