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광물]][[분류:보석]] {{{+1 孔雀石 / Malachite}}} ||||||||||||||<#FDF5E6><:>''공작석의 성질''|| ||화학식||Cu2CO3(OH)2|| ||결정계||단사정계(Monoclinic)|| ||굳기||3.5-4.0|| ||비중||3.6-4.0|| ||벽개||{2-bar,0,1}면에 완벽하고 {010}면에도 어느 정도 발달|| ||분류||탄산염 광물|| ||결정형|| 포도상, 종유상, 침상, 각주상[* 각주상으로 자라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주요 색상||녹색|| ||[[파일:external/gwydir.demon.co.uk/malachite2.jpg]]|| ||전형적인 공작석의 모습. [[나이테]] 자라듯이 성장하여 볼록볼록 자란 표면을 갖는다.|| [목차] == 결정 구조 == [[구리(원소)|구리]]가 [[양이온]]으로 들어가고, 수화 상태인 [[탄산염 광물]]. 아래 분자 구조 그림에서 파란색 커다란 이온이 구리 이온이며, 작은 갈색 이온이 탄소이다. 그들을 빨간색으로 칠한 산소가 이어주고 있으며, 탄소가 세 개의 산소와 이어진 삼각형 모양의 구조가 CO3 이온을 이룬다. 구리는 그들 사이에 위치하면서 여섯 배위수를 만들어 결정을 구축하고 있다. [[수소]](흰 색)는 구리의 여섯 배위 중 하나에 결합하게 된다. 쪼개짐은 이 수소가 들어가 빈공간이 만들어지는 곳이 약대로 작용하게 된다. 그러나 결정형에서 알 수 있듯이, 실제로 쪼개짐이 발달할 정도로 잘 자란 공작석은 자연계에서 극도로 드물다. [[파일:external/crystallography365.files.wordpress.com/malachite.png|w=584&h=266]] == 지질학적 배경 == 구리와 탄산염이 물이 풍부한 환경에서 만들어지는 것으로, 결정이 꽤 느슨함을 고려할 때 높은 압력에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님을 알 수 있다. 그리 흔한 광물은 아니며, 보통 [[구리(원소)|구리]] [[광산]]에서 2차적으로 변질 혹은 [[풍화]]될 때 자라나는 광물이다. 이 때문에 다른 탄산염 광물이나 탄산염 광물과 잘 어울리는 광물이 함께 발견되기 마련이며, 이에는 남동석(azurite), [[방해석]] 등이 포함된다. 특히 남동석의 경우 남동석이 산화하고 수분 함량이 달라진 것이 바로 공작석으로, 이 때문에 남동석과 함께 산출되는 경우가 매우 많다. 주변의 [[석회암]]이 탄산염을 공급해주는 경우가 많아서, 구리 광산과 석회암이 함께 있는 곳에서 잘 자라게 된다. == 역사 및 용도 == Malachite라는 이름은 특징적인 녹색 및 이 광물의 모양을 닮은 식물인 [[아욱]]을 의미하는 그리스어에서 비롯됐다고 하며, 예로부터 녹색 [[안료]]로 사용되었다. [[콩고민주공화국]], [[가봉]], [[잠비아]], [[나미비아]], [[프랑스]] [[리옹]] 지방, [[북아메리카]] 서남부 등지에서 주로 출토·채굴된다. 이스라엘의 팀나벨리에서는 고대부터 3000년 정도 채굴되어 왔다. 오늘날에도 장식용, 안료, 불꽃에 들어가는 금속중 하나로 쓰인다.1800년대까지는 녹색 페인트의 원료로 쓰였다. 품질이 좋은 경우에는 가공하여 [[보석]]으로 쓰이기도 한다. 표면을 잘 다듬었을 때 나타나는 특유의 녹색과 띠가 매력적이다.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위치한 [[에르미타주 박물관]]에는 이 공작석으로 만든 잔이 전시되어 있다. [[https://www.asergeev.com/pictures/archives/compress/2013/1252/20s.htm|##]] [[FIFA 월드컵 트로피]]에도 공작석이 상감되어있다. 하단부 초록색으로 된 두 개의 줄이 바로 공작석. [[파일:external/ecx.images-amazon.com/41VdnTAsTkL._UY395_.jpg]] [[엘더스크롤 시리즈]]에서는 [[레드 마운틴]]의 화산 성분이 퇴적되어 만들어진다고 한다. 이 점은 [[에보니]]와 동일[* 다만 에보니는 퇴적된 뒤 변성 작용을 한 번 겪는다.]해서 구조 상 에보니와 가장 가깝다. [[엘더스크롤 4: 오블리비언]]까지는 색이 현실의 공작석과는 매우 다르고 번쩍거리까지 하는 것이 공작석이라고 보기에는 영 보기 힘든 광물이었지만, [[엘더스크롤 5: 스카이림]]부터는 현실의 공작석과 색과 질감이 같아졌다. [[글래스]]라는 경갑 방어구 제작에 사용된다. 덤으로 공작석이 월장석보다 구하기 더 수월한 편.[* 공작석은 카인즈그로브에 가면 획득할 수 있는데 공식 스토리를 진행하다보면 갈 수 있으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