郭石 생몰년도 미상 [목차] == 개요 == [[후한]] 말의 인물. == 생애 == 187년에 [[구성(삼국지)|구성]]이 반란을 일으켰을 때 [[주조(삼국지)|주조]], 소마와 함께 장사, 영릉, 계양에서 반란을 일으켰으며, 군을 넘어 의춘현을 공격했으나 [[손견]]에게 격파되어 그 공으로 손견은 오정후가 된다. 이 때 오록에 따르면 의춘현의 현장으로 있던 여강태수 [[육강]]의 조카가 공격당하자 [[손견]]한테 구원을 요청했고 손견이 이를 >태수(자신을 지칭)는 문덕(文德)이 없어 정벌을 공으로 삼는데, 경계를 넘어 공격해 토벌하여 다른 나라를 보전하오. 이 때문에 죄를 짓는다면, 얼마나 해내에 부끄러운 일이겠소? 라며 그들을 격퇴한다고 한다. == 미디어 믹스 == === [[코에이]] [[삼국지 시리즈]] === ||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093.jpg|width=400]] || || 삼국지 12, 13, 14 || [[삼국지 8]]에서 처음으로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12]] PK에서 오랫만에 복귀했는데 보통 [[구성(삼국지)|구성]]이 군주로 나오고 [[주조(삼국지)|주조]]와 곽석 본인은 부하로 나온다. [[삼국지 11]]에서는 구성 밖에 없어서 혼자 쓸쓸하게 군주 역할을 했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오른손으로 창을 짚은 채 왼손으로 주먹을 쥐면서 가슴에 올리고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59/71/48/42. 특기는 일기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일기이고 전법은 기속약화.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58, 무력 62, 지력 43, 정치 32, 매력 40으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1, 무력이 9, 지력이 5, 정치력이 10 하락했다. 개성은 저돌, 적도, PK에서는 난폭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아도, 정책은 침략황폐 Lv 2, 진형은 봉시, 전법은 화시, 친애무장은 [[구성(삼국지)|구성]], [[주조(삼국지)|주조]], 혐오무장은 없다. === [[진삼국무쌍 시리즈]] === [[진삼국무쌍 4]] 맹장전에서 외전 모드의 시나리오인 187년의 구성 토벌전에서 클론 무장으로 나오는데, 북동쪽에 있는 진채 안에서 말을 타고 있다. 주조를 격파하면 손견이 [[손책]]에게 지름길을 맡긴다면서 북쪽과 남쪽의 두 지름길이 표시된다. 그 북쪽의 지름길인 북동쪽의 진채에 손책이 접근하면 "흥, 어린 것이 상대라서야, 긴장감이 없잖아."라는 대사를 하는데, 손견이 실력을 보이겠다는 투의 대사를 하고 서둘러 곽석을 격파해 자신의 힘을 보이라는 메시지가 뜬다. 손책에게 격파되면 "새, 새파란 것에게 당하다니!"라는 대사를 하면서 손견이 이 쪽이야말로 오히려 긴장감이 없다고 했으며, 이에 손견이 손책을 칭찬한다. 진 난무서를 얻는 조건에 구성 토벌전에서 시작시 5분 안에 구성을 제외한 모든 무장을 쓰러뜨려야 하기 때문에 이 조건에 해당되는 무장 중 1명에 해당된다. [[진삼국무쌍 6]]에서도 구성의 난에서 등장하며, 북쪽에 있는 성 바깥의 서쪽에 위치하고 있다. === [[이문열 평역 삼국지]] === 손견이 구성을 토벌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이웃 군에서 구성과 내통해 주조와 함께 난리를 꾀한 무리라고 나와 손견이 이들을 뿌리뽑아 장사에 이웃한 세 군이 조용해졌다고 나온다. [각주] [[분류:후한의 인물]][[분류:몰년 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