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비슷한 번호의 동일 지역 마을버스, rd1=고양 버스 011)] [include(틀:고양시의 버스)] || [[파일:DSC02542.jpg|width=100%]] || [[파일:DSC08528 (1).jp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고양시 CI_White.svg|height=20]] {{{#ffffff 고양시 일반형버스 11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고양 11 노선도.svg|width=100%]]}}} || ||<-2> 기점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성석동(성석동종점) ||<-2> 종점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신동(행신역) || ||<|2> 종점행 || 첫차 || 04:40 ||<|2> 기점행 || 첫차 || 05:45 || || 막차 || 22:40 || 막차 || 23:55 || ||<-2> 평일배차 || 5~12분 ||<-2> 주말배차 || 5~15분 || ||<-2> 운수사명 || [[명성(버스회사)|명성]] ||<-2> 인가대수 || 37대[* 실제로는 31대로 운행한다. ] || ||<-2> 노선 ||<-4> 성석동 - 중산고등학교- 해태쇼핑 - 중산중학교 - 중산마을10단지 - 북일산전화국 - 일산서구보건소 - [[일산역]] - 문촌초등학교 - [[주엽역]] - 강선마을 - 일산동구청 - [[마두역]] - [[백마역]] - 풍3동 - 식사오거리 - 고양시청·덕양구보건소 - 성사1동행정복지센터 - 고양어울림누리·달빛마을1단지 - 화정1동행정복지센터 - [[화정역(고양)|화정역]]·덕양구청 - 화정2동행정복지센터 - 롯데마트고양점 (구 GS마트) - 샘터마을2단지·신능중학교 - [[행신역]] || == 개요 == [[고양시]] 시내버스 노선 중 하나. 왕복 운행거리는 약 48km이다. [[https://map.naver.com/?busId=5529|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파일:external/thumb.photo.naver.net/dsc01106_yang83529.jpg|width=450]] * 1980년대 구일산 명성터미널 - 마두리 - 원당(고양시청) - 화정리 - 능곡 - 가라뫼 1번 노선으로 개통됐다. * 1990년대 일산신도시와 탄현, 중산지구, 화정지구가 개발되면서 구일산 명성터미널 - 탄현 - 중산 - 일산신도시 - 원당 - 화정 - 능곡 - 가라뫼 노선으로 변경되었다. * 2000년경 능곡,행신동,가라뫼구간이 단축되고 고양경찰서,gs마트,민방위교육장으로 회차경로가 변경되었다. * 2003년 12월 후곡롯데아파트,강선초교,문화초교 구간에서 오마초교,문촌초교,주엽역 경유하는 노선으로 변경되었다. * 2004년 구일산 명성터미널에서 성석동 영업소로 기점을 변경, 탄현마을, 일산시장 구간이 단축되고 중산마을에서 일산신도시로 바로 넘어가도록 노선이 변경되었다. * 2009년 7월 1일, 지자체(파주, 김포)와 시내버스 노선 기준을 통일하면서 1번에서 11번으로 바뀌었다. * 2009년 7월 1일에 경의선 전철이 개통함과 동시에, GS마트(現 롯데마트, 舊 LG마트)에서 행신역으로 연장되었다. 그와 동시에 04시 55분이었던 첫차가 10분 앞당겨졌다. * 2010년부터 [[일산역]] 앞 동골건널목이 지하화 공사로 인해 일산교로 우회하도록 노선이 임시 변경되었다. 당시 동골건널목은 경의선 복선전철화 이후 열차가 지나갈 때마다 엄청난 헬게이트(...)를 일으켰다. * 지하화 공사가 완공됨에 따라 2011년 5월 14일에 원래 노선으로 환원되었다. * 또한 백마교 입체화 공사 여파로 2010년 4월부터 2011년 11월까지 [[백마역]]으로 가지 않고 마두1동주민센터로 꺾게 되었다. 그러다가 백마교 입체화 공사가 1년 가까이 지연되어 마무리되면서 2012년 8월 27일 첫차부터 마두1동주민센터 ~ 백마마을 1,5단지 구간이 백마중학교 ~ [[백마역]]으로 바뀌게 되었다. 원래대로 돌아온 것이다. * 2018년 4월 18일에 3대가 증차되어 인가대수가 37대로 늘어났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transit&no=48746|관련 게시물]] * 2019년 11월 21일부터 23일까지 명성운수의 파업으로 인해 [[관산운수]], [[성우교통(고양)|성우교통]], [[보람운수]], [[여산교통]]에서 총 8대를 모아서(주말 2대) 지원 운행했었다. == 특징 == * [[고양 버스 77|77번]]이 사실상 폐지된 이후로 11번이 [[일산신도시]]를 비롯해 [[고양시]]에서 '''가장 오래된 노선'''이다. * 고양, 파주시 시내버스 중 가장 승객이 많다. 또한 66번, 1500번과 함께 캐시카우의 정석을 보여주는 수익성이 좋은 노선이다. * 벽제, 삼송 지역을 위시한 통일로 라인 정도를 제외한 고양시 주요 지역을 대부분 거쳐간다.(중산, 구일산, 일산신도시 동/서부, 원당, 화정, 행신) 그래서 별명이 '''고양시 대표 관광버스'''. 게다가 이 별명은 버스 기사들이 직접 붙여주었다. 편도로 전 구간을 완주하면 1시간 반 정도 걸리나, 중앙로가 막히면 훨씬 더 오래 걸린다. 하지만 주요 지역들을 많이 거치는데다 고양시의 가장 오래된 시내버스이기 때문에 수요는 꾸준하게 나오는 편이다. [[http://www.mygoyang.com/news/articleView.html?idxno=39841|결국 고양시에서도 시티투어라고 인증까지했다.]] * KTX를 타고 행신역으로 온 외지인들이[* 행신역은 KTX 필수정차역이 아니고 정차횟수가 적은 편에 속하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경부선/경전선/동해선 KTX를 타고 왔다면 서울역, 호남선/전라선 KTX를 타고 왔다면 용산역에서 경의중앙선을 타야할 수 있다. 단, 경의선 서울역은 배차간격이 상당히 길기 때문에 공항철도를 타고 공덕역이나 홍대입구역으로 가서 경의중앙선으로 환승하는 것이 낫다.] 일산신도시로 가기 위해 이 노선을 이용하기도 하는데, 이 노선을 타면 일산까지 1시간이 걸리는 손해를 본다. 행신역에서 일산신도시를 갈 때 [[고양 버스 97|97번]], [[김포 버스 2000|2000번]]을 타면[* 주말/공휴일에는 두 노선 다 배차간격이 최소 40분에서 최대 1시간 이상이므로 유의할 것.] 20분(백석역)~40분(대화역) 내외로 갈 수 있으며,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문산행 열차를 탄 후 [[대곡역(고양)|대곡역]]에서 3호선(대화행)으로 갈아타면 더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 백마마을, 백송마을, 후곡마을, 밤가시마을, 정발마을 또는 탄현, 구일산, 중산, 풍동, 식사동이 목적지라면 경의중앙선을 타는게 훨씬 빠르고 효율적이다.[* 중산마을, 하늘마을, 풍동지구로는 11번이 한 번에 가지만 경의·중앙선 열차를 타고 일산역 또는 백마역까지 가서 이 노선으로 갈아타는 것이 빠르다.] 특히 행신역에서 이 버스를 탑승했을때 풍산역과 탄현역은 갈수가 없기에 전철을 이용해야한다. 풍산역은 행신역에서 13~14분, 탄현역은 행신역에서 17~18분 정도 소요된다. * 성인 카드 요금 기준으로 1450원짜리 고양시티투어 버스가 하나 더 있는데 바로 [[고양 버스 88|88번]]이다. 다만 이쪽은 선형 자체는 괜찮은데 조밀한 곳에서는 100~200미터 가서 다음 정류장에 정차하니 문제... 학원가 같이 정말 빡빡한 곳은 차 밀릴때는 놓쳤더라도 다음 정류장까지 뛰어가서 타는 건 아주 쉽다. 만약 정말로 11번과 88번으로 고양시 시티투어를 하고 싶다면, 일산신도시 시가지, 즉 일산 위주로 보고 싶다면 88번을, 덕양구부터 일산동서구 그리고 경의선과 다리건너 막 개발되는 여러 신생 택지지구들까지 고양시 전체를 둘러보고 싶다면 11번을 권한다. * 성석동 방면 운행 시 원당역사거리 직전에서 U턴을 하는데 차선이 좁아 유턴을 한 번에 하기가 힘들어 후진을 하는 경우가 많은 편이다. 시내버스가 후진을 하는 것은 회차지가 아닌 이상 매우 보기 힘든 광경이다.[* 한때 기사 재량으로 유턴하지 않고 원당역 앞 교차로에서 좌회전을 두번 했지만 도로 상황이 영 좋지 못해 지금처럼 유턴하는것으로 유지되었다. ~~좌회전 두번해서 원당역 정류장에 정차좀해주지...~~] * [[고양 버스 011|011번]]과 일부 구간이 중첩돼 처음 오는 사람이라면 [[혼동하기 쉬운 버스|다소 헷갈릴 수도 있다]].[* 해당 구간은 화정역,롯데마트(성석동 방향)/별빛마을8단지(행신역 방향)] 그래서 11번 버스를 타고 [[행주산성]]에 간다고 하면 '''011번'''이라고 말하거나 '''마을버스 11번'''이라고 표현하는 것이 좋다. * 의외로 행신역 출발 첫차가 늦은 편이다.[* 보통 5시 50분~6시 즈음에 회차한다.] 명성운수가 행신동 인근에 차고지가 없는데다 인근에 주박할 곳도 마땅치 않은 것이 원인으로 추정된다. 고로 성석동 차고지에서 출발하여 운행 구간 전체를 운행하고 회차하는 차가 행신역 출발 첫차다. * '''[[시계외요금|거리비례제]]''' 적용노선이나, 현금 승차시에는 그냥 기본요금만 받는다.[* 일부 차량에 요금표가 붙어 있으나, 기사들이 신경 안쓰고 기본요금만 받는다.] * 이 노선의 파생 노선이었던 [[고양 버스 15|15번]]이 있었다. 김포시 나진교 출발이었고, 주엽역 이후 11번과 같았지만 행신역 회차가 아닌 롯데마트 고양점 회차였던 노선이었다. 2015년 현재는 폐선되었으며 그 역할은 [[김포 버스 33|김포 33번]]/[[김포 버스 33-1|33-1번]]과 김포시 서부, 일산신도시, 행신역을 연결해주는 [[고양 버스 97|97번]]이 일부분 대신하고 있다. === 매우 굴곡진 선형 === * 이 노선의 전설적인 선형은 다음과 같다. * 차고지인 성석동에서 중산마을입구 정류장까지는 큰 문제가 없다. 약간의 드리프트는 있지만 이건 뭐 지역 기점이니까... * 중산마을입구 정류장에서 직진해서 일산교를 넘지 않고, 우회전하면서 구일산 최고의 헬게이트인 원일로를 잠깐 지나간다. * 여기서 또 구일산 쪽으로는 안 가고, 산들마을 방향으로 꺾어 미친 곡률을 보여주는 동골지하차도를 넘어간다. * 차도를 건넌 후에 결국 [[중앙로(고양)|중앙로]] 쪽으로 갈거면서 [[일산역]] 쪽으로 다시 우회전한다. * 그 이후에는 [[주엽역]]에서 중앙로로 진입한 후 [[마두역]]까지 잘 가나 싶더니... * 갑자기 [[이마트 일산점]]을 앞에 두고 좌회전한다. 이쯤부터 대략 정신이 멍해진다. * 직진하면서 갈 길도 없어서 어이없게도 [[백마역]] 방향으로 좌회전한다. * 다시 기점으로 갈 수는 없으니 풍동지구로 우회전한다. * 돌아가는가 싶더니 이번엔 식사동 쪽으로 우회전한다. * 고양시청을 지나서 [[원당역]] 인근의 복잡한 샛길로 들어가서 시간을 잡아먹고 다시 들어간 방향으로 나온다. * 그랬더니 이번엔 화정동 쪽으로 내려가기 위해 좌회전한다. * 달빛마을과 은빛마을 라인으로 들어가려고 또 회전을 두 번 한다. * 그런 주제에 또 [[화정역(고양)|화정역]]은 선형 상 안 들어간다. * 롯데마트고양점으로 들어가기 위해 또 회전을 두 번 한다. * 결국 직진해서 중앙로를 그냥 건너간 후, [[행신역]]에서 P턴 회차. * 성석동, 중산마을 - [[행신역]] 구간을 자가용으로 달릴 경우 빠르면 30분만에 도착할 수 있다. 자가용과 비슷한 동선의 마을버스,11번 - [[일산역]] - [[행신역]]과 같은 방식으로 이동해도 30분~40분 정도면 가능하다. * 이 버스를 장거리로 이용하는 것은 권장하지 않는다. [[환승저항|귀찮더라도]] 환승을 하는 것이 좋다. 중간중간 돌아가는 버스의 특성상 짧은 거리를 이용하는 것은 문제가 없으나 장거리를 이용하기에는 시간이 많이 걸리기 때문이다. === 그래도 수요는 많다 === 굴곡진 선형에도 오랫동안 살아남아 꾸준히 명맥을 유지하는, 아니 그 수준을 넘어서 RH 5분, NH 7분 가량의 배차를 유지하는 데는 다 이유가 있으니 바로 꽤나 풍족한 이 노선의 구간 수요다. 아래의 역할들이 대표적. * 북일산 버스 연계: 북일산 대표 신시가지 중 한 곳인 중산과 본일산이라고도 불리는 구일산을 이어주는 노선. 경쟁자도 [[고양 버스 091]] 하나밖에 없다. 전통적인 이동 동선이었던 데다 행정상의 이유로 움직여야 할 일도 꽤 있어서 많지는 않지만 꾸준히 수요가 나온다. 하지만 091번은 노선이 바뀌는 바람에 주엽역 승차방향이 반대가 되어버렸다. * [[일산역]]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의중앙선]] 환승연계: [[고양 버스 066|066번]]과 수요를 나눠먹는다. 주로 중산마을과 후곡마을, 주엽의 승객들이 이용한다. 특히나 후곡마을이나 주엽 쪽은 유동인구가 많고 중산은 일산역 연계 버스가 이 녀석밖에 없는지라 사람들이 많이 탄다.[* 2017년 10월 13일 [[고양 버스 60|60번]]이 신설되면서 중산에서 60번을 타고 일산역에서 하차할 수 있으나... 배차간격이 60~100분이라는 점을 생각해보면 그냥 11번을 타는 게 좋다.] * 중앙로: [[주엽역]], [[정발산역]](일산동구청), [[마두역]]은 자체 수요도 엄청나고 [[수도권 전철 3호선|3호선]] 환승 수요까지 박터지기 때문에 이용객이 많다. * [[백마역]]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의중앙선]] 환승연계: 일산 동편에선 백마역의 환승 연계 기능을 한다. 주 고객을 백송, 백마마을 주민과 풍동지구 최동단의 주민들.[* 그러나 풍동지구를 세세하게 경유하지 않기 때문에 풍동지구에서 백마역이나 마두역으로 가는 수요는 [[고양 버스 080|080번]]이나 [[고양 버스 081|081번]]에게 밀린다.] * 고양시청: 시청이 원당 지역에 있어서 이 구간을 이용하는 수요도 꽤나 고정적으로 존재한다. 특히나 [[서울 버스 771|771번]]이 [[원릉역]]을 경유하기 때문에 나름 좋은 대체재가 되어준다. * 원당-화정 연계: 덕양구를 남북으로 연계하는 기능이 매우 크다. 행신에서 화정/원당을 이어 주는 버스가 11번을 제외하고는 [[고양 버스 850|850번]]밖에 없는데다가[* 그래도 행신 - 화정은 서로 연계가 잘되어 있다. 다만, 행신 - 원당은 이 버스가 수요를 독식 중이다.] 마을버스들은 전철역을 중심으로 다니기 때문에 단거리와 중장거리 수요 모두 11번이 거의 독식한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 [[화정역(고양)|화정역]] 인근 : 덕양구 최대 번화가인 화정역 인근의 자체 수요가 많고, 화정역을 통해 [[수도권 전철 3호선]]을 환승하는 수요와 [[화정터미널]]을 이용하는 수요가 더해지면 상당히 많아진다. * 덕양구 남북연계: 덕양구의 남부와 북부, 즉 행신과 화정/원당 지역을 이어주는 역할을 한다.[* 행신과 원흥 지역을 이어주는 역할을 하는 버스는 [[고양 버스 024]]다. 024A와 024B 모두 행신역과 원흥역을 오간다.] 특히나 [[고양 버스 850|850번]]의 배차간격이 길고 [[고양 버스 85|일반좌석 85번]]의 요금이 부담스러운 이용자의 수요에 맞는다. * [[행신역]]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의중앙선]] 환승연계: 행신동 주민들의 발과 같은 역할. 새롭게 개발되는 지역 중 하나라 수요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화정/원당에서 행신역 KTX를 이용할 때도 많이 탄다.[* 다만 행신역에서는 KTX가 일부 시간대에만 있으므로 시간을 미리 알아보고 타야한다.] [[수도권 전철 3호선]]으로도 가능하나 대곡역에서 갈아타야 하기 때문에 [[고양 버스 850|850번]] 혹은 11번을 이용한다.[* 11번 버스의 배차간격이 850번 버스보다 훨씬 좋기 때문에 11번 버스를 타는 상황이 더 많다. 그리고 애초부터 11번쪽이 인지도가 높아서 둘이 동시에 들어오는 상황임에도 11번을 더 많이 탑승한다.]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3호선]]: [[주엽역]], [[정발산역]][* 일산동구청 정류장 하차 후 도보로 약 150m.], [[마두역]], [[화정역(고양)|화정역]], [[원당역]][* 성사1동 주민센터 정류장 하차 후 도보로 약 250m.] * [[파일:GJ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일산역]], [[백마역]], [[행신역]] * [[파일:Seohae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서해선]]: 일산역 *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width=60]] 일반 철도역 : 행신역 [[파일:KTX BI.svg|width=35]] [[분류:고양시의 시내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