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MBC 코미디언)] |||| [[파일:고정호_코미디언.jpg|width=100%]] || || 이름 || 고도후 || || 본명 || 고정호 || || 출생 || [[1977년]] [[12월 10일]]([age(1977-12-10)]세)[br][[경상남도]] [[진해시]][br](現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 || 국적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데뷔 || 1998년 MBC 공채 9기 개그맨 || || 학력 || [[전남대학교]] [[국제통상학과|국제통상학부]] || [목차] == 개요 == [[대한민국]]의 [[코미디언]]이다. 몇년 전에 이름을 고도후로 개명했다. == 활동 내역 == 무역과에 재학 중이던 1998년 7월, 한국 나이로 22세의 젊은나이[* 물론 최연소는 아니다. MBC내에서의 최연소 공채 발탁자는 만 19세였던 강우석이다. ]로 MBC 9기 개그맨으로 데뷔하였다.[* 당시 9기 개그맨 동기로는 고정호 본인을 포함해서 [[정성호(코미디언)|정성호]], [[방용화]], [[이칠선]], 강우석 5명인데 고정호와 정성호를 제외한 나머지 셋은 개그를 접은 것으로 보인다.] MBC '''[[오늘은 좋은 날]]'''을 시작으로 '''코미디 닷컴''', [[코미디 하우스]], [[웃으면 복이 와요]], [[개그야]] 등에 출연했다. 2001년 코미디 닷컴에서 [[최양락]]의 주선으로 게스트들끼리 펼치는 알까기 대결에서 동기 [[이칠선]]과 함께 스코어를 기록하는 역할을 맡는 등 그렇게 비중 있는 역할은 맡지 못했다. 그러던 중 2002년 1월 동기 정성호, 방용화와 함께 '''천지인의 명상개그'''로 인기를 얻어 이 셋의 팬카페가 만들어지기도 하고 이 셋을 소개하는 인터넷 뉴스기사가 작성되기도 한다. 명상개그라서 엄숙하고 조용할 것 같으나 실상은 [[언어유희]]를 이용한 개그였다. 셋이 명상 전도사처럼 명상에 대해 설명을 하는데 설명은 진지하지만 이 셋이 하는 행동은 진지하지가 않다. 예로 들면 '''무'''를 꺼낸 다음 '''"무턱대고"'''라는 말이 나오자 무를 턱에 댄다던가, '''막무가내'''라는 말이 나오자 채로 무를 갈고(막 무가네?), '''무찔러야겠습니다'''라는 말이 나오자 포크로 무를 찌르는 내용의 개그다. 2006년 [[개그야]]가 신설되자 고정호 역시 개그야에 출연해서 [[전환규]], [[김완기]] 등과 함께 '''퇴마사'''라는 개그를 진행한다. 이때 고정호는 하얀 타이즈를 입고 퇴마사 전환규가 부리는 분신으로 등장해서 악령 김완기 일당을 상대하는 개그였는데 전환규가 실수하자 같이 실수하고 또 김완기가 무공을 선보이자 날아가버리는 등의 슬랩스틱을 선보인다. 이 시기에 직업병을 소재로 한 '''버릇이 돼서'''에서는 엑스트라 직업병에 걸린 엑스트라 역할로 코너 도중에 난입해서 감탄사를 내뱉고 다시 퇴장하는 역할을 맡았다. 그후 '''사노라면'''과 '''다락방'''에서 아빠 역할로 나오는 등 다른 출연진들을 받쳐주는 역할을 하다가 개그야를 하차한 뒤 뮤지컬 배우로 활동하게 된다. 2013년 [[코미디에 빠지다]]에 합류해서 6대[* 현조할아버지 [[손헌수]], 고조할아버지 고정호, 증조할아버지 홍가람, 할아버지 김두영, 아버지 유상엽, 아들 권형준이다. 여기서 손헌수는 가장 나이가 많고 상태가 심각한 모습을 보였는데 훗날 웃찾사에 이적해서 그 분장 그대로 '''전설의 무대'''에 출연하게 된다.]나 되는 대가족을 다룬 코너 '''초고령화시대'''를 진행하며 다시 한 번 인기를 얻게 된다. 대를 이어올라갈 수록 노화 증세가 심각해지는 게 웃음 포인트다. 이 외에도 '''만원의 악사들''', '''섬마을 선생님''' 등의 코너를 진행했다. == 기타 == 2013년 11월 30일, 2살 연하 여성과 혼인했다. 참고로, 혼인 신고는 같은 해 3월에 이미 완료했으므로 법적으로는 이미 부부가 된 상태였다. == 관련 문서 == * [[코미디언/목록]] [[분류:한국 남성 코미디언]][[분류:1977년 출생]][[분류:1998년 데뷔]][[분류:진해구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