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광명시의 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광명 11-2번 대우차량.webp|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_MG_7034.jp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파일:광명시 CI_White.svg|width=15]] {{{#ffffff 광명시 일반형버스 11-2번}}}||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광명 11-2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소하동광명동굴입구) ||<-2> 종점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여의도환승센터) || ||<|2> 종점행 || 첫차 || 05:00 ||<|2> 기점행 || 첫차 || 05:50 || || 막차 || 23:10 || 막차 || 00:00 || ||<-2> 평일배차 || 8~10분 ||<-2> 주말배차 || 토요일 10~15분 / 공휴일 12~17분 || ||<-2> 운수사명 || [[화영운수]] ||<-2> 인가대수 || 17대[* 평일 15+2대 / 토요일 12대 / 공휴일 8대 운행, +는 출근시간 추가투입 차량] || ||<-2> 노선 ||<-4> 소하동광명동굴입구 - 소하2동행정복지센터.광명동굴길입구 - 광명역세권1단지후문 - 신촌마을아파트 - 하안사거리 - 철산래미안자이 - [[철산역]].광명경찰서 - 광명시청 - 광명북중고등학교 - [[구일역]] - [[구로역]] - [[신도림역]] - [[영등포역]] → 전경련회관 → [[여의도환승센터]](1번 승강장) → 한국거래소 → 여의도지하차도입구 → [[여의도공원]] → 영등포역 → 이후 역순 || == 개요 == [[화영운수]]에서 운행하는 일반형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36km다. [[http://map.naver.com/?busId=12504&enc=b64|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광명 버스 11-1|11-1번]]이 성공하면서 광명시와 화영운수는 곧이어 광명고가교를 통해 영등포와 철산동 지역을 연결하는 노선의 개통에 착수하였다. 한창 개발이 진행중이던 시흥 연성지구의 통근수요를 아울러 확보할 목적으로, 11-2번은 영등포와 광명, 시흥시청을 잇는 장거리 노선으로 개통되었다. * 이후 종점이 시흥시청에서 월곶까지 연장되었으나, 그 결과 만성적인 긴 배차간격과 수익 저조에 시달리게 되었다.[* 사실 이것도 있었지만 운행 초기에는 소하동에서 하안동/철산동까지는 거의 비다시피 운행했는데, 이 구간에서 운행구간이 동일했던 동사 [[광명 버스 12|12번]]이 있었던 데다가 소하동에서 영등포역/서울 방면은 배차가 더 짧았던 [[서울 버스 5627|107-2번]]이나 [[서울 버스 505|124번]]이 있었기 때문에 수요를 그 쪽으로 많이 뺏겼다.] 장곡지구 개발은 노선 개통 이후 10년이 지나도록 지지부진하여 11-2번 연선에는 2001년 이후 새로운 아파트가 들어서지 않는 상황이며, 2004년 이후 서울시가 서울 시계 진입 경기도 차량의 증차를 거부함에 따라 월곶 연장은 배차간격을 무려 20~30분으로 만드는 결과를 가져왔다. 말하자면 수요가 넘쳐흐르는 광명에서 시흥구간 때문에 엄청난 피해를 보는 상황이었다. 이런 문제는 특히 11-2번이 11-1번과 함께 여의도에 진입하게 된 2006년 이후 심화되었다. * 결국 2009년 소하지구에 2만세대 입주가 다가오자, 광명시와 화영운수는 11-2번의 운행간격 단축을 위해 11-2번의 운행계통을 분리하여 11-2번의 기점을 광명역 혹은 물왕동으로 변경하고 '철산우성아파트 - 월곶' 구간을 운행하는 11-3번의 신설을 제안하였으나 시흥시에서는 서울 직결노선이 사라진다는 이유로 이를 거부하였다. 서울시가 경기도 버스의 증차를 거부하는데다가 소하지구 입주가 다가오는 상황에서 시흥시의 요구는 사실상 받아들일 수 없는 것이었고, 결국 광명시와 화영운수는 2009년 7월 14일에 '광명역 - 월곶' 구간을 11-3번으로 분리신설하였고, 11-2번을 광명역으로 단축시켰다. [[http://www.hybus.or.kr/bbs/bbs_view.php?bbs_data=aWR4PTExNDYmc3RhcnRQYWdlPTYwJmNvZGU9bm90aWNl|화영운수 공지사항]] * 이후 2010년 3월 2일에 신촌지구와 광명테크노파크가 입주하면서 22번과 함께 '소하사거리 - 기아자동차 - 광명테크노파크 - 소하금호아파트 - 하안사거리'로 변경하였다. 또한 3대가 증차되어 13대로 운행하게 되었다. [[http://www.gm.go.kr/pt/user/bbs/BD_selectBbs.do?q_bbsCode=2044&q_bbscttSn=2010021915372227258|광명시 공지사항]] * 2015년 3월 23일에 하안4동주민센터에서 하안2동주민센터로 가는 것이 아니라 철산역까지 101번과 똑같은 노선으로 변경되었고 기점이 광명역에서 광명동굴 입구로 변경되면서 광명역에 정차하지 않게 되었다. [[http://www.hybus.or.kr/bbs/bbs_view.php?bbs_data=aWR4PTExOTcyJnN0YXJ0UGFnZT0wJmNvZGU9bm90aWNl|화영운수 공지사항]] [[http://www.gm.go.kr/pt/user/nftcBbs/BD_selectNftcBbsDetail.do?q_nftcBbsCode=1001&q_nftcBbsMgtno=22254#0|광명시 공고 제2015-386호]] * 2016년 2월 1일에 광명시 방향도 고속화도로인 서부간선도로 대신 안양천로 경유로 바뀌었다. [[http://www.gm.go.kr/pt/user/nftcBbs/BD_selectNftcBbsDetail.do?q_nftcBbsCode=1001&q_nftcBbsMgtno=25002#0|광명시 공고 제2016-140호]] == 특징 == * 출퇴근시간대에 가축수송 아닌 노선이 어디 있으랴만, 11-2번은 그 중에서도 특히 상황이 심각하다. 하안사거리 이북 지역에서 [[경인로]] 연선(신도림, 영등포, 여의도)으로 나갈 때 이만한 노선이 없기 때문이다. 철산동과 하안동을 합쳐 인구가 15만인데 수요에 비해 차량수가 너무 부족해 배차간격은 여전히 출퇴근시간대에도 10분 이상, 게다가 광명고가교는 만성적인 정체로 몸살을 앓고 있으니 그 고통은 배가된다. 이러다보니 출근시간대가 끝날 무렵인 오전 9시에 버스를 타도 사람이 줄어들 기미가 안 보인다. [[철산역]]에서 엄청나게 많은 사람이 내리는데 다시 [[광명 버스 101|101번]]을 타고 철산역으로 나온 사람들이 그 자리를 가득 메우는 식. 평시에도 사람이 많아서 터져나가며, 이를 피하려고 비슷한 노선인 [[광명 버스 11-1|11-1번]]을 타는데, 그 여파로 둘 다 가축수송 중이다. * 현충근린공원부터 소하1단지까지 [[광명 버스 101|101번]]과, 하안사거리부터 기아교차로까지는 [[광명 버스 102|102번]]과 경로가 완전 동일하니 먼저 오는걸 타면 된다.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1호선]]: [[구일역]], [[구로역]], [[신도림역]], [[영등포역]] * [[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2호선]]: 신도림역 * [[파일:Seoulmetro5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5호선]]: [[여의도역]] * [[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7호선]]: [[철산역]] * [[파일:Seoulmetro9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9호선]]: 여의도역 * 일반 철도역: 영등포역(KTX, ITX-새마을, 새마을호, 무궁화호) [[분류:광명시의 시내버스]] [include(틀:포크됨2, title=광명 버스 11-2, d=2022-12-25 08:57: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