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광명시의 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광명_22_1032.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화영22_1133.pn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파일:광명시 CI_White.svg|width=15]] {{{#ffffff 광명시 일반형버스 22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광명 22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경기도 광명시 일직동(광명종합터미널) ||<-2> 종점 || 서울특별시 구로구 개봉동(개봉역) || ||<|2> 종점행 || 첫차 || 05:10 ||<|2> 기점행 || 첫차 || 05:05 || || 막차 || 23:25 || 막차 || 00:00 || ||<-2> 평일배차 || 12~17분 ||<-2> 주말배차 || 토요일 18~22분 / 공휴일 18~22분 || ||<-2> 운수사명 || [[화영운수]] ||<-2> 인가대수 || 16대[* 평일 14대 / 토요일 10대 / 공휴일 7대 운행] || ||<-2> 노선 ||<-4> [[광명종합터미널]] - [[광명역]] - [[중앙대학교광명병원]] - {{{#aaa 덕안터널}}} - 광명역세권5단지 - 소하2동행정복지센터.광명동굴길입구 - 광명역세권1단지후문 - 신촌마을아파트 - 하안사거리 - 광명시민체육관 - [[철산역]].[[광명경찰서]] - [[광명시청]].광명시민회관 - [[광명사거리역]].[[광명전통시장]] - [[개봉역]] || == 개요 == [[화영운수]]에서 운행하는 시내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27.8km다. [[http://map.naver.com/?busId=12508&enc=b64|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1989년 하안동 주공아파트 단지가 개발되면서, 앞으로 생길 엄청난 수요를 흡수할 새로운 노선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22번이 신규 개통, 운행구간은 개봉역 - 광명사거리 - (현)철산역삼거리[* 사실 수많은 문서들에서 철산역삼거리라고 하지만 철산역이 없던 시절에는 근처에 있던 한복시네마(당시 광명시에서 제일 큰 극장이었으나, 크로앙스에 오픈한 롯데시네마에 밀렸고, IMF 영향으로 함께하던 예식장사업과 함께 폐업)라는 정류소 이름이었다. 철산역 개업 직전인 1999년쯤에 시에서 붙인 이름은 '중앙로삼거리'였지만 정작 철산13단지 사람들조차 중앙로가 어딘지를 모른다(...)] - 하안아파트단지 순환 - 철산2,3단지 - 철산교 - 가리봉역을 운행하였다. 당시는 아직 7호선이 개통되지 않은 상황이라 하안동 주민들이 서울로 나가려면 반드시 개봉역, 가리봉역으로 나가야 했던 상황이었고, 그로 인해 개통한지 1년도 되지 않아 22번은 신차투입 1순위 노선이 되었다. 그 당시 22번은 가장 배차가 좋은 노선이었고, 개봉역 차고지와 공단운동장 앞에는 여러대의 대기차량이 줄 서 있었다. 그러나 7호선의 개통으로 광명시민들은 정체가 심각한 철산교를 넘어가는 노선을 기피하게 되었고, 경인선 복복선화로 인해 개봉역 차고지가 헐리면서 당시 운행중이던 1-1번(광명7동 - 광명6동 - 광명사거리 - 개봉역)을 흡수하여 차고지를 확보하였다.[* 이것이 과거 22번이 광명7동-개봉역-광명사거리-철산동으로 배배 꼬인 노선형을 가지게 된 경위다.] 이후 7호선 개통의 여파로 가리봉역 수요가 급감하자, 하안아파트 - 가리봉역 구간대신 하안아파트 - 현 충현고 앞 주차장까지 연장되었다. * 2003년에 '하안사거리 - 하안13단지 - 시흥역육교 - 소하고' 구간이 '하안사거리 - 소하고 - 가리대'로 변경되었다. * 2004년 광명역이 개통된 이후 반년 정도 지나(2004년 10월 경) 광명역으로 연장되었다. * 2008년 10월 1일에 '중앙하이츠 - 개봉역' 구간을 100번으로 분리하면서 '개봉역 - 광명역' 노선으로 단축되었다. [[http://www.gm.go.kr/pt/user/bbs/BD_selectBbs.do?q_bbsCode=2032&q_bbscttSn=2008092318410428319|광명시 공지사항]] * 2010년 신촌지구 및 광명테크노파크가 입주하면서 11-2번과 함께 '하안사거리 - 광명테크노파크 - 소하사거리'로 경로가 변경되었다. * 2011년 2월 14일에 광명시여성회관 대신 충현고 경유로 변경되었다. [[http://www.gm.go.kr/site/gm/boardView.do?boardSeq=73&key=1448&post=212895|광명시청 공지사항]] * 2016년 1월 4일에 '광명역 - 호봉골 - 광명시여성회관' 구간이 '광명역 - (→ B주차장 →/← 코스트코광명점 ←) - 롯데아울렛광명점 - 충현고 - 소하2동주민센터 - 광명시여성회관'으로 변경되었다.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bus&no=1174040|관련 게시물]] [[http://www.gm.go.kr/pt/user/nftcBbs/BD_selectNftcBbsDetail.do?q_nftcBbsCode=1001&q_nftcBbsMgtno=24712#0|광명시 공고 제2015-1705호]] * 2018년 2월 21일부터 광명역에는 들어가지 않고, '소하동광명동굴입구 - 이케아광명점 - 호봉골 - 광명역B주차장 - 롯데아울렛 - 충현고'로 변경되었다. 이로 인해 종점이 광명역에서 광명동굴입구로 바뀌었다. [[http://www.hybus.or.kr/popup.php?idx=89|화영운수 공지사항]] * 2019년 6월 8일에 102번이 개통되면서 '소하동광명동굴입구 - 이케아광명점 - 호봉골 - 광명역B주차장' 구간이 '광명종합터미널 - KTX광명역8번출구 - 광명역B주차장'으로 변경되었다. 이로 인해 다시 KTX광명역을 경유하게 되었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transit&no=149105|관련 게시물]] [[http://www.joongboo.com/news/articleView.html?idxno=1356301|관련 기사]] == 특징 == * 광명사거리, 철산역, 하안사거리, 소하동을 두루 거치는 데다가 [[개봉역]]이라는 교통허브를 종점으로 하고 있다. * 서울 지하철 7호선 광명사거리역/철산역과 [[광명 버스 11-1|11-1]]/[[광명 버스 11-2|11-2번]] 자매라는 훌륭한 대체재가 생겼고, 철산동 지역에서 개봉역으로 갈 때에는 만성 정체로 몸살을 앓는 광명사거리가 아닌 한적한 광복로를 경유하는 17번이 생겨 22번의 중요도가 많이 감소한 상태다. 특히나 중요한 사실은 광명사거리~개봉역 사이에는 '''고등학교가 없다'''는 것이다.[* 22번의 통학수요는 대부분 소하고등학교, 충현고등학교 학생들이다] 17번이 광명북고, 12번이 명문고와 광문고를 끼고 있는 것과 비교하자면 그야말로 치명적인 약점. 그래서 다른 화영운수 노선들에 비해 존재감이 떨어져 보이긴하나 이 노선 역시 수요가 상당한 메이저 노선이다.[* 수요 자체는 11-1, 11-2보다 많다.] * 그래도 광명사거리-신촌사거리 구간은 가축수송하는 12번의 보조노선 역할을 톡톡히 해주고 있다. 통근시간에 12번과 같이 만차인 것은 덤.[* 고등학교가 아예 없는건 아니라서 통학시간때 소하고등학교 충현고등학교 학생들로 꽉꽉 채워나간다.] * 소하2동에 있는 [[충현고등학교]] 정문 정류장을 끼고 있기 때문에 22번의 통학수요가 많이 증가할 수 있지 않을까 했으나...충현고의 학생들은 22번을 많이 이용하기도 하지만 1-3번이나 한소망교회 또는 소하2동행정복지센터 까지 나가서 타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하지만 어디까지나 '''괴물''' 12번을 비롯해 10분 미만 간격의 노선들에 비해 존재감이 좀 약하다는 것이고, 광명의 동서를 관통해주는데다가 광명의 소중한 산업시설인 기아자동차, 테크노파크, 에이스타워를 광명역, 철산역, 광명사거리 등 광명 주요 지점과 교통허브로 이어주니 광명에서 없어서는 안 될 소중한 노선인 것은 틀림없으며 수요도 화영운수의 노선들 중 중상위권의 자리를 굳건히 지키고 있다.[* 그래서 최근에는 교통이 불편한 목감지구에서 광명 방면 대체재로 연장을 생각하는 분위기다. 그렇게 되면 22번의 수요가 더 확보되니 12번과 17번에 치여 살지는 않을 듯.] * '''기본요금제''' 노선이다.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1호선]]: [[광명역]], [[개봉역]] * [[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7호선]]: [[광명사거리역]], [[철산역]] *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width=60]] 일반 철도역: 광명역 [[파일:KTX BI.svg|width=40]] == 둘러보기 == [include(틀:광명역 경유 버스)] [[분류:광명시의 시내버스]][[분류:1989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서울특별시를 경유하는 광명시 시내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