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수 반란 지도자)] ---- ||<-2> '''{{{#fff 수나라의 반란자}}}[br] {{{+1 盧公 | 노공}}}''' || || '''묘호''' ||없음 || || '''시호''' ||없음 || || '''존호''' ||노공(盧公) || || '''성씨''' ||곽(郭) || || '''휘''' ||방예(方預) || || '''부모''' ||아버지 곽씨(郭氏) || || '''생몰''' ||? ~ 613년 3월 26일 || || '''재위''' ||613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郭方預 생몰년도 미상 [[수나라]] 말기의 군웅. 북해 사람으로 613년에 노공을 자칭해 3만의 무리를 모았는데, 곽방예 뿐만 아니라 [[왕박]], [[장금칭]], [[학효덕]], 격겸, [[손선아]] 등도 무리를 모아 왕이나 공을 자칭하고 수나라의 여러 곳을 공격해 약탈했다. 3월 26일에 진군홍 등 여러 사람들과 군사들을 연합해 북해를 공격해 함락시키고 크게 노략질해 물러갔으며, 장수타가 이들은 강함을 믿고 구원을 할 수 없다고 생각해 빨리 가면 토벌할 수 있을 것이라 여겼다. 장수타가 정예의 군사를 선발해 이틀에 갈 길을 하루에 가는 등 배의 속도로 나아가 공격하자 곽방예 등을 포함한 연합한 무리들이 격파당해 수만 명이 참수되었다. == 창작물에서 == 드라마 [[연개소문(드라마)|연개소문]]에서는 왕박의 산채에서 왕박이 [[이밀#s-2|이밀]]에게 산채의 두령들을 소개하면서 장금칭, 학효덕, 손선아, [[적양]], [[이세적]], [[선웅신]] 등과 함께 이밀에게 인사하는 것으로 나온다. [[분류:수당시대/인물]][[분류:613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