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진(희성) 군주)] |||||| '''{{{#ece5b6 곡옥 초대 국군[br]{{{+1 곡옥환숙}}}[br]曲沃桓叔}}}''' || |||| '''[[성씨|{{{#ece5b6 성}}}]]''' || 희(姬) || |||| '''[[본관|{{{#ece5b6 씨}}}]]''' || 진(晉) → 곡옥(曲沃) || |||| '''[[휘|{{{#ece5b6 휘}}}]]''' || 성사(成師) || |||| '''{{{#ece5b6 아버지}}}''' || [[진목후]](晉穆侯) 비왕(費王) || || '''{{{#ece5b6 생몰 기간}}}''' || 음력 || 기원전 802년 ~ 기원전 731년 || || '''{{{#ece5b6 재위 기간}}}''' || 음력 || 기원전 744년 ~ 기원전 731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곡옥의 초대 [[백작]]. 휘는 성사(成師).[* 환숙의 이름인 성사는 좋은 뜻이고 그의 형 [[진문후]]의 이름 구(仇)는 별로 좋지 않은 뜻이었기 때문에 [[진(희성)|진나라]]가 혼란해질 것이라는 말이 있었다.] [[진문후]](晉文侯)의 [[동생]]이며 곡옥에 봉해졌고 시호가 환(桓)이기 때문에 곡옥환숙으로 불린다. '''[[곡옥대진]]'''(曲沃代晉)을 일으킨 인물이다. == [[곡옥]] 백으로서 == 진 소후 원년([[기원전]] 745년), 진 소후는 진 문후가 죽고 진후가 되었는데, 숙부인 성사의 세력이 강성했기 때문에 그를 두려워한 소후는 성사를 곡옥의 백작에 봉했다. 그때 성사의 나이 58세였다. 곡옥 환숙 5년(기원전 739년), 이때는 성사가 곡옥의 백작이 된지 약 5년째 되는 해였는데, 진나라의 대신 반보가 진 소후를 시해하고 곡옥 환숙을 맞아들이려고 했다. 환숙 또한 소후가 죽은 틈을 타서 본가인 [[진(희성)|진]]을 먹으려고 했다. 그러나 진나라 사람들은 그를 받아들이지 않고 오히려 내쫓아버렸다. 그리고 소후의 아들인 평(平)을 진후로 모시니 그가 바로 [[진효후]]다. 이것이 곡옥대진의 서막이었다. 곡옥 환숙 14년(기원전 731년), 곡옥 환숙이 죽었다. == 후일담과 가정사 == 곡옥환숙이 죽은 뒤 그의 아들 선이 곡옥의 백작이 되니, 그가 바로 [[곡옥장백]]이다. 그리고 곡옥장백도 진나라를 적극적으로 차지하려고 했으나 번번이 실패했고, 장백의 아들 칭(稱), 즉 [[곡옥무공]]이 [[진후민]]을 죽이고, [[주나라]]의 재가를 받아 [[진무공]]을 칭했다. 그리고 [[한(전국시대)|한나라]]의 시조로 알려진 한무자가 곡옥환숙의 아들이다. [각주] [[분류:곡옥의 군주]][[분류:기원전 802년 출생]][[분류:기원전 731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