毌丘甸 (?~255) [목차] == 개요 == [[삼국시대(중국)|삼국시대]] 위나라의 인물이며 자는 자방(子邦)으로 [[관구검]]의 장남으로 사마사에게는 궐(屈)이라고 불린다. == [[삼국지(정사)|정사 삼국지 ]] == 경도에서 명성이 있었는데, 치서시어사로 있으면서 253년에 [[조방]]이 폐위되자 아버지 관구검에게 거병을 재촉하는 서신을 보낸다. >대인께서 방옥의 중임[* 진동장군으로 한 방면을 맡아 도독하는 임무를 비유한다.]을 맡고 있으니 나라가 기울어지고 무너지는데, 편안히 스스로 지키고만 있으면 장차 사해의 책망을 받게 될 것입니다. 관구검이 그 서신에 응하는 움직임을 보이자 일이 일어나기 전에 관구검의 계획이 행동으로 옮겨질 것을 알고, 사사로이 수도를 나와 가속을 이끌고 신안의 영산으로 달아났다. [[사마사]]는 관구전과 관구검이 따로 있다는 것을 알자 "관구검은 아무 것도 할 수 없을 것이다."라고 했고 따로 군대를 파견하면서 신안 영산을 공격해 관구검의 삼족을 멸하게 한다. 아내 순씨도 참형당할뻔 했지만 사마씨 정권에서 요직을 담당하고 있던 순의의 친족인 관계로 관구전과 이혼하는 형식으로 겨우 목숨을 건졌고 딸 [[관구지]]는 이미 유자원에게 시집간 상태였기에 하증의 요청으로 출가한 딸은 친정의 죄에 얽매이지 않는다는 식으로 법령을 개정하여 참형을 면하였다. == [[삼국지연의]] == 서신이 아니라 직접 관구검에게 "아버지께서는 한 지방의 군사와 정사를 도맡으신 방백으로 사마사가 권력을 독단하면서 임금을 폐하고 다시 세워 나라는 달걀을 쌓아올릴 듯 위험한데, 어찌 스스로 혼자만 편안히 지키려 하십니까?"라고 말해 거병할 것을 권했다. == 미디어 믹스 == || [[파일:external/kongming.net/292-Guanqiu-Dian.jpg]] || || 삼국지 9, 10, 11 || ||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154.jpg|width=400]] || || 삼국지 13, 14 || [[삼국지 시리즈]]에도 등장하며 불쌍한 얼굴을 하고 있다. 능력치도 그저 그렇다. 관구검이 독립해서 군주로 나올때나 쓸 장수가 없으니 할 수 없이 쓸 정도. 그래도 후기 장수들 중에서는 만능형 구색을 맞추고 있는 장수라서 나쁘지 않게 쓸 수 있다. 숙부 [[관구수]]와 마찬가지로 [[삼국지 9]]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64/51/72/75의 문관형 능력치. 관구검보다 지력이 훨씬 좋다. 기사, 제사, 고무를 가지고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63/58/68/70/58에 특기는 치안, 반목 2개 뿐. [[삼국지 12]]에서는 짤렸다가 [[삼국지 13]]에서 복귀했는데 능력치는 63/60/69/70. 특기는 농업과 순찰을 각각 1씩 보유했다. 전수특기는 농업이며 전법은 궁공강화. 일러스트는 연의에서 두 손을 주먹쥐고 올리면서 부친 관구검에게 거병할 것을 권유하고 있는 모습이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2, 무력 58, 지력 68, 정치 70, 매력 61로 전작에 비해 통솔력과 지력이 각각 1, 무력이 2 하락했다. 개성은 운반, 주의는 할거, 정책은 어린강화 Lv 3, 진형은 어린, 전법은 격려, 업화, 친애무장은 없고 혐오무장은 [[사마사]]다. [[분류:조위의 인물]][[분류:255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