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일반 마법]][[분류:유희왕/러시 듀얼/일반 마법]] [[유희왕]]의 마법 카드. [목차] == 설명 == === [[유희왕/OCG|OCG]] ===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BlockAttack-BE02-JP-C.jpg|width=400]]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공격봉인, 일어판명칭=『攻撃(こうげき)(ふう)じ, 영어판명칭=Block Attack, 효과1=상대 필드 위에 앞면 공격 표시로 존재하는 몬스터 1장을 선택하고 앞면 수비 표시로 한다.)] 상대의 공격 몬스터를 수비 표시로 바꾸는 효과를 가진 일반 마법. [[수비봉인]]과 마찬가지로 상대 몬스터의 표시 형식을 변경시키는 것뿐이라 이 카드만 써서는 어드밴티지가 생기지 않는다. 공격력이 높고 수비력이 낮은 몬스터에게 발동해 전투 파괴를 보조하는 것이 발동 목적이 되겠다. 다만, 속공 마법인 [[에너미 컨트롤러]] 등의 상위 호환이 다수 존재하기에 우선도는 낮다. 초창기에는 [[쌍둥이 자매 엘프]]나 [[데몬 소환]] 등 수비력이 낮은 몬스터를 주력으로 채용하는 경우가 많았기에 때때로 대항마로서 이 카드가 채용되기도 했다. 그리고 한때 금지카드였던 [[주사천사 리리]]를 카운터 치는 용도로도 쓰이긴 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는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노아 편|노아 편]]에서 [[혼다 히로토]]가 사용하던 카드로 처음 등장. 이 카드를 사용해 공격 표시로 몬스터를 내놓은 [[카와이 시즈카|시즈카]]를 지키려고 했으나, [[오오타 소이치로]]가 체인으로 발동한 [[포스 필드(유희왕)|포스 필드]]에 씹혀버린다. 이후 [[빅5(유희왕)|빅5]] VS [[죠노우치 카츠야|죠노우치]]&[[어둠의 유우기|유우기]]와의 태그 듀얼에서는 죠노우치가 사용하여 [[다이몬 코고로]]의 [[주사천사 리리]]를 수비표시로 바꾸어서 [[인조인간 -사이코 쇼커-]]로 격파시키는 활약을 보였다. [[유희왕 ARC-V(코믹스)|코믹스판 유희왕 ARC-V]]에서는 [[아카바 레이지]]가 [[사카키 유우야]]와의 듀얼에서 사용. 아예 카드군으로 묶어 DD와 연계하는 카드도 있었다. 여담으로, 국내에 [[유희왕/OCG|유희왕 카드 게임]]이 처음 자리잡기 시작할 시기였던 당시에 아직 룰을 잘 모르던 ~~[[초딩]]~~ 플레이어들 사이에서는, 수비봉인 혹은 공격봉인을 사용한 뒤에 다른 나머지 봉인 카드를 사용하면 그 몬스터가 파괴된다는 루머가 있었다. 공격표시로도, 수비표시로도 있을 수 없으면 필드 위에 존재할 수가 없다는 논리. 실제로는 순서에 상관 없이 원래 상태로 돌아온다. 마법 카드를 그냥 날리는 격. 수비 표시 개념이 없는 링크 몬스터에게는 아예 사용할 수 없다. === [[러시 듀얼]] === [[파일:『攻撃』封じ.jp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공격봉인, 일어판명칭=『攻撃(こうげき)(ふう)じ, 영어판명칭=Block Attack, 조건=없음, 발동효과=상대 필드의 공격 표시 몬스터 1장을 고르고 앞면 수비 표시로 한다.,)] 어태커로 활용되는 대부분의 몬스터는 대개 수비력이 낮은 경우가 많으므로 수비 표시로 할 수 있다면 전투 파괴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2블록]] 등 수비 표시로 바꿀 수 있는 다른 카드가 있긴 하지만, 이쪽은 필요한 조건이나 코스트가 없으니 가볍게 사용해줄 수 있다. 이 카드로 직접 카드를 파괴하지 않으므로 대단한 점은 없어보이지만, 플레이어의 콤보에 따라 여러 활용이 가능한 카드라 할 수 있다. [[수기계의 왕 캐터펄트 데빌콩]]의 효과와 잘 맞는 편으로, [[푸른 눈의 백룡]]이나 [[마장 야메룰러]] 등 공 / 수 능력치가 모두 높은 몬스터라 해도 콤보로 어렵지 않게 격파할 수 있다. [[관통(유희왕)|관통]] 효과를 살리고 싶은 경우에도 도움이 된다. 다만 [[맥시멈 소환|맥시멈 몬스터]]에게는 아예 발동조차 할 수 없으니 주의. [[유희왕 SEVENS]] 24화에서는 [[소게츠 가쿠토]]가 [[오티스(유희왕)|오티스]]와의 듀얼에서 사용. [[붉은 눈의 흑룡]]을 수비 표시로 돌리고 [[마장 키메룰러]]로 직접 공격을 날리는 데에 활용되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캐릭터 팩|キャラクターパック ーガクト・ロア・ロミンー]] || RD/CP01-JP011 || [[레어(유희왕)|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최강 배틀 덱#s-2.3|最強バトルデッキ ガクト -魔将参陣-]] || RD/SBD3-JP024 || [[노멀]] || 일본 || || || [[캐릭터 팩|캐릭터 팩 -인학/로아/로민-]] || RD/CP01-KR011 || [[레어(유희왕)|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최강 배틀 덱#s-2.3|최강 배틀 덱 인학 -마장참진-]] || RD/SBD3-KR024 || [[노멀]] || 한국 || || == 관련 카드 == === [[수비봉인]]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수비봉인, version=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