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대한민국의 군인]][[분류:학생군사교육단 출신 인물]][[분류:동아대학교 출신]][[분류:공주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대한민국 육군참모차장]][[분류:윤석열 정부/인사]] [Include(틀:대한민국 국군의 현직 중장)] [include(틀:대한민국 역대 육군참모차장)] ---- ||<:>{{{#FFFFFF '''역임한 직위'''}}}||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제7기동군단장)]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a4f22, #2A5034 20%, #2A5034 80%, #2a4f22)" '''{{{#fff 대한민국 제64대 육군참모차장[br]{{{+1 고현석}}}[br]Koh Hyeonseok}}}'''}}}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고현석7군단장.jpg|width=100%]]}}} || ||<|2><#2A5034><:> '''{{{#fff 복무}}}''' ||<(>[[대한민국 육군]] || ||[[1991년]] ~ 현재 || ||<:> '''{{{#fff 학력}}}''' ||<(>[[동아대학교]] {{{-2 (산업공학 / 학사)}}}[br][[공주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 (행정학 / [[석사]][* 석사 학위 논문: [[https://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5230a53b49b094a0ffe0bdc3ef48d419&keyword=%EA%B3%A0%ED%98%84%EC%84%9D|육군의 인력구조 혁신 방향 및 과제]] (2007. 08.)])}}} || ||<:> '''{{{#fff 임관}}}''' ||<(>[[학군사관]] {{{-2 (29기)}}} || ||<:> '''{{{#fff 현재 계급}}}''' ||<(>[[중장]] {{{-2 (대한민국 육군)}}} || ||<:> '''{{{#fff 현재 보직}}}''' ||<(>[[대한민국 육군참모차장|육군참모차장]] || ||<:> '''{{{#fff 주요 보직}}}''' ||<(>[[제7기동군단]]장[br] [[제25보병사단]]장[br][[대한민국 육군본부|육군본부]] 전력계획차장[br] [[제3포병여단|제3포병여단장]] [br] [[대한민국 육군본부|육군본부]] 전력기획과장[br][[육군미사일사령부]] 작전처장[br][[제3포병여단]] 참모장[br][[제9보병사단 포병여단|제9보병사단 포병연대]]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 [[대한민국 육군|육군]]의 [[장성]]으로 현 계급은 중장, 현 보직은 [[대한민국 육군참모차장|육군참모차장]]이다. == 생애 == [[1987년]] [[대학입학 학력고사]][* 현재는 [[대학수학능력시험]]]에 합격하여 [[동아대학교]] [[산업공학과]]에 입학하였다. 학부 재학 당시 [[학군사관후보생]](29기)[* 학군 29기 임관동기로 [[정덕성]] [[지상작전사령부 부사령관]](직무대리)이 있다.] 과정을 지원하였으며, [[1991년]] [[2월]] 학부 졸업과 함께 [[대한민국 육군|육군]] [[포병]] 소위로 임관하였다. == 주요 직위 == * '''대령''' ,,2014년 2차 진급,, * [[제9보병사단 포병여단|제9보병사단 포병연대]]장 * [[제3포병여단]] [[참모장]] * [[육군미사일사령부]] [[작전참모|작전처장]] * [[대한민국 육군본부|육군본부]] 기획관리참모부 전력기획과장 * '''준장''' ,,2019년 11월 3차 진급,, * [[제3포병여단]]장 {{{-2 (2019.11 ~ 2020.12)}}}[* 전임은 천은찬, 후임은 [[박진희(군인)|박진희]]] * [[대한민국 육군본부|육군본부]] 기획관리참모부 전력계획차장 {{{-2 (2020.12 ~ 2021.06)}}} * '''소장''' ,,2021년 5월 4차 진급,, * [[제25보병사단]]장 {{{-2 (2021.06 ~ 2022.06)}}}[* 전임은 [[고태남]], 후임은 [[최성진(군인)|최성진]]] * '''중장''' ,,2022년 6월 1차 진급,,[* 대령 2차, 준장 3차, 소장 4차 진급자이지만 중장 진급은 1차로 했다. 전전임 군단장이었던 [[윤의철]], 전임 군단장이었던 [[허강수]] 중장도 포병 출신이었다. 윤석열 정부 첫 중장급 인사에서 포병의 약진이 드러났는데, 수도방위사령관이 된 육사 출신 임관동기 [[김규하(육사47기)|김규하]] 또한 포병 출신이다.] * [[제7기동군단]]장 {{{-2 (2022.06. ~ 2023.04.)}}}[* 전임은 [[허강수]], 후임은 [[김호복(군인)]]] * [[대한민국 육군참모차장|육군참모차장]][* [[대한민국 육군참모차장|육군참모차장]]은 [[제1군단장]], [[제5군단장]]과 더불어 [[육군사관학교|육사]] 출신만 부임하던 중장 보직이었으나 포병 간부 18기로 임관하여 육군참모차장에 보임되고 1988년에 물러났던 박명철 예비역 육군중장 이후, 35년 만에 비육사 출신 육군참모차장에 보임되는 기록을 남겼다.] {{{-2 (2023.04. ~ 현직)}}}[* 전임은 [[여운태]].] == 여담 == * 동아대학교-학군사관 직속 선배로는 6기수 선배인 [[남영신]] 前 육군참모총장이 있다. * 좌우명은 '인생은 속도가 아니라 방향성'이다. * 투철한 애국심이 있으며, 부하 장병에 대한 관심이 각별한 사람이다. 다만 부사관의 책임을 강조한 사례가 있었는데, 모 부대 지휘관 시절 예하 [[포대장]]이 소속 요원을 직접 영창(혹은 군기교육대) 인솔을 한 사례가 있었다. 이걸 보고 포대장이 상황 발생 시 현장에 위치해야 하는데 [[행정보급관]]은 뭐 하는 거냐고 일갈한 적이 있다. 2014년 [[제28보병사단 의무병 살인사건|윤 일병]], [[제22보병사단 총기난사 사건|임 병장]] 사건이 터지면서 장교, 특히 지휘관들이 병력 관리에 더욱 책임을 몰빵하면서 수년 후에는 부사관들이 병력관리에 대해 잘 몰라 되려 소대장에게 물어볼 정도가 되기도 했다. 병의 대표도 겸하는 부사관의 역할을 고려하면 좀 씁쓸한 대목. * 2022년 6월, [[윤석열 정부]]의 첫 군단장 인사에서 학군 및 포병 T/O로 중장 1차로 진급하여 제7기동군단장으로 임명되었다. 2023년 4월 [[대한민국 육군참모차장|육군참모차장]]으로 영전[* 이 자리는 제1군단장, 제5군단장 보직 등과 함께 육사 출신 중장만이 맡은 지 오래 된 보직이다. [[1983년]] 갑종 3기 출신의 [[오자복]] 예비역 육군대장이 맡았고 [[1988년]] 포병간부 18기로 임관했던 [[박명철]] 예비역 육군중장이 맡았다. 그 이후로는 육사 출신 중장이 맡다가, 35년 만에 비육사 출신으로 참모차장에 오른 것이다.]하였다. * 부대원들을 항상 생각하며 여건 보장이 확실하였다. * [[황유성]] 중장과 함께 육군 내 대표적인 전력통 장군이다. 비육사 출신임에도 전력 분야 요직을 두루 역임하였다. * 제7기동군단장 당시 임관 동기인 [[표창수]](육사 47기) 소장이 7군단 예하의 2사단장을 맡았다. * 자기 관리에 매우 철저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비육사인 데다가 포병임에도 중장까지 진급한 것 자체가 이를 방증한다.[* 육사 포병도 중장 이상 진급은 손에 꼽을 정도로 힘들다.] 사단장 시절 3km 뜀걸음을 12분대로 주파했다. 예비역들은 알겠지만 20대도 12분대가 잘 안나온다. 50대 중반의 나이에 보병도 아닌데 이 정도 기록이 나오는 건 정말 소름돋는 부분. * [[포병]] 출신임을 증명하듯이 [[장군]]이 된 후에도 병과 관련 전술적 식견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2021년]] [[제25보병사단]] 사단장 재임 당시, 예하 [[GP]] 방문간 포병 관측장교 임무수행상태 점검을 하던 와중, 당시 상황실 근무를 서던 관측장교를 따로 부르지 않고 초소의 화력계획만 읽어보고는, [* [[포병]]의 경우 "포병은 지도로 [[전쟁]]을 한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실제 작전 수행만큼이나 화력계획 작성이 중요시된다.] 별도 훈시 없이 상황실로 내려와 관측장교를 격려하며 '''"(화력)계획 보니까 더 볼 거 없겠다, 더 괴롭히면 너네 대대장이 나보고 뭐라 하겠지?"'''라는 발언과 함께 추가 확인 없이 30분만에 향발한 바 있다. * 진급 동기로는 [[고창준]] 現 [[제2작전사령관]]이 있다. 고 장군과 함께 대장 진급에서 경쟁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고 장군이 먼저 대장에 진급했다. 보통 육사와 비육사를 가리지 않고 대장 진급이 1기수당 1~2명 꼴이므로 현재로서 대장 진급이 낙관적이지는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