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번호가 비슷한 같은 지역의 마을버스, rd1=고양 버스 075)] [include(틀:고양시의 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명성75비야디.jp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고양시 CI_White.svg|height=20]] 고양시 일반형버스 75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고양 75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대화동(대화동) ||<-2> 종점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창천동(현대백화점) || ||<|2> 종점행 || 첫차 || 평일 04:40[* 인가상 첫차시각은 05시 정각이나 실제로 대화동 차고지에서는 04:40에 출발한다.] 휴일 06:40 ||<|2> 기점행 || 첫차 || 평일 05:40 휴일 07:40 || || 막차 || 평일 22:50 휴일 22:00 || 막차 || 평일 23:50 휴일 23:00 || ||<-2> 평일배차 || 10~120분 ||<-2> 주말배차 || 150~180분 || ||<-2> 운수사명 || [[명성(버스회사)|명성]] ||<-2> 인가대수 || 11대[* 현재는 평일 2대, 휴일 1대로만 운행중이다.] || ||<-2> 노선 ||<-4> 대화동 - 송포파출소,송포농협 - 대화중학교,종합운동장 - [[대화역]] - [[주엽역]] - 강선마을 - [[정발산역|일산동구청]] - [[마두역]] - [[백석역]] - [[대곡역(고양)|대곡역]] - [[행신동]] - 서정마을 - 화도교 - [[항공대학교]] - [[화전동(고양)|화전동]]행정복지센터 - [[덕은동]] - 덕은교,은평공영차고지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가좌역]],모래내시장 - 사천교 - 연희104고지앞·구성산회관 → 서대문우체국 → [[연세대학교]]앞 → [[연세로]]·스타광장 → 현대백화점 → 동교동삼거리(연희동방면) → 연희동대우아파트 → 연희104고지앞·구성산회관 → 이후 역순 || == 개요 == [[명성(버스회사)|명성]]에서 운행하는 일반형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약 48km이다. [[http://www.gbis.go.kr/gbis2014/schBus.action?searchText=75&routeId=218000125|전체 정류소 목록]] == 역사 == * 2022년 5월 23일, [[고양 버스 72|72번]]에서 분리 신설됐다. 인가는 [[고양 버스 72|72번]]에서 8대가 분리됐으며, 신설 당시에는 [[고양 버스 11|11번]], [[고양 버스 66|66번]], [[고양 버스 72|72번]], [[고양 버스 999|999번]] 출신 휴차 챠량을 투입했다. * 2022년 7월 18일부터 8월 20일까지 하수관로 공사로 인해 기존 '화전역앞 ~ 화전동행정복지센터'(화랑로 경유) 대신 항공대입구(중) 정류장(중앙로 경유)으로 우회운행했다.[* 이후 몇 차례 중앙로 경유로 우회운행했으나, 다시 화랑로 경유로 환원됐다.] * 2023년 9월 23일부로 72번과 통합됐다. [[https://m.dcinside.com/board/transit/644803|관련 게시물]] == 특징 == * 기본요금제 노선이었다가 일자 미상으로 거리비례제로 변경됐다. 그러나 현금 승차시에는 [[고양 버스 11|11번]]처럼 기본요금만 받는다.[* 차내에 거리비례 운임표가 비치되어 있지 않으며, 현금 승차시에는 전 구간 1,500원이다.] * 대화동 명성운수 본사에서 연세대학교 구간까지 동사 [[고양 버스 1000|1000번]]과 운행 구간이 100% 동일하다.[* 1000번은 연세대앞 중앙차로 정류장에 정차하지만, 75번은 연세대학교앞 가변차로 정류장에 정차한다.] * 노선은 비슷하나 현재는 폐선된 [[고양 버스 76|76번]], [[고양 버스 77|77번]] 등을 대체하는 효과도 있다. * 차고지 바로 옆에 대화고등학교가 있어 [[고양 버스 1000|1000번]]과 함께 하교 시간대 학생들의 발이 되기도 한다. * 예전에도 배차간격이 긴 편에 속했으나, 2023년 6월에 기사부족으로 인해 평일/주말/휴일 구분없이 운행댓수가 1~2대로 대폭 줄어들었다. 이로 인해 배차간격도 GBIS상의 배차간격과 달리 엄청나게 벌어졌으며, 72번과 통합된 이후에도 배차간격은 여전히 회복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지하철을 이용하는 것이 낫다. * 이 노선은 특이한 배차 간격을 가지고 있다. 앞차가 가고 나면 10분 후에 다음 차가 출발한다. 배차간격 10분은 시간대에 따라서 절대 거짓이 아니다. 앞차를 놓쳤다면 10분만 기다리면 다음 차가 온다. 그러나 그 다음 차도 놓친다면 약 2시간 이상을 기다려야 한다. 물론 다른 대체 노선이 워낙 많기 때문에 굳이 75번을 고집할 이유가 전혀 없다. === 시간표 === [[https://m.dcinside.com/board/transit/495663|2022년 5월 26일, 개통 직후 시간표]] [[https://m.dcinside.com/board/transit/618337|2023년 6월 기준 시간표]][* 경기버스 정보는 현대파크아파트.양우아파트 기준이며 최대 15분까지 차이날 수 있다.]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촌역(도시철도)|신촌역]], [[홍대입구역]][*A 동교동삼거리연희동방면 하차 후 도보 이동] *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3호선]]: [[대화역]], [[주엽역]], [[정발산역]], [[마두역]], [[백석역]], [[대곡역(고양)|대곡역]] * [[파일:Seoulmetro6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6호선]]: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파일:GJ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대곡역, [[화전역]], [[수색역]], 디지털미디어시티역, 홍대입구역[*A] * [[파일:AREX_icon.svg|width=17]] [[인천국제공항철도]]: 디지털미디어시티역, 홍대입구역[*A] * [[파일:Seohae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서해선]]: 대곡역 [[분류:고양시의 시내버스]][[분류:2022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서울특별시를 경유하는 고양시 시내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