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0047a0 {{{+1 '''고흥 나들목'''}}}[br]{{{-2 '''高興 나들목'''}}}[br]{{{-2 '''Goheung Interchange'''}}}}}}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8000 5%, #F0FFF0 0%, #F0FFF0 100%);" {{{#008000 '''고흥 요금소'''[br]{{{-2 Goheung Tollgate}}}}}}}}} || || [[서영암IC|{{{#!html영암 방면}}}]][br][[벌교IC]][br]← 4.2 km || [[남해고속도로|[[파일:Expressway_kor_10.svg|height=23]]{{{#!html
남해선}}}]]'''{{{#fff {{{+1 7}}}}}}''' || [[해룡IC|{{{#!html 순천 방면}}}]][br][[남순천TG]][br]13.2 km → || ||<-3> [include(틀:지도, 장소=34.824210 127.342307, 너비=100%, 높이=225px)] || ||<-3> [[파일:external/www.newscani.com/news1359680507_86544_1m.jpg|width=100%]] || ||<-3> {{{-2 '''사진 오른쪽이 순천 방향, 왼쪽이 목포 방향[br]우측 원경에 보이는 시가지가 벌교 읍내이다.[br]아래 쪽 도로는 [[고흥군]]으로 들어가는 길이다.'''}}} || ||<-3> {{{#fff '''주소'''}}} || ||<-3> [[전라남도]] [[고흥군]] 동강면 한천리 || ||<-3> {{{#fff '''관리기관'''}}} || || [[남해고속도로|{{{#fff 남해선}}}]] ||<-2> [[한국도로공사]] 광주전남본부 보성지사 || ||<-3> {{{#fff '''개통'''}}} || ||<-3> [[2013년]] [[1월 30일]] || ||<-3> {{{#fff '''접속도로'''}}} || ||||<-3> [[고흥로]] · [[채동선로]] · [include(틀:노선번호/국도, n=15)] [include(틀:노선번호/국도, n=27)]([[우주항공로]])[* 간접연결된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남해고속도로]] 7번.''' [[전라남도]] [[고흥군]] 동강면 고흥로 4823-17 (한천리 415-17에 위치한 [[남해고속도로]]의 [[나들목]]. 명칭은 소재지인 [[고흥군]]에서 유래했다. == 특징 == [[남해고속도로|남해고속도로(영암 - 순천)]] 최초 계획에는 [[고흥군]]은 지나지만 관내에 나들목이 없고, [[벌교IC|벌교 나들목]]과 같이 일당백 할 계획이었으나 [[고흥군]]에서 나들목 설치 요구를했으며 결국 2012년 4월 [[남해고속도로|남해고속도로(영암 - 순천)]] 조기개통을 했으며, 이 고속도로에 나들목(IC)들이 개통이 되었지만, 이 나들목만 개통이 안되었다. [[2011년]] 위성사진을 보면 고흥IC 공사하는 흔적이 보인다. 비로소 [[2013년]] 2월에 고흥 나들목(IC)이 개통되었지만 부산, 순천에서 밖에 진출입 할 수 있고 광주, 목포에서는 [[벌교IC|벌교 나들목]]으로 진출입 해야한다. 진출 후 좌회전해서 내려가면 벌교 읍내가 나오고, 우회전해서 내려가면 [[15번 국도]], [[27번 국도]]를 통해 [[고흥군]]으로 갈 수 있다. 북고흥IC, 남벌교IC, 동강IC라고 불러도 될정도로 고속도로가 [[고흥군]] 최북단을 정말 살짝 스쳐 지나가기 때문에[* 약 2km. 게다가 그 중 1.2km는 터널이다.] 고흥군청까지 거리가 약 '''30km''' 정도로 상당히 떨어져 있다. 그래서 이름은 고흥 나들목(IC)지만 나들목이 북쪽에 너무 치우쳐 있다. 사실 동강면 자체가 생활권이 고흥읍보다 [[벌교읍]]에 가깝기 때문에, 정작 [[벌교읍]] 중심가에서 [[벌교IC|벌교 나들목]]보다 이 나들목이 더 가깝다. 이 나들목이 벌교 읍내보다는 벌교 외곽에 위치해 있어 순천에서 벌교 읍내로 가려면 이 나들목보다는 [[순천만IC|순천만 나들목]]으로 진출해서 [[2번 국도]]로 오는 게 더 편하다. [[벌교읍]] 구간에서 터널을 지나 이 나들목을 본 후에 반대쪽 터널을 지나면 또 벌교읍이다. 즉 벌교 - 고흥 - 벌교 이런 식이다. 그런 고로 [[남해고속도로]]는 [[보성군]]을 2번 지나간다. 입지가 두 터널 입구 사이에 짧게 드러난 지역이라 통상의 트럼펫형 나들목을 만들기가 어려워서, 순천에서 고흥으로 가거나 고흥에서 순천으로 갈 수 있게 설계되었다. 광주, 목포 방면으로 왕래할 경우에는 [[벌교IC|벌교 나들목]]을 이용해야 한다. 이것 때문에 [[벌교IC|벌교 나들목]]과 이 나들목 주변에 '''○○방향 이용 불가'''라는 표지판들이 있다.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한 [[더불어민주당]] [[신문식]] 전 의원이 목포 방향 진출입로 개설을 추진하겠다는 공약을 내긴 했는데([[http://blog.naver.com/sms_minjoo/220677610291|신문식 블로그]]), 이것이 말이 안 되는게 목포 방향 진출입로를 만들지 않은 것은 경제성과 같은 다른 이유가 있는 게 아니라 진짜로 기술적으로 만들 수가 없어서 못 만든 거다. 참고로 저 후보는 낙선했다. 당선됐어도 헛공약. [[서산영덕고속도로]]의 [[마곡사IC|마곡사 나들목]]과 공통점이 있다. 터널 바로 앞에 나들목을 만들었고 한쪽으로만 오고갈 수 있다는 것이 공통점이다. == 구조 == === [[도롱IC|순천]] 방향 === * 진입 가능: 고흥로 양방향 * 진출: '''진출 불가''' === [[서영암IC|영암]] 방향 === * 진입: '''진입 불가''' * 진출 가능: 고흥로 양방향 == 둘러보기 틀 == [include(틀:남해고속도로의 구간)] [[분류:남해고속도로]][[분류:대한민국의 고속도로 나들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