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구광역시의 시내버스 회사)] ||<-2> {{{#ffffff '''{{{+1 주식회사 관음교통}}}'''[br]觀音交通}}} || || '''{{{#ffffff 업종명}}}''' ||운수업 || || '''{{{#ffffff 설립일}}}''' ||1979년 12월 11일 || || '''{{{#ffffff 대표}}}''' ||안준석 || || '''{{{#ffffff 위치}}}''' ||대구광역시 동구 둔산로40길 18 (방촌동, [[방촌공영차고지]]) || || '''{{{#ffffff 전화번호}}}''' ||053-982-9000 || || '''{{{#ffffff 차량번호}}}''' ||대구 70 자 34xx || || '''{{{#ffffff 면허대수}}}''' ||정규 45대, 예비 2대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구광역시]]의 [[버스 회사]]로, [[대구광역시]] [[동구(대구광역시)|동구]] 둔산로40길 18(방촌동 27-16) [[방촌공영차고지]]에 있다.[* [[북구(대구광역시)|북구]]관음동에 있을만한 회사이나 실제로 정 반대로이며 [[대구 버스 719|719번]]이 운행하여 관음동공영차고지까지 들어가게 되었다.] == 상세 == 1979년 12월 11일 [[시내버스]] 운송 면허를 취득하여 [[경상북도]] 대구시 [[동구(대구광역시)|동구]] 방촌동에서 설립되었다. [[대구 버스 동구3|동구3번]] 신둔산([[대구 공군기지]] 관사)/구둔산행이 지나가는 부동농협과 구둔산입구 사이에 차고지가 있으며, [[방촌역]][* [[대구 버스 719|719번]] 기사 교대 장소다.]에서는 2.2km 떨어져 있다.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노선 중 유일하게 '''군사보호시설''' 구내로 들어가는 노선을 보유하고 있다. [[대구 버스 동구3|동구3번]] [[대구 공군기지]] 관사행 한정이며, 2003년 5월 16일부터 신둔산행의 연장으로 운행 중이다. 관사 입구에 도착하면, 초병들이 차량으로 들어와서 검문한다. '''따라서 관사 출입증이 없는 민간인들은, 관사 입구에서 무조건 하차해야 한다.'''[* 물론 해당 기사들은 사전에 고정 출입자로 군부대에서 신분조회가 되어 있다. 하지만 한 술 더 떠서 [[파주시]]의 [[파주 버스 93|93번]]은 [[군사분계선|휴전선]]과 인접한 동네로 가는 노선이라 아예 신분조회는 물론이고 기사들이 특수교육을 이수한 후 투입한다.] [[2015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2015년 8월 개편]] 전까지는 [[경북대학교|경북대]]북문, 하양, 시내 구간을 운행했으나 [[대구 버스 급행5|508번]]에서 철수하고 106번이 [[대구 버스 306|306번]]으로 변경되면서, [[대구 버스 425|425번]]을 제외한 이 회사의 노선들은 경대북문 일대를 융단폭격하고 있다. 이유는 [[대구 버스 동구3|동구3번]]이 경대북문을 경유하여 검단동에서 가스를 충전하기 때문이며, 밤 9시 이후에는 칠성고가와 검단동을 오고가는 [[대구 버스 동구3|동구3번]] 차량들을 경대북문에서 항상 볼 수 있다. 회사 규모에 비해 진출한 권역이 넓다. 0권역부터 9권역까지 모든 권역에서 이 회사 소속 버스를 볼 수 있고, 3개밖에 안 되는 간선버스 번호 중에 '8'을 제외한 모든 숫자를 노선번호로 보유하고 있다. 심지어, 8권역은 719번으로 다니고 있다. == 차량 == 1979년 설립 이후 한동안 [[자일대우버스|대우버스]]만 있었으나[* [[광남자동차]], [[한일운수(대구)|한일운수]]와 더불어 대구에서 드물게 당시 고급형 옵션인 슬라이딩형 중문 차량을 [[자일대우버스 BF|BF101]]에다가 적용하고 운용하기도 했으며, [[우성교통|극동버스]]와 더불어 대구 시내버스로 [[자일대우버스 BV|BV101]]을 굴린 회사이기도 하다.], 1988년 3월에 [[현대 RB버스|현대 RB520]] 2대를 출고했고 1995년 3월부터 본격적으로 [[현대 에어로시티|에어로시티]]를 꾸준히 구매하기 시작한 경력이 있다. 그 외에는 대우차를 좀더 많이 출고했으나 2008년 이후에는 현대차만 구매하고 있다. 그리고 2018년 9월에 BS106 예비차량이 대차되어 현대 원메이크 회사가 됐다. [[저상버스]]는 모두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차]]를 이용한다. 2000년 11월에 대구광역시 최초로 슈퍼에어로시티 천연가스버스 최초로 출고했었던 회사이다. 경영난에 빠진 [[대현교통]]에서 일부 차량을 인수하여 현재의 규모에 이르고 있으며, 이 때 대현교통 유일의 [[자일대우버스 BS#s-3.2|BS106]] 좌석형을 빼왔다.[* 2001년 이전의 이야기. 2001년 6월 [[대현교통]]의 청산 때에는 [[우일교통]], [[동광버스]], [[대명교통]], [[우주교통]]이 차량을 인수했다.] [[대구광역시]]에서 마지막으로 좌석버스 초기 도색(1988년에 도입한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개편전 좌석버스 도색과 패턴이 비슷한 상아색 바탕의 파란색 날개 무늬 도색)을 운행했던 것으로 유명하다.[* [[대구광역시]]에서 마지막으로 입석버스 구구도색(상아색 바탕에다가 녹색 무늬)을 출고한 곳은 [[세왕교통]]이다. 관음교통의 좌석버스 초기 도색과는 달리 2000년에 신도색으로 재도색하고 2005년까지 굴렸다.] 당시 차종은 구.[[대현교통]] 폐업 전에 넘어온 1995년식 후반형 BS106 좌석형으로, 좌석버스 초기도색 BS106 중에서는 유일하게 1995년 후반 이후의 각진 앞문을 적용하고 2004년까지 운행했다.[* 구매 당시에는 [[대현교통]] 유일의 [[자일대우버스 BS#s-3.2|BS106]]이었는데, 경영난으로 관음교통에 일부 차량들을 매각하면서 관음교통으로 넘어갔다. 2001년 폐업 직전에 대현교통은 입석형 로얄시티 디젤 인터쿨러 2대를 사 갔긴 했지만... 결국 대현교통은 [[천연가스버스]] 한 대도 못 뽑고 2001년 6월에 완전히 청산했다. 청산 후 대현교통 [[범물동|범물1동]] 본사 자리에는 [[달성군]] [[가창면]] 용계리에 있었던 [[우일교통]]이 들어왔다가, 우일교통이 2002년 하반기에 [[세진교통]]과 합병하여 [[경산시]] 대평동으로 이전한 후에는 [[해피투게더 현대교통|현대교통]]이 파동에서 범물1동으로 이전하여 2017년까지 이용했다.] [[세운버스]]와 더불어 [[대구광역시 시내버스|대구]]의 양대 [[앨리슨 트랜스미션|앨리슨]]빠 회사다. 대구에서 마지막으로 남은 맨뒷자리 제외 전부 1인시트인 차량을 306번에 굴리고 있었다. [[달구벌버스]]와 [[신일여객(대구)|신일여객]] 이후 3번째로 숏기어를 채택했다. 해당 차량은 [[대구 버스 719|719번]]에 투입되었다. [[대구 버스 달서5|달서5번]]에 투입했던 [[남도버스]] 현대 저상 1대가 2023년 7월 하순 현대 개선형 저상으로 대차되면서 대구에서 마지막 1대 남은 2011년식을 굴리는 업체가 됐다. 현대 입석버스를 예비로 굴리고 있다. 2023년 방촌공영차고지에 전기 충전소를 설치해 719번에 [[전기버스]]를 2대 도입할 예정이다. == 운행 노선 == ||노선 번호 || 인가대수 || 저상버스 || 공동배차하는 회사 || || '''[[대구 버스 306|306번]]''' || 19대 || 9대 || - || || '''[[대구 버스 425|425번]]''' || 12대 || 2대 || [[신흥버스]] || || '''[[대구 버스 719|719번]]''' || 10대 || 2대 || [[경상버스]] || || [[대구 버스 동구3|동구3번]] || 4대 || '''전 차량''' || - || ||<-2> 정규 차량 ||<-2> 45대 || ||<-2> 예비 차량 ||<-2> 2대 || ||<-2> 총 ||<-2> 47대 || [[분류:버스 회사]][[분류:대구광역시의 시내버스 회사]][[분류:1979년 설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