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일본 덴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F001F 0%, #bd0029 20%, #bd0029 80%, #AF001F)" {{{#dca600 '''고코마쓰 덴노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역대 일본 북조 덴노)] ---- [include(틀:역대 일본 상황)]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F001F 0%, #bd0029 20%, #bd0029 80%, #AF001F); color: #dca600" '''북조 제6대 천황'''}}}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F001F 0%, #bd0029 20%, #bd0029 80%, #AF001F); color: #dca600" '''일본 제100대 천황[br]{{{+1 고코마쓰 덴노}}}[br]後小松天皇'''}}}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후소송천황.jpg|width=100%]]}}} || ||<|2> '''출생''' ||[[1377년]] [[8월 1일]] || ||[[남북조시대(일본)|북조]] [[야마시로|야마시로국]] [[교토부|교토]] 교토 어소[br](現 [[교토부]] [[교토시]]) || ||<|2> '''사망''' ||[[1433년]] [[12월 1일]] (향년 56세) || ||[[야마시로|야마시로국]] [[교토부|교토]] 동동원선동어소[br](現 [[교토부]] [[교토시]]) || || '''능묘''' ||[[후카쿠사북릉]]([ruby(深草北陵, ruby=심초북릉)]) || ||<|6> '''재위기간''' ||'''{{{#dca600 북조 제6대 천황}}}''' || ||[[1382년]] [[5월 24일]] ~ [[1392년]] [[11월 19일]] || ||'''{{{#dca600 제100대 천황}}}''' || ||[[1392년]] [[11월 19일]] ~ [[1412년]] [[10월 5일]] || ||'''{{{#dca600 일본 상황}}}'''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ca600; font-size: .9em" {{{#94153e '''인세이'''}}}}}} || ||[[1412년]] [[10월 5일]] ~ [[1433년]] [[12월 1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황통''' ||[[고후카쿠사 덴노|'''지묘인통([ruby(持明院統, ruby=지명원통)])''']] || || '''휘''' ||모토히토([ruby(幹仁, ruby=간인)]) || || '''부모''' ||부황 [[고엔유 덴노]][br]모후 산조 사다코 || || '''형제자매''' ||3남 4녀 중 장남 || || '''배우자''' ||코혼몬인 || || '''자녀''' ||3남 2녀 || || '''종교''' ||[[불교]] || || '''법명''' ||소코치([ruby(素行智, ruby=소행지)]) || || '''원호''' ||고코마쓰인([ruby(後小松院, ruby=후소송원)]) || || '''시호''' ||'''고코마쓰 덴노([ruby(後小松天皇, ruby=후소송천황)])''' || || '''연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에이토쿠([ruby(永德, ruby=영덕)], [[1382년]] ~ [[1384년]])[br][[지덕|시토쿠]]([ruby(至德, ruby=지덕)], [[1384년]] ~ [[1387년]])[br][[가케이]]([ruby(嘉慶, ruby=가경)], [[1387년]] ~ [[1389년]])[br]고오([ruby(康應, ruby=강응)], [[1389년]] ~ [[1390년]])[br]메이토쿠([ruby(明德, ruby=명덕)], [[1390년]] ~ [[1394년]])[br]오에이([ruby(應永, ruby=응영)], [[1394년]] ~ [[1412년]])[* 이 시기에 '''오에이의 외구'''(応永の外寇)라 불리는 조선의 [[대마도 정벌#s-3.2|제3차 대마도 정벌]]이 있었다.]}}} ||}}}}}}}}}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제100대 천황. 북조의 제6대 천황이자, 마지막 천황으로 '''지묘인 황통'''이었다. 그의 치세때 남북조가 통일되었다. == 생애 == 북조의 제5대 [[고엔유 덴노]]의 첫 번째 황자로 태어났으며 이름은 모토히토(幹仁)였다. 어머니는 나이다이진(내대신) 산조 기미타다의 딸 산조 타카코(三条厳子)였다. 고코마쓰 덴노에게는 정식으로 맞이한 황후가 없었고, 여섯 명의 황실 배우자를 두어 총 4남 2녀를 낳았다. 그는 [[남북조시대(일본)|난보쿠초 시대]]에 북조의 황자로 태어나 히노 스케노리의 집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으며, 1382년 아버지 [[고엔유 덴노]]의 [[양위]]를 받아 다섯 살의 아주 어린 나이로 즉위했다. 그가 유아로 즉위했기 때문에 고엔유 덴노가 상황(上皇)이 되어 정치를 담당했다. 이 시기 [[무로마치 막부]]의 [[아시카가 요시미츠]]가 제3대 [[쇼군]]이 되어 세력을 확장하고, 안정된 정치 기반을 다지면서, 무로마치 막부가 장악하고 있는 북조 역시 강성해졌다. 이러한 상황에서 상대적으로 쇠락의 길을 걷게 된 남조 내에서는 ‘계속 대항하지 말고 북조와 화의해야 한다‘는 화친파의 주장이 설득력을 얻게 되었고, 이에 남조의 제4대 [[고카메야마 덴노]]가 1392년 무로마치 막부의 아시카가 요시미츠에게 화의를 요청했다. 고코마쓰 덴노는 남조의 [[고카메야마 덴노]]와의 화의에 따라 >‘북조 측과 남조 측에서 교대로 황위(皇位)를 계승할 것’('''양통질립''') 과 >‘고코마쓰 덴노의 황태자는 남조 측의 황자를 세울 것’ 이라는 조건에 합의했다. 고코마쓰 덴노는 조건을 받아들이기로 하고 고카메야마 덴노로부터 덴노의 상징인 [[삼종의 신기]]를 넘겨받아 1392년부터 북조의 덴노가 아닌 일본 전체의 정식 덴노가 되었다. '''이로써 약 56년 동안(1336~1392) 분열과 혼란이 지속되었던 일본의 난보쿠초 시대가 막을 내리게 되었다.''' 그러나 고코마쓰 덴노는 고카메야마 덴노와의 합의를 깨고 자신의 차남인 미히토 친왕을 [[황태자]]로 책봉했다. 그리고 1412년 8월 29일에 양위하여 미히토 친왕을 [[쇼코 덴노]]로 즉위시키고, 자신은 스스로 상황이 되었다. 문제는 쇼코 덴노가 병약했다는 것이다. 그가 아들을 둘 가능성이 낮은 상황에서 쇼코 덴노의 동생이었던 오카와노미야가 젊은 나이에 사망하자, 고코마쓰 상황은 지묘인 황통이 끊길 것을 염려했다. 그래서 북조의 제3대 [[스코 덴노]]의 손자였던 [[후시미노미야]] 사다후사 친왕을 쇼코 덴노의 후계자로 만들려고 했지만 쇼코 덴노의 반발로 뜻을 이루지 못했다. 결국 쇼코 덴노가 아들 없이 붕어하자, 고코마쓰 상황은 사다후사 친왕의 아들인 히코히토 친왕을 유자(猶子)[* 성씨를 바꾸지 않고 입양하여 후견하는 형태로 양육하는 자녀를 말한다.]로 삼아 [[고하나조노 덴노]]로 즉위시켰다. 이로써 고코마쓰 상황은 쇼코 덴노에 이어 고하나조노 덴노에 이르기까지 2대에 걸쳐 상황으로서 정치적 영향력을 발휘했다. 고코마쓰 상황은 1433년 12월 1일 56세의 나이로 붕어했다. 근대 이래 일본 역대 천황으로서 다이카쿠지 황통의 남조가 정통성을 인정받으면서 고코마쓰 덴노를 제외한 지묘인 황통의 북조 천황들은 역대 천황 가계에 포함되지 않게 되었다. 그러나 오늘날의 천황가는 혈통상 북조의 후손인지라 아예 흑역사화할 수도 없어서 정통성은 남조를 인정하되 황실 제사 같은 건 북조에도 함께 올리고 있다. [[시호#s-1.3|추호(追号)]]인 '고코마쓰'(後小松)는 제58대 [[고코 덴노]]의 별호인 '고마츠노미카도'(小松帝)에서 따온 것이었다. == 가계도 == * 비(妃): 코혼몬인(光範門院) 히노니시(후지와라) 스게코(시시){日野西(藤原)資子} (1384~1440) - 히노니시 스게쿠니(日野西資國)의 딸 * '''제2황자: 미히토 친왕(実仁 親王) - ([[쇼코 덴노]])''' * 제3황자: 오카와노미야(小川宮) (1404~1425) * 제1황녀: 리에 여왕(理永 女王) (1406~1447) * '''양자: 히코히토 친왕(彦仁 親王) - ([[고하나조노 덴노]])''' * 텐지: 다이나곤텐지(大納言典侍) 칸로지(후지와라) 츠네코(켄시){甘露寺(藤原)經子} - 칸로지 카네나가(甘露寺兼長)의 딸 * 궁인: 히노니시(후지와라)씨{日野西(藤原)氏} - 히노니시 스게쿠니(日野西資國)의 딸 * 궁인: 오요에노 츠보네(小兵衛局) 미나모토씨(源氏) * 제2황녀: ? (1412~?) * 궁인: 시라카와(미나모토)씨{白川(源)氏} - 시라카와 스게타다(白川資忠)의 딸 * 궁인: 후지와라씨(藤原氏) * 제1황자: [[잇큐 쇼준|잇큐 소준]](一休宗純) (1394~1481) [각주] [[분류:북조 천황]][[분류:일본 상황]][[분류:1377년 출생]][[분류:1433년 사망]][[분류:교토시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