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광동어)] [목차] == 성모 == 성모는 초성과 같다. 광동어에는 19개의 성모가 존재한다. ||<-2><|2> ||<|2> '''[[양순음]]''' ||<|2> '''[[순치음]]''' ||<|2> '''[[치경음]]''' ||<|2> '''[[경구개음]]''' ||<-2> '''[[연구개음]]''' ||<|2> '''[[성문음]]''' || || '''{{{#fbf919,#e6e403 평음}}}''' || '''{{{#fbf919,#e6e403 원순음}}}''' || ||<-2> '''[[비음]]''' || m [m] || || n [n] || || ng [ŋ] || || || ||<|2> '''[[파열음]]''' || '''[[무기음]]''' || b [p] || || d [t] || || g [k] || gw [kʷ] || || || '''[[유기음]]''' || p [pʰ] || || t [tʰ] || || k [kʰ] || kw [kʷʰ] || || ||<|2> '''[[파찰음]]''' || '''[[무기음]]''' || || || z [t͡s] || || || || || || '''[[유기음]]''' || || || c [t͡sʰ] || || || || || ||<-2> '''[[마찰음]]''' || || f [f] || s [s] || || || || h [h] || ||<-2> '''[[접근음]]''' || || || l [l] || j [j] || || w [w] || || == 운모 == === 모음 일람 === ||<|3> ||<-4> '''{{{#fbf919,#e6e403 전설}}}''' ||<-2><|2> '''{{{#fbf919,#e6e403 중설}}}''' ||<-2><|2> '''{{{#fbf919,#e6e403 후설}}}''' || ||<-2> '''{{{#fbf919,#e6e403 비원순}}}''' ||<-2> '''{{{#fbf919,#e6e403 원순}}}''' || || '''{{{#fbf919,#e6e403 단}}}''' || '''{{{#fbf919,#e6e403 장}}}''' || '''{{{#fbf919,#e6e403 단}}}''' || '''{{{#fbf919,#e6e403 장}}}''' || '''{{{#fbf919,#e6e403 단}}}''' || '''{{{#fbf919,#e6e403 장}}}''' || '''{{{#fbf919,#e6e403 단}}}''' || '''{{{#fbf919,#e6e403 장}}}''' || || '''[[고모음]]''' || i [ɪ] || i [iː] || || yu [yː] ||<-2> || u [ʊ] || u [uː] || || '''[[중모음]]''' || e [e] || e [ɛː] || eo [ɵ] || oe [œː] ||<-2> || o [o] || o [ɔː] || || '''[[저모음]]''' ||<-2> ||<-2> || a [ɐ] || aa [äː] ||<-2> || === 운모 === 운모는 한국어의 중성(+종성)에 해당한다. 광동어에는 53개의 운모가 존재한다. ||<|2> ||<|2> '''{{{#fbf919,#e6e403 단모음}}}''' ||<-2> '''{{{#fbf919,#e6e403 이중모음}}}''' ||<-3> '''{{{#fbf919,#e6e403 비음}}}''' ||<-3> '''{{{#fbf919,#e6e403 입성음}}}''' || || i [i̯ ~ y̑] || u [u̯] || m [m] || n [n] || ng [ŋ] || p [p̚] || t [t̚] || k [k̚] || ||aa [äː] || aa [äː] ||aai [äːi̯] || aau [äːu̯] || aam [äːm] || aan [äːn] || aang [äːŋ] || aap [äːp̚] || aat [äːt̚] || aak [äːk̚] || || a [ɐ]|| ||ai [ɐi̯] || au [ɐu̯] || am [ɐm] || an [ɐn] || ang [ɐŋ] || ap [ɐp̚] || at [ɐt̚] || ak [ɐk̚] || ||o [ɔː][br]{{{#!wiki style="text-align: right;" o [o]}}} ||<^|1> o [ɔː] ||<^|1> oi [ɔːi̯ ~ ɔːy̑] || ou [ou̯] || ||<^|1> on [ɔːn] ||<^|1> ong [ɔːŋ] || ||<^|1> ot [ɔːt̚] ||<^|1> ok [ɔːk̚] || ||oe [œː][br]{{{#!wiki style="text-align: right;" eo [ɵ]}}} ||<^|1> oe [œː] || eoi [ɵy̑]|| || || eon [ɵn] ||<^|1> oeng [œːŋ] || || eot [ɵt̚] ||<^|1> oek [œːk̚] || ||e [ɛː][br]{{{#!wiki style="text-align: right;" e [e]}}} ||<^|1> e [ɛː] ||ei [ei̯] ||<^|1> {{{#999,#666666 eu [ɛːu̯]}}} ||<^|1> {{{#999,#666666 em [ɛːm]}}} || ||<^|1> eng [ɛːŋ] ||<^|1> {{{#999,#666666 ep [ɛːp̚]}}} || ||<^|1> ek [ɛːk̚] || ||i [iː][br]{{{#!wiki style="text-align: right;" i [ɪ]}}} ||<^|1> i [iː] || ||<^|1> iu [iːu̯] ||<^|1> im [iːm] ||<^|1> in [iːn] || ing [ɪŋ] ||<^|1> ip [iːp̚] ||<^|1> it [iːt̚] || ik [ɪk̚] || ||u [uː][br]{{{#!wiki style="text-align: right;" u [ʊ]}}} ||<^|1> u [uː] ||<^|1> ui [uːi̯ ~ uːy̑] || || ||<^|1> un [uːn] || ung [ʊŋ] || ||<^|1> ut [uːt̚] || uk [ʊk̚] || ||yu [yː] || yu [yː] || || || || yun [yːn] || || || yut [yːt̚] || || || '''[[성절 자음|성절자음]]''' || || || || m [m̩] || || ng [ŋ̍] || || || || == 성조 == * [[표준중국어|보통화]]가 음평, 양평, 상성, 거성의 4[[성조(언어)|성조]] 체계인 데 비해, 광동어는 9개 성조가 있다. 그러나 제7~9성은 각각 1~3성의 [[입성]]이기 때문에 사실상 6성이다. * 낮은 성조인 제4, 5, 6성은 회화에서 제1, 2성으로 발음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書局(책방)은 syu1guk6인데, 높이 올려서 syu1guk2으로 발음하기도 한다. 하지만 낭독할 때에는 원 성조를 유지한다. 또 我(ngo5)를 제3성으로 발음하기도 하는 등, 회화에서의 성조 변화가 심하다. || '''{{{#fbf919,#e6e403 월병}}}''' || '''[[사성]]''' || '''{{{#fbf919,#e6e403 고저}}}''' || '''{{{#fbf919,#e6e403 비고}}}''' || || '''1''' || 陰平 || '''55''' || 53으로 발음되는 예외 존재 || || '''2''' || 陰上 || '''35''' || 또는 25 || || '''3''' || 陰去 || '''33''' || || || '''4''' || 陽平 || '''21''' || 11로 발음되는 예외 존재 || || '''5''' || 陽上 || '''23''' || || || '''6''' || 陽去 || '''22''' || || || 7 || 陰入 || 55 || 제1성 중 종성이 k, p, t인 경우 || || 8 || 中入 || 33 || 제3성 중 종성이 k, p, t인 경우 || || 9 || 陽入 || 22 || 제6성 중 종성이 k, p, t인 경우 || == 보통화와의 음운적 차이 == * 그 외의 음운적 특질도 보통화와 상당한 차이가 있다. * 개음(介音)이 존재하지 않는다. 보통화에는 -i-, -u-, -y-와 같은 개음이 존재한다. === 종성 === * 보통화에는 없는 [[종성]] -p, -t, -k(입성) 및 -m이 존재한다. 때문에 [[한국 한자음]]과 느낌이 비슷하다. 北京이라는 단어의 발음은 보통화로는 '뻬이찡'이지만 광동어로는 '빡낑'이다. 여담으로 이웃한 베트남어로는 '박낑'으로 더 비슷하다. * 한국 한자음과 느낌이 다르지만 어떤 글자는 한국 한자음과 종성이 다른 경우도 있다. 한국 한자음이 중고음의 입성과 가장 가깝다. 한국 한자음의 ㄹ 종성에 해당하는 한자음은 광동어의 /-t/ 종성이다.[* 이는 베트남어에서도 그렇다.][* 쉬운 유사 사례로 일본어 한자 독음도 들 수 있는데, 한국 한자음의 ㄹ 종성에 대응하는 일본어 한자 독음의 종성은 대개 ツ(tsu) 혹은 チ(chi)로 끝난다.][* 다만 중세 한국어 이영보래 표기를 볼 때, 당시 한문을 낭독할 때의 이 음가를 인지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물론 일상적으로 사용되진 않았다고 보고 있으며, 그 근거로 이영보래 표기가 보편화되지 않고 금방 사라졌다는 점을 뽑을 수 있다.] || '''{{{#fbf919,#e6e403 한자}}}''' || '''{{{#fbf919,#e6e403 보통화 독음}}}''' || '''{{{#fbf919,#e6e403 광동어 독음}}}''' || '''{{{#fbf919,#e6e403 한국어 훈음}}}''' || || 凡 || fán || faan4 || 무릇 범 || || 汎 || fàn || faan3 || 넘칠 범 || || 帆 || fān[* 대만에서는 fán으로 발음한다.] || faan3 || 돛 범 || || 梵 || fàn || faan4[* 아나운서들은 faan6으로 발음하기도 한다.] || 범어 범 || || 氾 || fàn || faan4 || 넘칠 범 || || 犯 || fàn || faan6 || 범할 범 || || 範 || fàn || faan6 || 본뜰 범 || || 貶 || biǎn || bin2 || 깎아내릴 폄 || || 砭 || biān || bin1 || 돌침 폄 || || 贍 || shàn || sin6 || 넉넉할 섬 || || 禪 || chán || sim4 || 터닦을 선 || || 蟬 || chán || sim4 || 매미 선 || || 眨 || zhǎ || zaam2 || 눈 깜빡일 잡 || || 孽 || niè || jip6 || 허물 얼 || || 燮 || xiè || sit3 || 빛날 섭 || || 法 || fǎ || faat3 || 법 법 || || 乏 || fá || fat6 || 모자랄 핍 || || 悉 || xī || sik1 || 모두 실 || || 蟋 || xī || sik1 || 귀뚜라미 실 || * 보통화는 -n으로 끝나는데, 광동어와 한국 한자음은 -ng으로 끝나는 경우도 있다. || '''{{{#fbf919,#e6e403 한자}}}''' || '''{{{#fbf919,#e6e403 보통화 독음}}}''' || '''{{{#fbf919,#e6e403 광동어 독음}}}''' || '''{{{#fbf919,#e6e403 한국어 훈음}}}''' || || 肯 || kěn || hang2 || 즐길 긍 || || 亙 || gèn || gang2 || 걸칠 긍 || || 皿 || mǐn || ming5 || 그릇 명 || || 聘 || pìn[* 대만에서는 pìng으로 발음한다.] || ping3 || 부를 빙 || || 認 || rèn || jing6[* 특이하게 -ng으로 끝나는 경우인데, 중고음 反切 표기 而證切에서 온 발음이다. 보통화와 한국 한자음은 而振切에서 온 발음이다.] || 알 인 || || 貞 || zhēn || zing1 || 곧을 정 || || 偵 || zhēn || zing1 || 정탐할 정 || || 稱 || chèn[* 대만에서는 chèng으로 발음한다. '일컬을 칭'으로서의 稱은 chēng으로 발음한다.] || cing3 || 마주 볼 칭 || || 馨 || xīn || hing1 || 향기 형 || === 장단음 === * [[장단음]]간 의미가 다르다. || '''{{{#fbf919,#e6e403 한자}}}''' || '''{{{#fbf919,#e6e403 광동어 장음}}}''' || '''{{{#fbf919,#e6e403 한국어 훈음}}}''' || '''{{{#fbf919,#e6e403 한자}}}''' || '''{{{#fbf919,#e6e403 광동어 단음}}}''' || '''{{{#fbf919,#e6e403 한국어 훈음}}}''' || || 拜 || baai3 || 절 배 || 閉 || bai3 || 닫을 폐 || || 敗 || baai6 || 질 패 || 弊 || bai6 || 폐할 폐 || || 猜 || caai1 || 시기할 시 || 妻 || cai1 || 아내 처 || || 帶 || daai3 || 띠 대 || 帝 || dai3 || 임금 제 || || 大 || daai6 || 큰 대 || 弟 || dai6 || 아우 제 || || 快 || faai3 || 쾌할 쾌 || 肺 || fai3 || 허파 폐 || || 街 || gaai1 || 거리 가 || 雞 || gai1 || 닭 계 || || 埋 || maai4 || 묻을 매 || 迷 || mai4 || 미혹할 미 || || 曬 || saai3 || 쬘 쇄 || 世 || sai3 || 세상 세 || || 蠶 || caam4 || 누에 잠 || 沉 || cam4 || 잠길 침 || || 監 || gaam1 || 볼 감 || 今 || gam1 || 이제 금 || || 鹹 || haam4 || 짤 함 || 含 || ham4 || 머금을 함 || || 藍 || laam4 || 쪽 람 || 林 || lam4 || 수풀 림 || || 三 || saam1 || 셋 삼 || 衫 || sam1 || 적삼 삼 || || 班 || baan1 || 나눌 반 || 賓 || ban1 || 손님 빈 || || 餐 || caan1 || 먹을 찬 || 親 || can1 || 친할 친 || || 但 || daan6 || 다만 단 || 燉 || dan6 || 이글거릴 돈 || || 揀 || gaan2 || 가릴 간 || 緊 || gan2 || 요긴할 긴 || || 閒 || haan4 || 틈 한 || 痕 || han4 || 흔적 흔 || || 山 || saan1 || 뫼 산 || 新 || san1 || 새 신 || || 橙 || caang2 || 등자 등 || 曾 || cang4 || 일찍 증 || || 耕 || gaang1 || 밭갈 경 || 更 || gang1 || 고칠 경 || || 盲 || maang4 || 소경 맹 || 盟 || mang4 || 맹세 맹 || || 爭 || zaang1 || 다툴 쟁 || 憎 || zang1 || 미워할 증 || || 八 || baat3 || 여덟 팔 || 不 || bat1 || 아니 불 || || 擦 || caat3 || 비빌 찰 || 七 || cat1[* 여담으로 cat6이라고 할 경우 비속어가 되니 주의할 것. [[영 좋지 않은 곳]]과 관련이 있다.] || 일곱 칠 || === 권설음, 설면음이 없음 === * [[권설음]], [[치경구개음|설면음]]이 존재하지 않는다. 해당 자음은 [[치경음|설첨음]]으로 조음되는 경우가 많다. 보통화의 권설음, 설면음에 해당하는 광동어 성모에 혼란이 있다. * 다만, 설치음 성모 z, c, s는 i, yu 앞에 오면 설면음으로 발음된다. 따라서 설면음이 변이음으로써 존재한다. 그래서 광주화 병음방안[* 1960년 [[광둥성]] 교육부에서 만든 광동어 로마자 표기법]에서는 이들 성모를 i, ü[* 월병의 yu에 해당하는 철자] 앞에서는 한어병음에서 동일한 발음이 나는 j, q, x로 표기하도록 하고 있다. || '''{{{#fbf919,#e6e403 한자}}}''' || '''{{{#fbf919,#e6e403 보통화 독음}}}''' || '''{{{#fbf919,#e6e403 광동어 독음}}}''' || '''{{{#fbf919,#e6e403 한국어 훈음}}}''' || || 張 || zhāng || zoeng1 || 베풀 장 || || 診 || zhěn || can2 || 진찰할 진 || || 峙 || zhì || si6[* zi6라고 발음하는 사람도 있다.] || 우뚝 솟을 치 || || 兆 || zhào || siu6 || 조짐 조 || || 肇 || zhào || siu6 || 비롯할 조 || || 甄 || zhēn || jan1 || 살필 견 || || 陳 || chén || can4 || 베풀 진 || || 成 || chéng || sing4 || 이룰 성 || || 生 || shēng || sang1 || 낳을 생 || || 署 || shǔ || cyu5 || 관청 서 || || 基 || jī || gei1 || 터 기 || || 就 || jiù || zau6 || 나아갈 취 || || 秋 || qiū || cau1 || 가을 추 || || 起 || qǐ || hei2 || 일어날 기 || || 羣 || qún || kwan4 || 무리 군 || || 丘 || qiū || jau1 || 언덕 구 || || 酋 || qiū || jau1 || 추장 추 || || 泣 || qì || jap1 || 울 읍 || || 許 || xǔ || heoi2 || 허락할 허 || || 徐 || xú || ceoi4 || 천천할 서 || || 新 || xīn || san1 || 새로울 신 || || 習 || xí || zaap3 || 익힐 습 || || 席 || xí || zik6 || 자리 석 || || 夕 || xī[* 대만에서는 xì로 읽는다. 여담으로 한국 한자음으로 '식', '석'이라고 읽는 息(숨쉴 식), 熄(불 꺼질 식), 昔(옛날 석), 惜(아낄 석), 錫(주석 석)은 중국에서 xī, 대만에서 xí로 읽는다.] || zik6 || 저녁 석 || || 休 || xiū || jau1 || 쉴 휴 || || 欣 || xīn || jan1 || 기쁠 흔 || || [[釁]] || xìn || jan6 || 피 바를 흔[* 획수가 무려 25획이나 되며, 挑釁(도흔, 도발하다)이라고 할 때에나 쓴다. 간체자로는 [[衅]]이라고 쓰며, 피(血)가 반(半)이라는 뜻이다.] || || 酗 || xù || jyu3[* heoi3라고 발음하는 사람도 있다.] || 주정할 후 || * 보통화에서는 /r/인 성모가 /j/로 발음된다. 이는 한국어에서도 똑같이 나타나는 현상이다. 이들 한자는 낮은 성조인 제4,5,6성으로만 발음된다. || '''{{{#fbf919,#e6e403 한자}}}''' || '''{{{#fbf919,#e6e403 표준중국어 독음}}}''' || '''{{{#fbf919,#e6e403 광동어 독음}}}''' || '''{{{#fbf919,#e6e403 한국어 훈음}}}''' || || 然 || rán || jin4 || 그러할 연 || || 染 || rǎn || jim5 || 물들일 염 || || 讓 || ràng || joeng6 || 사양할 양 || || 熱 || rè || jit6 || 더울 열 || || 惹 || rě || je5 || 이끌 야 || || 人 || rén || jan4 || 사람 인 || || 忍 || rěn || jan5 || 참을 인 || || 任 || rèn || jam6 || 맡길 임 || || 認 || rèn || jing6 || 알 인 || || 仍 || réng || jing4 || 인할 잉 || || 日 || rì || jat6 || 날 일 || || 肉 || ròu || juk6 || 고기 육 || || 柔 || róu || jau4 || 부드러울 유 || || 如 || rú || jyu4 || 같을 여 || || 軟 || ruǎn || jyun5 || 연할 연 || || 睿 || ruì || jeoi6 || 밝을 예 || || 潤 || rùn || jeon6 || 윤택할 윤 || || 弱 || ruò || joek6 || 약할 약 || === 성모 /ŋ/와 영성모 === * 성모 [[연구개음#s-2.1|/ŋ/]]이 있다. 많은 경우, 제4,5,6성이다. 단, 홍콩 젊은이들 사이에서는 어두의 /ŋ/을 발음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 비슷한 예로 홍콩 젊은이들 사이에서는 /l-/과 /n-/의 사이에 혼란이 있고, /-n/과 /-ŋ/, /-k/와 /-t/ 사이의 혼란이 있다. 그런데 대만에서도 표준중국어를 발음할 때 /-n/과 /-ŋ/ 사이에서도 혼란이 있다.][* 사실 어두에 /ŋ/이 오지 않는 대표적인 언어가 바로 '''영어'''다.]. * 중세 한국어에서 한글을 창제할 때 존재했던 [[옛이응]]의 음가와 같다. 한어병음과 대조하자면 영성모, y-, w-, n-에 해당하며, 드물게 x-, g-과도 대응된다. 한국어에도 드물게 /k-/와도 대응된다. || '''{{{#fbf919,#e6e403 한자}}}''' || '''{{{#fbf919,#e6e403 보통화 독음}}}''' || '''{{{#fbf919,#e6e403 광동어 독음}}}''' || '''{{{#fbf919,#e6e403 한국어 훈음}}}''' || || 岸 || àn || ngon6 || 언덕 안 || || 俄 || é || ngo4 || 갑자기 아 || || 娥 || é || ngo4 || 예쁠 아 || || 鵝 || é || ngo4 || 거위 아 || || 我 || wǒ || ngo5 || 나 아 || || 餓 || è || ngo6 || 주릴 아 || || 額 || é || ngaak6[* 구어에서는 위로 올려서 ngaak2으로 발음한다.] || 이마 액 || || 昂 || áng || ngong4 || 오를 앙 || || 牙 || yá || ngaa4 || 어금니 아 || || 顏 || yán || ngaan4 || 얼굴 안 || || 眼 || yǎn || ngaan5 || 눈 안 || || 雁 || yàn || ngaan6 || 기러기 안 || || 贗 || yàn || ngaan6 || 거짓 안 || || 咬 || yǎo || ngaau5 || 깨물 교 || || 樂 || yào || ngaau6 || 좋아할 요[* 智者樂水 仁者樂山(지자요수 인자요산, 지혜로운 사람은 물을 좋아하고, 어진 사람은 산을 좋아한다.)라고 할 때에나 쓴다. 줄여서 樂山樂水라고도 한다.] || || 藝 || yì || ngai6 || 재주 예 || || 銀 || yín || ngan4 || 은 은 || || 硬 || yìng || ngaang6 || 굳을 경 || || 岳 || yuè || ngok6 || 큰산 악 || || 樂 || yuè || ngok6 || 풍류 악 || || 外 || wài || ngoi6 || 바깥 외 || || 危 || wēi[* 대만에서는 wéi라고 발음한다.] || ngai4 || 위험할 위 || || 偽 || wěi[* 대만에서는 wèi라고 발음한다.] || ngai4 || 거짓 위 || || 魏 || wèi || ngai6 || 나라 이름 위 || || 瓦 || wǎ || ngaa5 || 기와 와 || || 倪 || ní || ngai4 || 어린이 예 || || 牛 || niú || ngau4 || 소 우 || || 餚 || yáo || ngaau4 || 안주 효 || || 淆 || xiáo[* 대만에서는 yáo라고 발음한다.] || ngaau4 || 섞일 효 || || 勾 || gōu || ngau1 || 꺾을 구 || || 鈎 || gōu || ngau1 || 갈고리 구 || * 홍콩 젊은이들이 /ŋ/ 성모를 영성모로 하는 경향이 많지만, 도리어 영성모를 /ŋ/ 성모로 하는 사람들도 있다. 주로 방송계에 종사하는 사람들이나 음반을 내는 가수들 사이에서 이런 현상이 두드러지며, 일종의 [[과도교정]]이라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愛(사랑 애)는 광동어로 oi3라고 읽으며 성모가 없는 영성모인데, 일부러 /ŋ/ 성모를 붙여서 ngoi3라고 하는 사람들도 있다.[[https://youtu.be/f5NzXpC8tdU|#]] === 원순 성모 === * 광동어에는 gw-, kw-라는 원순 성모가 있는데, 이는 보통화의 g- + -u- 구조 및 k- + -u- 구조와 발음이 완전히 같다. 예를 들어 過(지날 과, guò)를 광동어로 gwo3라고 읽는데, 보통화는 guo를 성모 g-와 운모 -uo로 인식하지만, 광동어는 gwo를 성모 gw-와 운모 -o로 인식한다는 것. 대부분 그런 관계로 대응되지만 예외도 있기는 하다. || '''{{{#fbf919,#e6e403 한자}}}''' || '''{{{#fbf919,#e6e403 보통화 독음}}}''' || '''{{{#fbf919,#e6e403 광동어 독음}}}''' || '''{{{#fbf919,#e6e403 한국어 훈음}}}''' || || 戈 || gē || gwo1 || 창 과 || || 過 || guò || gwo3 || 지날 과 || || 郭 || guō || gwok3 || 둘레 곽 || || 國 || guó || gwok3 || 나라 국 || || 光 || guāng || gwong1 || 빛 광 || || 廣 || guǎng || gwong2 || 넓을 광 || || 廓 || kuò || kwok3 || 둘레 곽 || || 狂 || kuáng || kwong4 || 미칠 광 || || 礦 || kuàng || kwong3 || 쇳돌 광 || || 擴 || kuò || kwok3[* kwong3은 틀린 발음이다. [[http://humanum.arts.cuhk.edu.hk/Lexis/lexi-mf/search.php?word=%E6%93%B4|출처]]] || 넓힐 확 || * 그런데 홍콩 사람들 중에서는 운모가 -o-로 시작할 때 gw-, kw- 성모를 g-, k- 성모로 발음하는 경향이 있다. 怪(괴이할 괴, gwaai3)이나 誇(자랑할 과, kwaa1)같이 다른 운모가 오면 그런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 [[성절 자음]] === * 광동어에는 특이하게 m과 ng이라는 음운이 있는데, 성모가 없고 운모도 종성만 있는 음운이다. 정확히는 해당 한자들의 발음을 보면 성모만 남았다고 볼 수 있다. 과거 한자들의 성모와 운모는 모두 같으며 성모는 광동어의 ng과 같다. 한글로는 보통 '음'이나 '응'이라고 쓰는데 완전히 같지는 않다. '음'과 '응'에는 '으'라는 중성이 있기 때문이다. 광동어에서 부정을 나타내는 唔를 제외하고는 다 ng이라고 읽는다. || '''{{{#fbf919,#e6e403 한자}}}''' || '''{{{#fbf919,#e6e403 보통화 독음}}}''' || '''{{{#fbf919,#e6e403 광동어 독음}}}''' || '''{{{#fbf919,#e6e403 한국어 훈음}}}''' || || 唔 || wú || m4 || 글 읽는 소리 오 || || 吳 || wú || ng4 || 나라 이름 오 || || 五 || wǔ || ng5 || 다섯 오 || || 伍 || wǔ || ng5 || 줄 오 || || 悟 || wù || ng6 || 깨달을 오 || || 誤 || wù || ng6 || 그릇될 오 || == 외부 링크 == * [[http://www.rthk.org.hk/elearning/bettercantonese/cantoneseabc.htm|광동어 성모, 운모, 성조 발음 들어보기]]: [[광동어 정음 운동]]을 일으킨 리처드 호 교수가 만들었다. * [[http://humanum.arts.cuhk.edu.hk/Lexis/lexi-mf/|광동어 한자음 자전]]: 홍콩 중문대학에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 자전(字典). 한자의 광동어 발음을 직접 들어볼 수 있으나 안 쓰는 독음도 다수 들어 있다. [[분류:중국어]][[분류:홍콩의 문화]][[분류:마카오의 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