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우)] [[파일:관림 중국 `.jpg|width=880]] 관림 입구 [[파일:관림 중국 1.jpg|width=880]] 중심 건물인 임각 [[파일:중국 관우 3.jpg|width=880]] [[후한]] 말엽에 조성된 관우의 봉분 == 개요 == [[간체자]] {{{+1 关林 }}} (관린) [[번체자]] {{{+1 關林 }}} [[영어]] Guanlin [[촉한]]의 장수이자 후일 신격화된 [[관우]][* 시호는 충의신무영우인용위현관성대제(忠義神武靈祐仁勇威顯關聖大帝)]의 머리가 묻힌 무덤으로[* 몸체는 [[이창]] 당양시의 관우묘에 매장되었다고 한다], 관림사로도 불린다. 본래 관우 사후 그를 존경하던 [[조조]]가 그 수급에 향나무 몸체를 더하여 매장했던 무덤과 작은 사당만이 있었는데, [[원나라]]를 거치며 [[삼국지]]가 널리 읽히게 되고 관우에 대한 신격화가 본격화되자 [[명나라]] 대인 [[만력제]] 연간 (1592년) 현재와 같은 거대한 묘로 조성되었다. [[문화대혁명]] 때에 관우는 부관참시 되어 관이 옆의 나무에 걸리는 피해를 입었다가 복원되었다. 관우가 죽은 날로 알려진 매달 3일이면 관림 앞에서 큰 장이 선다. 1980년대 낙양 고미술 박물관으로 활용되었다가. 명대 건축을 고스란히 유지하고 있는 점을 인정받아 2001년 AAAA급 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에 지정되었다. 매일 표값은 40위안 (학생은 20위안)이다. == 갤러리 == [[파일:관림 중국 2.jpg|width=800]] [[파일:관우 중국.jpg|width=800]] [[파일:중국 관우 1.jpg|width=800]] [[파일:관우 중국 2.jpg|width=800]] [[파일:관림 중국.jpg|width=800]] [[분류:삼국시대(중국)]][[분류:중국의 문화재]][[분류: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분류:뤄양시]][[분류:사당]][[분류:관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