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절의 건물)] {{{+1 觀音殿}}} [목차] == 개요 == [[절(불교)|절]]에서 [[관세음보살]]을 본존불로 모시는 [[법당]]. 본당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원통전(圓通殿) 혹은 격을 높여 원통보전(圓通寶殿)이라고도 하는데 관세음보살이 주원융통(周圓融通)하게 중생의 고뇌를 씻어주는 분이라는 뜻에서 붙은 이름이다.이외에도 관세음보살이 거한다는 보타락가산에서 따온 보타전(菩陀殿), 대비전(大悲殿) 등으로 불린다. 우리나라에서 보살을 모신 당우로 관음전이 많이 세워진 까닭은, 관음이 모든 환란을 구제하는 보살일 뿐 아니라 그의 서원이 철두철미하게 중생의 안락과 이익에 있고, 불가사의한 인연과 신력(神力)으로 중생을 돕기 때문이다. == 상세 == 관음전 내에는 왼손에 연꽃이나 감로병을 들고 연화좌 위에 앉은 관음상을 안치하는 것이 일반적인 통례이나, 버들가지를 들고 있는 양류관음(楊柳觀音), 보관 위에 11개의 다른 모습을 가진 십일면관음, 그 밖에 해수관음(海水觀音)·백의관음(白衣觀音)·용두관음(龍頭觀音)·천수관음(千手觀音) 등을 모시기도 한다. 후불탱화(後佛幀畵)로는 양류관음도·백의관음도·천수천안관세음보살도(千手千眼觀世音菩薩圖) 등, 봉안된 관음상의 유형에 따라 봉안하게 된다.또, 관세음보살의 협시(脇侍)가 되고 있는 남순동자(南詢童子)와 해상용왕(海上龍王)은 조각상으로 봉안하기가 어려우므로 거의가 후불탱화에만 나타나고 있다. == 목록 == ※ 본당인 경우 볼드체 * [[안동 개목사 원통전|개목사 원통전]] ([[대한민국의 보물|보물]] 제242호) * [[금산사]] 원통전 * '''[[낙산사]] 원통보전, 보타전''' * [[범어사]] 관음전 * [[법주사]] 원통보전 ([[대한민국의 보물|보물]] 제916호) * [[통도사]] 관음전 [[분류: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