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2023년 활약상, rd1=고승민/선수 경력/2023년)] [include(틀:롯데 자이언츠/외야수)] ---- ||
'''{{{#fff 고승민의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질롱 코리아/2019-20 시즌 엔트리)] ---- ||
'''{{{#fff 고승민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 [[롯데 자이언츠|{{{#fff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117번}}}''' || || 이예찬 || {{{+1 →}}} || '''고승민[br](2019)''' || {{{+1 →}}} || [[공석]] || ||<-5> '''{{{#fff [[롯데 자이언츠|{{{#fff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57번}}}''' || || [[이정담]][br](2018) || {{{+1 →}}} || '''고승민[br](2019~2020.7.6.)''' || {{{+1 →}}} || [[장두성]][br](2020.7.~2020) || ||<-5> '''{{{#fff [[질롱 코리아|{{{#fff 질롱 코리아}}}]] 등번호 52번}}}''' || || 류기훈[br](2018/19) || {{{+1 →}}} || '''고승민[br](2019/20)''' || {{{+1 →}}} || || ||<-5> '''{{{#fff [[롯데 자이언츠|{{{#fff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6번}}}''' || || [[딕슨 마차도|마차도]][br](2020~2021) || {{{+1 →}}} || '''고승민[br](2022~2022.3.10.)''' || {{{+1 →}}} || [[이학주]][br](2022.3.11.~2022) || ||<-5> '''{{{#fff [[롯데 자이언츠|{{{#fff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65번}}}''' || || [[강리호|강윤구]][br](2021.7.22.~2021) || {{{+1 →}}} || '''고승민[br](2022~)''' || {{{+1 →}}} || [[현역#s-3]] || }}}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3 고승민 프로필.png|width=100%]]}}} || ||<-2> '''롯데 자이언츠 No.65''' || ||<-2> '''{{{+2 고승민}}}[br]高承慜|Go Seung-Min''' || ||<|2> '''출생''' ||[[2000년]] [[8월 11일]] ([age(2000-08-11)]세)|| ||[[전라북도]] [[군산시]]||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학력''' ||[[군산신풍초등학교|군산신풍초]] - [[배명중학교|배명중]][* 군산중에서 전학.] - [[북일고등학교 야구부|북일고]]|| || '''신체''' ||189cm|92kg|[[A형#혈액형]]|| ||<|2> '''포지션''' ||'''[[1루수]]''', '''[[우익수]]''', [[좌익수]]|| ||[[2루수]]|| || '''투타''' ||[[우투좌타]]|| || '''프로입단''' ||[[KBO 리그/2019년/신인드래프트#s-3.2|2019년 2차 1라운드]] (전체 8번, [[롯데 자이언츠|롯데]])|| || '''소속팀''' ||'''[[롯데 자이언츠]] (2019~)''' ---- [[질롱 코리아]] (2019/20) || || '''병역''' ||[[대한민국 육군]] [[제15보병사단]] [[병장]] 만기전역[* 보직은 [[81mm 박격포]]병.][br]{{{-2 (2020년 7월 6일 ~ 2022년 1월 5일)}}}|| || '''연봉''' ||7,300만원 (92.1%↑, 2023년)|| || '''등장곡''' ||[[도겸(세븐틴)|도겸]] - 《Go!》[* [[KIA 타이거즈]]의 [[최원준(1997)|최원준]]과 등장곡이 같다.]|| || '''응원가''' ||[[예수전도단]] - 《[[https://youtu.be/NstqdjNrJOw|주의 자비가 내려와]]》[*가사 롯데의 고승민 안타 안타 롯데의 고승민 안타 안타 워어어 워어어 워어어어 워어어 워어어 워어어어 롯데의 고승민 안타 안타][*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KBO 리그]]에서 몇 안되게 [[CCM(음악)|CCM]]을 응원가로 개조한 사례다. [[SSG 랜더스]] 소속 [[최지훈(야구선수)|최지훈]], [[최준우]], [[오태곤]]과 같은 케이스.]|| || '''MBTI''' ||[[ISFP]] || || '''SNS''' ||[[https://www.instagram.com/gsm__65/|[[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2]]]]|| [목차] [clearfix] == 개요 == [[롯데 자이언츠]] 소속 [[외야수]] 겸 [[1루수]]. [[한동희]]와 함께 미래의 [[롯데 자이언츠]] 타선을 이끌어갈 선수로 손꼽히고 있다. == [[고승민/선수 경력|선수 경력]] == ||<-5> '''통합 선수 경력: [[고승민/선수 경력]]''' || ||<-5>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width=110]] || || [[고승민/선수 경력#s-3.1|{{{#fff '''2019년'''}}}]] || [[고승민/선수 경력#s-3.2|{{{#fff '''2020년'''}}}]] || [[고승민/선수 경력#s-3.3|{{{#fff '''군 복무'''}}}]] || [[고승민/선수 경력/2022년|{{{#fff '''2022년'''}}}]] || [[고승민/선수 경력/2023년|{{{#fff '''2023년'''}}}]] || ||<-5> [[고승민/선수 경력#s-2|{{{#fff '''아마추어 시절'''}}}]] || == 플레이 스타일 == 고등학교 시절부터 5툴 플레이어의 자질이 있다는 평가와 함께 타격에는 확실한 소질이 있다는 평가를 들었고 프로에서도 타구속도가 [[한동희]]와 함께 최상위권에 랭크되어있고 컨택에는 장점을 보인다. 벌크업 이후 장타력도 성장하며 향후 중장거리 타자로 성장할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잡아당기는 타구가 대부분이며 뜬땅비도 낮아 극단적으로 1~2루간을 향하는 땅볼이 매우 많다. 그리고 표본이 많지는 않지만 아직까지 보여준 바로는 [[좌상바]]인데, [[래리 서튼]]의 좌우놀이와 합쳐져서 상대 선발이 좌완이면 거의 무조건 선발 라인업에서 제외되어 버린다.[* [[신윤후]]가 좌완 상대로 성적이 나쁘지 않은 것도 한몫 한다지만, 사실상 22년 롯데의 나는 우익수다를 끝낸 선수로 좌완 상대로 경험치를 쌓을 필요성이 있다는 것이 중론이다. 한마디로 세금 먹여서 좌완한테 어느 정도 익숙해져야 팀과 자신에게 이득이다.][* 이제는 리그 최고 좌완 [[구창모(야구선수)|구창모]]를 상대로 홈런을 기록할 정도로 좌완 적응이 된 듯하다.] 2023년에는 좌완 상대로도 그대로 타석에 서고 있지만 5월 24일까지 18타수 1안타에 그치고 있다. 스텝업을 위해서는 좌완 상대 타율을 끌어올릴 필요가 있다. 또한 고승민의 타석에서 장점중 하나는 바로 타구속도인데, 2022년 한국야구 전체 타구속도 1위를 차지했다. 그러나 이는 타구 발사각도를 희생한 결과로, 2022시즌 타구 발사각도는 12도로 매우 낮은 편에 속하는데, 2023시즌을 앞두고 발사각을 높게 수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렇게 되면 타구 속도는 어느정도 감소한다.[[:파일:1666499017.jpg|#]] 수비는 2루수에서 외야수로 전향했기 때문에 [[고승민/선수 경력/2022년|2022 시즌]] 전반기에는 약간 불안했다.[* 특히 2022년 6월 2일 사직 LG전에서는 본헤드 플레이를 기록했다.] 그러나 점차 시간이 지날수록 다이빙 캐치도 많이 나오고 주자도 저격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점차 성장했다. 2023 시즌에는 주로 1루수로 출전하는데, 2루수 출신이여서 그런지 큰 문제 없이 좋은 수비를 보여주고 있다. 주루에서는 발 자체는 빨라보이나 실제론 많이 느리다고 한다. [[유강남]]하고 달리기 속력이 비슷하다고. 고승민의 다리 길이는 꽤 길어보이는 느낌이어서 빨라보이는 것 처럼 보이고, 유강남도 작은 키는 아니지만 특유의 덩치로 인해 고승민보다 더 느려보이는 것으로 추정된다. 대신 주루 센스는 좋은 편이라 종종 대주자로 기용되기도 한다. == 논란 및 사건 사고 == === 사생활 논란 === 2020년 3월 24일, 전 여자친구 A씨가 고승민과 사귀면서 두 번 임신했는데 두 번 유산했다고 주장했다.[* 첫 임신에는 낙태를 두번째 임신에는 유산을 하였다고 기사 내용에 적혀있다. 다만 기사 제목은 유산을 2번 하였다고 적혀있어 혼동을 주고 있다.] 그리고 바로 다른 여자를 소개받아서 만났다고 한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396&aid=0000544277|기사]] 폭로글에 의하면 A씨는 2017년 8월 고승민이 2학년 때 고승민과 사귀었으며 11월 임신을 했다고 한다. 당시 시기가 시기인 만큼 부모님들과 상의해 [[낙태]]를 결정했는데 고승민은 몰래 다른 여자를 만나다가 A씨에게 들켰다고 한다. A씨는 너무 당황스러운 나머지 다른 커플 친구들에게 자문했고, 그걸 안 고승민이 이 사실을 아는 야구부 부원들에게 A씨의 잘못으로 뒤집어씌웠다는 것. 그렇게 야구부 부원들에게 욕을 엄청 듣고 헤어졌는데 고승민에 대한 미련을 못 버린 A씨는 결국 다시 고승민과 계속해서 연락했는데 그때 또 임신을 했다고 한다. 그러나 고승민은 임신한 아이가 자기 아이가 맞느냐는 둥 불신했고 결국 A씨는 유산을 했다고 한다. 이후 프로에 간다고 고승민은 A씨를 없는 사람 취급했고 이에 본인은 지금 병원에서 (계속된 유산으로) 임신이 더 이상 힘들 것 같다는 진단을 받았고, 아직도 주변 사람들에게 욕먹으면서 지내는데 그 아이는 너무 승승장구하는 모습을 보기 너무 힘들어 퍼트린다고 밝혔다. 이후 이 사실이 모든 커뮤니티에 알려지고 기사화되고 일부 네티즌들이 A씨가 여자친구가 맞냐는 의혹을 제기하자 고승민과 나눈 DM을 공개하면서 확실한 증거를 내놓았다. 이 사건이 터진 이후 고승민은 1군은 물론이고 2군에서도 사라졌다...가 개막전 2군 라인업에 선발로 모습을 드러냈다. 다만 해당 경기는 우천취소되었고, 현역 육군으로 군대를 갔다. 이후 A씨가 대화로 원만하게 해결하였고 더 이상의 이슈화는 원치 않는다고 밝히면서 별 다른 징계없이 논란이 끝났지만 이 사건 때문에 여초 커뮤니티에선 [[지시완]], [[서준원]]과 함께 금지어로 취급하고 있다. 물론 대부분의 커뮤니티는 간간히 언급이 되는 수준이지 당사자 간 합의를 봤기에 더 이상 심하게 건드리지는 않는 여론이다. == 별명 == * [[구승민]]이 [[투같새]] 소리를 들은 이후 '''토같새(...)'''라는 별명이 생 겼다. == 여담 == * 야구를 시작하게 된 계기는 부모님이 맞벌이를 하셔서 형과 함께 부모님의 일이 끝날 때 까지 학교에 있었다고 하는데 처음에는 형이 먼저 한다고해서 본인도 또한 따라갔다고 한다. * 지명 후 가고 싶던 팀에 들어가 기쁘다는 인사를 했는데, [[http://gall.dcinside.com/giants_new2/897251|그간 페이스북에서 LG에 무한한 애정을 보이고 있었다.]] [[http://gall.dcinside.com/giants_new2/899327|이후 좋아하는 페이지를 롯데만 남기고 싹 정리했다.]] * 실제 롤모델은 [[오재원]]이라 한다. * [[북일고등학교 야구부|북일고등학교]] 동기인 [[최수호(야구선수)|최수호]], [[최시혁(야구선수)|최시혁]]은 배명중학교 졸업 동기이다. [[최수호(야구선수)|최수호]], [[최시혁(야구선수)|최시혁]]은 [[배명고등학교 야구부|배명고등학교]]로 진학하였지만, 2학년 때 [[북일고등학교 야구부|북일고등학교]]로 전학오면서 팀 동료가 되었다. * [[http://m.dcinside.com/board/giants_new2/2569146|카톡개를 닮았다.]] * 2020년 7월 6일 육군 [[제15보병사단]]으로 입대했다. 8월 20일 [[신병교육대대]] 수료식에서 북을 쳤다. * 군복무 중 근력운동을 많이 해서 몸무게를 95kg까지 불렸다. * 군복무 시절 주특기는 [[81mm 박격포]]였다고 한다. 팀 내 [[정훈]]과 [[김도규]] 역시 현역 시절 같은 보직이었다. 중대는 달랐지만 [[황영묵]]과 같은 대대였다고 한다. * 군입대 시절 후임이 그에 대한 미담을 밝혔는데 군대 분위기를 부드럽게 만들어주고 잘 챙겨주었다고 한다. 정말 착한 선임이었다고 한다. * 2022년 현재 등번호는 65번이지만 별다른 의미는 없고 만약 바꾸고 싶다면 야구를 처음할 때 달았던 17번을 달고 싶다고 밝혔다.[* 만약 고승민이 65번에서 17번으로 바꾼다면 [[강리호]]와 등번호 사용 구간이 같은 곳이 생긴다. 참고로 롯데에서 17번은 과거 강타자들이 달았던 등번호다. 1980년대 초대 프랜차이즈 스타였던 [[김용희]]와 1990년대 롯데 공격의 핵심이었던 [[김응국]]이 17번의 주인공이었다.] * 하지만 2023 시즌을 앞두고 17번의 원 주인인 [[강리호]]의 계약이 순탄하게 이루어지고 있지 않아 17번 사용이 불투명해지고, 낮은 번호대인 17번으로 바꿀 기회가 생겼으나 2022 시즌의 번호 그대로 65번을 달았다.[* 그리고 이 17번은 [[잭 렉스]]가 가져갔으나, 렉스는 7월 11일부로 웨이버 공시되었고, 박형준이 17번을 받았다.] * [[음치|노래를 정말 못 부른다.]] 이대호의 은퇴 헌정 영상에서 [[반어법|엄청난 노래 실력]]을 뽐내며 눈물을 흘리던 모든 사람들에게 웃음을 선사했다. * 왼쪽 팔뚝에 문신이 있다. * 팀에서 [[이학주]], 고승민, [[나승엽]], [[김민석(타자)|김민석]] 이 셋이서 사형제라 불리고 있다.[* 원래는 나승엽 까지 삼형제 였는데, 삼형제가 된 배경은 2022 시즌 전, 고승민과 나승엽이 먼저 이학주를 따라다녔고 이학주가 따라다니지 말라고 하자 저 둘이 이제부터는 우리가 삼형제다 라고 말했다고 한다.그리고 나서 김민석이 프로입단 후 막내로 합류했다.] 이 넷은 공통점이 많은데 넷 다 우투좌타이고 키가 185cm가 넘으며 모두 내야수 출신이다.[* 고승민, 김민석은 아마추어 시절 내야수였으나 프로 입단 후 외야수로 포지션을 옮겼다.] * 상술한 사형제 이외에도, 구승민, 그리고 "마승민"과 함께 [[https://m.youtube.com/watch?v=LbVRLUKc8XQ&pp=ygUQ6rWs7Iq566-8IOuWoeq1rQ%3D%3D&t=19m55s|고구마 트리오]]를 결성하자는 드립을 쳤는데, 놀랍게도 실제로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giants_new2&no=11103548|마승민이라는 이름을 가진 선수는 존재한다!]] 그리고 마승민 선수는 '''[[https://m.dcinside.com/board/giants_new2/12005326|5월 11일 시구자로 초청되었다!]]''' 선착순 117[* 고승민의.등번호 65+구승민의 등번호 22+마승민의 등번호 30=117. 사족으로 고승민이 2019년 달았던 번호가 117번이다.]명에게 자색'''고구마'''라떼 무료증정은 덤. * [[조세진]]이 입대 하루 전에 올린 인스타 게시물에 '''[[기만|전역까지 몇일 남았어?]]'''라며 농락한 것이 확인되었다. [[https://m.dcinside.com/board/giants_new2/11997263|먼저 간 엄장윤과 손성빈의 반응도 포인트.]]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 [[롯데 자이언츠/선수단]]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2000년 출생]][[분류:2019년 데뷔]][[분류:군산시 출신 인물]][[분류:배명중학교 출신]][[분류:북일고등학교 출신]][[분류:외야수]][[분류:우투좌타]][[분류:롯데 자이언츠/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