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고양시의 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고양010.pn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고양시 CI_White.svg|height=20]] {{{#ffffff 고양시 마을버스 010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010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중산동(약산마을) ||<-2> 종점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장항동([[빛마루]]·[[EBS]]) || ||<|2> 종점행 || 첫차 || 05:30 ||<|2> 기점행 || 첫차 || 06:10 || || 막차 || 22:50 || 막차 || 23:50 || ||<-2> 평일배차 || 15~20분 ||<-2> 주말배차 || 20~25분 || ||<-2> 운수업체 || [[백마운수]] ||<-2> 인가대수 || 12대 || ||<-2> 노선 ||<-4> 약산마을 - 소개울 - 하늘마을 - [[풍산역]] - {{{#red 저동중고교}}} - 라페스타 - 롯데백화점 - 일산동구청 - [[마두역]] - [[백석역]] - [[고양종합터미널]] - 백석1동행정복지센터 - 마두1동행정복지센터 - 국립암센터 - {{{#green 초가집, 저동고교}}} - 정발산동행정복지센터 - 밤가시마을 - 일산3동행정복지센터 - 후곡 한양아파트 - 오마초,중학교- 문촌초등학교 - 주엽역사거리 - 한수초등학교 - 현대백화점 - 킨텍스꿈에그린·원시티1단지 - 빛마루.EBS → 이후 역순 || == 개요 == [[백마운수]]에서 운행하는 마을버스 노선으로, 약산마을 ~ 빛마루(한류월드)간 노선이다. 왕복 운행거리는 약 32km이다. [[http://www.gbis.go.kr/gbis2014/schBus.action?cmd=mainSearchText&gubun=busInfo&searchText=010&routeId=241295707|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2007년 12월에 [[고양 버스 050|03번]]에서 분리신설된 03-1번이 전신이다. 이 때는 고봉운수에서 운행했다. * 2008년 12월에 노선번호가 03-1번에서 003번으로 바뀌었다. 2009년 고양시 마을버스 개편 전 시범적으로 개편된 체계를 적용시킨 노선이다. 후에 맨 앞 번호인 010번으로 변경된 것도 바로 이 때문. * 2009년 3월에 고양시 마을버스 개편으로 노선번호가 003번에서 010번으로 변경되었다. * 2013년 12월 5일에 국립암센터에서 후곡마을을 거쳐 원마운트까지 연장되었다.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bus&no=413537|관련 게시물]] * 2014년 12월에는 고양시 마을버스 2번째로 [[한국화이바 화이버드|화이버드]]를 출고하였고, 2015년 6월에는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초저상버스를 신차로써는 마을버스 최초로 자체 출고하여 운행한다.[* 경기도 마을버스에서 최초로 저상버스를 도입한 업체는 [[승진여객]]. 여기는 [[시민버스]]에서 중고차로 구입하였다.] * 일자미상 [[한류월드]] 빛마루방송센터까지 연장되었다. 물론 EBS 신사옥 앞까지 간다. 또한 기점이 약산마을.애니골입구에서 소개울을 한바퀴 도는 것으로 바뀌었다. * 2019년 1월 21일부터 EBS 방면에 한해 정차 정류장이 일부 변경되었다.(88A, 97도 같은 날 변경되었다. 기존 버스 정류장은 없어졌으며 현재 택시 승강장으로 변경되었다.) * 기존 : 백석역,고양종합터미널 → 일산병원 → 백석1동행정복지센터 * 변경 : 백석역,고양종합터미널 → 백석도서관,일산병원 → 백석1동행정복지센터 * 2019년 12월 2일부터 기존 소개울에서 약산마을까지 연장되어 유턴 회차 방식으로 노선이 변경되었다. (구)003번 시절 하사관주택(약산마을)에서 출발했던 노선으로 되돌아간 셈. == 특징 == * [[고양교통]]의 [[고양 버스 88|88번]]과 노선이 유사한 편이지만 [[고양 버스 88|88번]]의 배차 간격이 압도적으로 짧은데다 2대가 연달아 오는 경우가 흔한 반면[* 3대씩 연달아 오는 경우도 있다.] 이 노선은 그렇지 못하기에 많이 밀린다. 이 노선의 메리트라면 88번보다는 고급형 차량이면서 요금이 저렴하다는 것이다. * 주엽로를 달리며 한수초등학교, 문촌초등학교 일대와 후곡 학원가를 이어주는 유일한 노선이다. * 풍산역 정류장은 [[고양 버스 081|081번]]과 운행방향이 반대이니 이용시 주의해야 한다. * 가끔 부대앞까지 와서 회차하는 경우도 있다. * 다른 회사들이 아직 버스에 붙이는 경기도 및 고양시 시정슬로건을 교체하지 않은 반면 이 노선은 경기도 도정 슬로건이 민선 8기 슬로건인 "변화의 중심 기회의 경기"로, 고양시는 마찬가지로 민선 8기 슬로건인 "미래를 바꾸는 힘! 고양"으로 스티커를 교체한 차량이 존재한다. * 이 노선은 하늘마을과 저동초중고교, 정발산역에서 국립암센터와 EBS를 우회운행한다. * 하늘마을(풍산역)~국립암센터 : [[고양 버스 070|070]][* 이 노선은 국립암센터 후문을 경유한다.] * 마두역~EBS : [[고양 버스 080|080]]--, [[고양 버스 039|039]], [[고양 버스 082|082]][* 이 두 노선은 대화역까지 간 다음에야 현대백화점을 거쳐 원마운트로 간다.]-- * 마두역~후곡마을(일산3동/강선로) : [[고양 버스 078|078]](일산3동행정복지센터), [[고양 버스 77|77]], [[고양 버스 830|830]][* 이 두 노선은 강선로와 일산로에서 만나는 인접지역.] * 마두역~후곡마을(주엽2동/후곡로) : [[고양 버스 066|066]], [[고양 버스 11|11]](문촌초등학교~오마초등학교)[* 이 두 노선은 문촌사거리 정류장은 주엽역으로 좌회전해야하는 사정상 정차하지 않는다.] * 저동중고교 정류장과 초가집, 저동고 정류장에서의 운행 방향 안내는 바로 하위 문단에 후술. === 저동중고교 구간에서 승차시 안내사항 === 이 노선은 저동고교를 거점으로 하여 [[응암순환선|한 바퀴를 돌아 나가므로 잘못 탔다가는 목적지에 도착을 못하거나, 소요시간이 상당히 늘어나니]] 하단에 기술한 내용을 참고해야한다. [[파일:attachment/고양 버스 010/010_승차위치.png]] (출처 : [[네이버 지도]]) * {{{#red 초가집, 저동고교(20-277, 20-278)}}} : 후곡지구, 한류월드 빛마루[한류월드·EBS 방면] / 국립암센터, 일산병원[백석역, 약산마을 방면] * {{{#green 저동중고교}}} : 라페스타, 일산동구청[백석역, 한류월드·EBS 방면] / 풍산역, 하늘마을[약산마을 방면] 참고로 이와 같은 사례는 [[인천 버스 510|인천 510번]]의 도화사거리 구간 등에 있다.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3호선]] : [[정발산역]], [[마두역]], [[백석역]], [[주엽역]][* 주엽역사거리 하차 후 강선마을 방향 중앙로로 가야한다.] * [[파일:GJ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풍산역]] [[분류:고양시의 마을버스]][[분류:2007년 개업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