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공휴일)] [include(틀:아제르바이잔 관련 문서)] [목차] == 개요 == [[아제르바이잔]]의 공휴일은 총 18일이다. [[튀르키예]]와 마찬가지로 아제르바이잔의 공휴일은 크게 국가공휴일(Rəsmi bayramlar)과 종교공휴일(Dini bayramlar)으로 구분된다. 국가공휴일은 국가기념일, 절기를 축하/추모하는 의미로 [[그레고리력]]에 맞춰 쇠며, 종교공휴일은 [[이슬람력]]에 맞춰 쇠기 때문에 날짜가 변한다. [[2020년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전쟁]] 이후 추모의 날로써 [[9월 27일]]을, 승리의 날로써 [[11월 8일]]을 공휴일로 쇠고 있다. 또한 3.5일을 쇠는 튀르키예의 종교공휴일과는 달리 아제르바이잔에서는 2일만을 쇠며, 페르시아 설날인 [[노루즈]](Nowruz)를 공식명절로 쇠는 특징이 있다. == 한국과의 비교 == [[대한민국/법정 공휴일|대한민국의 공휴일]]과 비교했을때 공휴일 숫자가 더 많다. 심지어 [[대체 휴일 제도]]도 있다. 튀르키예와 달리 아제르바이잔에는 반공휴일같은것은 없지만 공휴일 날짜가 한국보다 많고, 심지어 2020년의 승전으로 공휴일이 이틀 더 추가되었다. [[러시아]]와 마찬가지로 공휴일이 상반기에 쏠려있다. 다만 종교공휴일이 [[이슬람력]]에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 후반기에 다수의 공휴일이 들어오는 해도 있다. 심지어 9월 27일, 11월 8일을 추가로 공휴일로 지정하면서 어느정도 균형을 이루게 되었다. == 아제르바이잔의 공휴일 목록 == === 국가공휴일 === * [[새해 첫날]](Yeni il bayramı): [[1월 1일]]과 [[1월 2일]]. 1918년, [[블라디미르 레닌]]이 구력대신 그레고리력을 채택하면서 이 날을 새해로 받아들인 이후 소련시절과 마찬가지로 아제르바이잔에서도 이 날을 축하하고 있다. 소련시절과 마찬가지로 이 날에 크리스마스 트리를 세우며 기분을 내는 사람들이 많다. 또한 아제르바이잔 내의 정교회를 믿는 사람들은 1월 7일에 성탄대축일을 지내는데 일함 알리예프 대통령의 명의로 축하메시지를 보내거나 직접 방문해서 축하하기도 한다. * 애도의 날(Ümumxalq hüzn günü): [[1월 20일]], 일명 '검은 1월(Qara Yanvar)'이라 불리우는 1990년 1월 20일에 반소항쟁을 벌이던 [[바쿠]]의 시민들을 무력진압하는 과정에서 희생된 사람들을 추모하는 날이다. 공휴일은 아니지만 2월 26일 호잘르 학살 추모기념일, 3월 31일 아제르바이잔인 대학살 추모기념일도 기념되고있다. * [[세계 여성의 날]](Beynəlxalq Qadınlar günü): [[3월 8일]], 구소련시절의 공휴일을 그대로 물려받았다. 아제르바이잔에서도 이 날은 여성들에게 사랑을 고백하는 날로 변질되어(...) 기념되고 있다. * 노브루즈(Novruz bayramı): [[3월 20일]], [[3월 21일]], 춘분즈음에 들어오는 페르시아력의 새해를 축하하는 날이다. 아무래도 시아파 무슬림이 많은 나라이기도 하고 페르시아 문화의 영향도 강하기 때문에 이 날을 공식적으로 축하하고있다. 다만 1주일씩 쉬는 이란과 달리 아제르바이잔에서는 2일만 쉰다. * 대파시스트 승리의 날(Faşizm üzərində qələbə günü): [[5월 9일]], 구소련시절의 공휴일을 그대로 물려받았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나치 독일]]에 승리한 날을 기념하며, 아제르바이잔에도 소련군으로 참전한 당시 참전용사들이 있다. * 공화국의 날(Respublika günü): [[5월 28일]], 1918년 5월 28일에 세워진 [[아제르바이잔 민주 공화국]]의 수립을 기념하는 날이다. * 국가수립의 날(Milli qurtuluş günü): [[6월 15일]], 1993년 6월 15일 [[헤이다르 알리예프]]가 아제르바이잔 최고소비에트 의장으로 선출된 것을 기념하여 1997년부터 이 날을 국경일로 기념하고있다. * 아제르바이잔 공화국 국군의 날(Azərbaycan Respublikası Silahlı Qüvvələri günü): [[6월 26일]], 1918년 6월 26일, 아제르바이잔 민주 공화국에 의해 국군이 창군된 것을 기념하는 날이다. * 추모의 날(Anım Günü): [[9월 27일]], [[2020년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전쟁]]의 발발일이며, 전쟁에서 희생된 이들을 추모하는 날이다. 2021년 9월 27일에 첫 공휴일 행사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 승리의 날(Zəfər Günü): [[11월 8일]], 2020년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전쟁에서 정점을 찍은 슈샤의 탈환을 기념하기 위해 제정되었다. 사실 11월 10일이 종전일이지만 공교롭게도 이 날은 튀르키예의 국부인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의 서거일이라 옮긴듯하다. * 국기의 날(Dövlət Bayrağı Günü): [[11월 9일]], 1918년 11월 9일, 아제르바이잔 민주 공화국의 국기가 제정된 것을 기념하는 날이다. 위의 승리의 날과 연달아 옴에 따라 이틀짜리 연휴가 되어버렸다. * 세계 아제르바이잔인 연대의 날(Dünya azərbaycanlılarının həmrəyliyi günü): [[12월 31일]], 1991년 아제르바이잔 최고소비에트의 결의에 따라 제정된 공휴일이다. 사실 연말이기도 하고 다음날과 다다음날인 새해연휴와 겹치면서 3일짜리 연휴가 되어 아제르바이잔인들에게는 술이 꽐라가 될때까지 취하는 날(...)로 더 유명하다. 주말까지 끼면 운좋으면 5일짜리 연휴도 될 수 있다. === 종교공휴일 === * [[라마단]] 축일(Ramazan bayramı): 본래 아제르바이잔에서는 종교축일을 공휴일로 기념하지 않았으나 1993년부터 2일짜리 연휴로 쉬게 되었다. 라마단금식을 끝내고 성공적으로 금식을 마친것을 축하하는 날이며 특히 어린이들에게는 튀르키예와 마찬가지로 새뱃돈 모으는 날이기도 하다. * 희생절(Qurban Bayramı): 라마단 금식 종료 이후 오는 명절로 역시 1993년부터 2일짜리 연휴로 쉬고있다. 튀르키예와 마찬가지로 가정 형편이 되는 사람들은 이때 소나 양을 잡으며, 동네 이웃들, 친척들과 함께 나눈다. 한국의 추석, 설날과 마찬가지로 이 두 종교공휴일에는 민족대이동도 일어난다. 다만 이틀짜리 연휴이기 때문에 가족여행을 가거나 할때는 이 날이 아닌 12월 말이나 노브루즈 연휴를 노리는 사람들이 더 많다. [[분류:아제르바이잔의 문화]][[분류:공휴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