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white 포켓몬 도감 나열 순서}}} || || [[파일:icon1018_f00_s0.png|width=40]] 1018 [[브리두라스]] || [[파일:icon1019_f00_s0.png|width=40]] '''1019 과미드라''' || [[파일:icon1020_f00_s0.png|width=40]] 1020 [[꿰뚫는화염]] || ||<-3> {{{#white 지역 도감 나열 순서}}} || ||<^|1><-3>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3>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9세대|{{{#white 팔데아도감}}}]] || ||<-3>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9세대#블루베리도감(DLC)|블루베리]] || || [[파일:icon1018_f00_s0.png|width=40]] 162 [[브리두라스]] || [[파일:icon1019_f00_s0.png|width=40]] '''163 과미드라''' || [[파일:icon0001_f00_s0.png|width=40]] 164 [[이상해씨]] || }}}}}}}}} || || '''{{{+1 {{{#white 정보 내 바로가기}}}}}}''' || || [[#앵커-일러스트|일러스트]][br][[#앵커-기본 정보|기본 정보]][br][[#앵커-특성|특성]][br][[#앵커-세부 정보|세부 정보]][br][[#앵커-유전 정보|유전 정보]][br][[#앵커-진화|진화]][br][[#앵커-방어 상성|방어 상성]][br][[#앵커-종족치|종족치]][br][[#앵커-울음소리|울음소리]][br][[#앵커-도감 설명|도감 설명]][br][[#앵커-전용기|전용기]][br][[#s-2|skip]] || [목차] [clearfix] == 정보 == [anchor(앵커-일러스트)] || [[파일:1019 과미드라.png|width=50%]] || || 과미드라 || [anchor(앵커-기본 정보)] ||<-3> {{{#white 기본 정보}}} || || 이름 || 도감 번호 || [[포켓몬스터/타입|{{{#white 타입}}}]] || || [[파일:icon1019_f00_s0.png|width=50]] '''과미드라''' [br] カミツオロチ(카미츠오로치) [br] Hydrapple || 전국: 1019[br]팔데아: 163^^블루베리^^ || [include(틀:풀타입)][br][include(틀:드래곤타입)] || [anchor(앵커-특성)] ||<-2> [[포켓몬스터/특성|{{{#white 특성}}}]][br]{{{#white (숨겨진 특성은 *)}}} || || [[포켓몬스터/특성/ㄱ#감미로운꿀|감미로운꿀]] ||전투중 1번만 등장시 상대의 회피율을 1랭크 낮춘다. || || [[포켓몬스터/특성/ㅈ#재생력|재생력]] || 볼에 들어가면 전체 HP의 1/3만큼 체력을 회복한다. || || *[[포켓몬스터/특성/ㅈ#점착|점착]] ||들고 있는 도구를 빼앗기지 않는다. || [anchor(앵커-세부 정보)] ||<-5> {{{#white 세부 정보}}} || || 포켓몬 || 분류 || 신장 || 체중 || 포획률 || || 1019 과미드라 || 사과이무기포켓몬 ||1.8m ||93.0㎏ ||10 || [anchor(앵커-유전 정보)] ||<-4> {{{#white 유전 정보}}} || || 성비 || 알 그룹 || 부화 카운트 || 최대 경험치량 || || || 식물, 드래곤 || || || [anchor(앵커-진화)] ||<-6> [[포켓몬스터/진화|{{{#FFFFFF 진화}}}]] || ||<#66a945><|3> {{{#FFFFFF 진화}}} ||<|3> [[파일:applin.gif]][br]0840 [[과사삭벌레]] || [[파일:새콤한사과(SV).png|width=24]][br]새콤한사과 사용[br]→ ||<-3> [[파일:flapple.gif]][br]0841 [[애프룡]] || || [[파일:달콤한사과(SV).png|width=24]][br]달콤한사과 사용[br]→ ||<-3> [[파일:appletun.gif]][br]0842 [[단지래플]] || || [[파일:꿀맛사과.png|width=24]][br]꿀맛사과 사용[br]→ || [br]1011 [[과미르]] || [[드래곤옐]]을 배우고 레벨 업[br]→ || 1019 과미드라 || [anchor(앵커-방어 상성)] ||<-6> {{{#white 방어 상성(특성 미적용)}}} || || 4배 || 2배 || 1배 || 0.5배 || 0.25배 || || [include(틀:얼음타입)] || [include(틀:독타입)] [include(틀:비행타입)] [include(틀:벌레타입)] [include(틀:드래곤타입)] [include(틀:페어리타입)] || [include(틀:노말타입)] [include(틀:불꽃타입)] [include(틀:격투타입)] [include(틀:에스퍼타입)] [include(틀:바위타입)] [include(틀:고스트타입)] [include(틀:악타입)] [include(틀:강철타입)] || [include(틀:땅타입)] || [include(틀:물타입)] [include(틀:전기타입)] [include(틀:풀타입)] || [anchor(앵커-종족치)] ||<-8> [[종족치|{{{#white 종족치}}}]] || || 포켓몬 || HP || 공격 || 방어 || 특수공격 || 특수방어 || 스피드 || 합계 || || [[파일:icon1019_f00_s0.png|width=50]] 과미드라 || 106 || 80 || 110 || 120 || 80 || 44 || 540 || [anchor(앵커-울음소리)] ||<-2> [[울음소리(포켓몬스터)|{{{#FFFFFF 울음소리}}}]] || ||<-2> [[파일:icon1019_f00_s0.png|width=50]][br]{{{#FFFFFF 과미드라}}} || ||<#ffffff,#000000><-2><:>{{{#!HTML}}}|| [anchor(앵커-도감 설명)] ||<-2> {{{#white 도감 설명[br]스크롤 압박이 있습니다. 도감 설명을 넘기고 싶으시면 [[포켓몬이름#앵커-도감설명 스킵|{{{#white skip}}}]]을 눌러주세요.}}} || ||<-2> [[파일:icon1019_f00_s0.png|width=50]][br]{{{#white 1019 과미드라}}} || || 스칼렛 || 버전별 도감 설명 || || 바이올렛 ||변덕이 심한 미드라들의 집합. 드물게 마음이 맞으면 본래의 힘을 발휘한다. || ||<-2> [anchor(앵커-도감설명 스킵)] || [anchor(앵커-전용기)] || {{{#white 전용기}}} || || [[변덕레이저]] || == 개요 ==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의 확장팩인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제로의 비보|제로의 비보]] <남청의 원반>에서 추가된 [[과미르]]의 진화형. 모티브는 기존의 과미르에서 [[히드라]](구두룡)가 추가된 듯한 모습을 하고 있으며, 이에 걸맞게 이름의 유래 역시 과미르와 히드라를 합친 이름으로 되어 있다. 일본명인 카미츠오로치(カミツオロチ)역시 과미르의 일칭인 카밋츄와 히드라와 비슷한 특징을 가진 일본의 상상의 동물 [[야마타노오로치]]를 합친 명칭이며, 영칭인 히드래플(Hydrapple) 또한 히드라와 사과의 영문인 애플을 합친 간결한 명칭. == 포획 및 스토리 == [[과미르]]까지의 진화 과정은 [[과미르]] 문서 참조. 과미르에게 [[드래곤옐]]을 배우게 하고 레벨업하면 진화한다. 자력으론 못 배우지만, 남청의 원반 스토리를 진행하면 [[제빈]]이 기술머신을 주므로 이 기술머신으로 습득시켜 진화시키면 된다. == 대전 == 진화 전과 동일하게 타입은 풀/드래곤. 좋은 타입은 아니지만 종족값이 540으로 높으며, 분배도 나름 괜찮은 편이다. 종족값은 과미르에서 공격과 양 내구는 그대로 유지되고 체력이 106으로 크게 증가했으며, 특수공격도 120으로 역시 크게 증가했고 스피드는 44로 소폭 상승했다. 4 오른게 의미가 있나 싶지만, 45의 딩루 상대로 조정에 따라선--딩루를 최속 보정하는 미친 놈을 만나는 거 아닌 이상-- 추월하여 기가드레인 같은 기술을 이용해 눌러 앉으면서 경우에 따라선 엉겨붙기로 가둬버린 다음 두들겨 팰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딩루가 땅가르기도 배우기에 땅가르기가 없는 딩루를 전제로 하는 전략이라 약간 입포케이긴 하다. 아무튼 체력이 106이 됨에 따라 양 내구가 57250/44038로 나름 괜찮아졌다. 다만 풀/드래곤이라는 타입은 약점이 많기에 체감 내구는 상당히 낮을 것이다. 특성은 기존의 감미로운꿀과 숨특인 점착이 유지되었고, 먹보가 재생력으로 바뀌었다. 전용기로 변덕레이저라는 기술을 받았는데, '''일정 확률로 아무런 디메리트 없이 위력 2배라는 어처구니 없는 효과를 들고 나왔다.''' 일단 기술 설명란에 가끔이라고 적혀 있는 걸로 보아 확률은 아무리 못해도 30% 아래로 추정된다. 변덕레이저는 위력 80에 명중률이 100으로 사실상 용의파동의 상위호환이고, 부가효과가 발동하면 용성군의 상위호환이 된다. 풀보정 과미드라의 부가효과가 발동한 변덕레이저의 결정력은 45360이다. 기술폭은 넓은 건 아니지만 필요한 정도는 배우는 편. 공격기로 전용기 변덕레이저를 필두로 과미르 시절 전용기였던 시럽봄, 기술머신으로 리프스톰, 대지의힘, 하이드로펌프, 기가드레인을 배울 수 있다. 넓지는 않지만 4칸 채우기에는 부족하진 않다. 변화기로는 나쁜음모를 배우기에 화력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떠올리기 기술로 하품이 추가되었고 자력기에는 HP회복이 추가되었다. 아쉽게도 과미르 시절 갖고 있던 문제점인 저리가루나 수면가루, 씨뿌리기 등의 좋은 풀 타입 변화기를 여전히 배울 수 없다. 여러모로 종족값 분배도 그렇고 특성, 기술폭도 그렇고 전체적으로 딜탱으로 쓰기 적합한 포켓몬이다. 운이 따라준다면 변덕레이저의 부가효과 발동으로 상대에게 깜짝 딜을 줄 수 있으며, 하품으로 기점도 잡을 수 있다. 특성인 감미로운꿀로 아군 포켓몬의 기술 명중률을 보조할 수 있으며, 시럽봄으로 스피드 컨트롤도 가능하다. 재생력 특성은 말할 필요도 없이 이런 딜탱 운영에 좋은 특성. 아니면 만만한 상대를 엉겨붙기로 붙잡은 다음 나쁜음모로 특공을 올리는 전법도 가능하지만, 스피드가 느려서 실전성은 좀 떨어진다. 문제는 서술했듯 그놈의 저주받은 풀/드래곤 타입과 여전히 씨뿌리기 같은 풀 타입 변화기를 못 배운다는 것. 나쁜 건 아니지만, 여러모로 단점이 치명적이라서 사용자의 컨트롤 여부가 중요한 포켓몬이라 할 수 있다.--변덕레이저를 채용했다면 운도 따라줘야 한다.-- == 다른 매체에서의 모습 == == 기타 == * 정식 진화체가 분기 진화 중 특정 루트에 한 번 더 생긴 최초의 포켓몬이다. * 역대 풀 타입 포켓몬들 중 최초의 '540족' 포켓몬이다. 아무래도 전 진화형의 종족값부터가 485라 이렇게 높게 줘야 했던 듯 해 보인다. * [[카지(포켓몬스터)|카지]]가 메인 포켓몬으로 격투 테라스탈타입의 과미드라를 사용한다. [[분류:9세대 포켓몬]][[분류:풀타입 포켓몬]][[분류:드래곤타입 포켓몬]][[분류:두 종류 이상 진화하는 포켓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