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제 군주)] |||||| '''{{{#ece5b6 제(齊)나라 17대 국군 {{{+1 공자 무휴}}} 公子無虧}}}''' || |||| '''[[성씨|{{{#ece5b6 성}}}]]''' |||| 강(姜) || |||| '''[[본관|{{{#ece5b6 씨}}}]]''' |||| 여(呂) || |||| '''[[휘|{{{#ece5b6 휘}}}]]''' |||| 무휴(無虧), 무궤(無詭) || |||| '''{{{#ece5b6 아버지}}}''' |||| [[제환공]](齊桓公) 강소백(姜小白) || || '''{{{#ece5b6 생몰 기간}}}''' || 음력 || 기원전 ???년 ~ 기원전 642년 || || '''{{{#ece5b6 재위 기간}}}''' || 음력 || 기원전 643년 ~ 기원전 642년|| [목차] == 개요 == [[제(춘추전국시대)|제나라]]의 17대 [[군주]]. [[제환공]]의 서장자. [[제효공]], [[제소공]], [[제의공]]의 이복형. 어머니는 장위후다. 달리 공자 무궤(公子無詭)라고도 한다. == 재위 기간 == 제 환공이 중병이 들어 역아, 수초, 개방이 반역을 저질러 제 환공을 유폐하니, 제 환공은 굶어죽었다.[* 열국지에서는 안아아라는 시녀가 그것을 알리자 제 환공은 눈물을 흘리며 관중의 말을 듣지 않은 것을 후회하는 것으로 나온다.] 시체는 67일이나 방치되어 부패해 구더기가 들끓었다고 한다. 그 후 역아와 수초는 무휴를 추대했다. 그런데 공자 소가 [[송(춘추전국시대)|송나라]]에서 살고 있었다.[* 그 이유는 제 환공이 나라에 변란이 일면 [[송양공]]에게 공자 소를 데리고 제나라의 일에 개입하라고 부탁을 해뒀었다.] 제 환공의 부탁도 있고, 또 패자가 되고 싶은 욕심이 있었던 [[송양공]](宋襄公)은 그 일에 개입하기로 마음을 굳혔다. 공자 무휴 2년(기원전 642년), 송양공은 군사를 일으켜 [[조나라|조(曹)나라]], [[위나라|위(衛)나라]], [[주나라|주(邾)나라]]와 연합해 공자 소를 데리고 쳐들어와 역아를 격파하고 수초와 공자 무휴마저 제거한다.[* 역아는 이후 송나라로 달아나 살아남았다. 그 후 기록은 없다. 개방의 경우에는 다른 공자를 공왕으로 추천하여 목숨을 구했으며 이후 대신으로 여러 공로를 거둬들여서 용서받게 된다.] 이후 공자 소가 왕위에 올라 제나라의 군주가 되니 그가 바로 [[제효공|제효공(齊孝公)]]이다. [각주] [[분류:제나라의 군주]][[분류:기원전 642년 사망]][[분류:중국의 살해된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