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화신그룹]][[분류:관악구의 중학교]][[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분류:1951년 개교]][[분류:남녀 공학 중학교]] [include(틀:서울특별시 관악구의 중학교)] [include(틀:학교법인 광신학원)] [[파일:광신중학교 전경 납작.png|width=100%]] || {{{#ffffff '''광신중학교 전경'''}}} || ||<-2> '''[[관악구|{{{#000000,#dddddd 서울특별시 관악구}}}]]의 [[중학교|{{{#000000,#dddddd 중학교}}}]]'''[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파일:광신중학교 로고.png ]]||{{{#!wiki style="margin: -5px 0" '''{{{+1 광신중학교}}}'''[br]'''光新中學校'''[br]{{{-3 '''Kwangshin Middle School''' }}}}}} ||}}} || || {{{#white '''개교'''}}} || [[1951년]] || || {{{#white '''성별'''}}} || [[남녀공학]] || || {{{#white '''운영형태'''}}} || [[사립]] || || {{{#white '''학교법인'''}}} || 광신학원 || || {{{#white '''교장'''}}} || 이현주 || || {{{#white '''교훈'''}}} || "성실, 창조, 협동" || || {{{#white '''상징'''}}} || [[교목]]: [[향나무]], [[교화]]: [[장미]] || || {{{#white '''학생 수'''}}} || 244명[br](2023.5.1) || || {{{#white '''교직원 수'''}}} || 37명[br](2023.5.1) || || {{{#white '''관할 교육청'''}}} || [[서울특별시교육청]] || || {{{#white '''소재지'''}}}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광신길]] 141번지 || || {{{#white '''링크'''}}} || [[https://kwangshin.sen.ms.kr/index.do|[[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2> [include(틀:지도, 장소= 광신중학교, 너비=100%, 높이=100%)] || [목차] == 개요 ==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에 위치한 [[사립]] [[중학교]]. == 학교 연혁 == || [[1905년]] [[11월]] || 이갑, [[유동열]], [[박은식]] 등 제씨 서우사범학교 설립 || || [[1907년]] [[1월]] || [[이준(열사)|이준]] 등 함경도출신 애국자들이 한북의숙 설립 || || [[1907년]] [[7월]] || 서우사범학교와 한북의숙을 통합, 서북학회 발족, 서북협성학교로 개칭 || || [[1909년]] [[9월]] || 경성부 낙원동 282번지에 서양식 신축 교사 준공 || || [[1910년]] [[10월]] || [[경술국치]] 후 서북학회 해체, 교명을 오성학교로 개칭 || || [[1918년]] [[4월]] || 민족적 불온사상의 온상이라는 죄목으로 일제에 의해 강제 폐교 || || [[1921년]] [[4월]] || [[3.1운동]]후 최시준의 사재로 오성강습소로 다시 개교 || || [[1922년]] [[3월]] || 협성학교로 교명을 개편, 사립학교 규정에 의거 정규학교로 운영 || || [[1927년]] [[7월]] || 혁성실업학교로 개편 || || [[1934년]] [[3월]] || 사립 재단법인 협성학교로 인가 || || [[1939년]] [[4월]] || [[화신백화점]] 사장 [[박흥식(기업인)|박흥식]][* [[일제강점기]] '''[[친일반민족행위자]]'''이다.] 재단이사장에 취임 || || [[1940년]] [[7월]] || 교명을 광신상업학교로 개칭 || || [[1945년]] [[4월]] || 광신공업학교로 일시전환 || || [[1945년]] [[8월]] || 광복후 5녀제 광신 상업학교로 승격 || || [[1951년]] [[8월]] || '''신교육법에 의해 광신중학교와 광신상업고등학교로 개편''' || || [[1953년]] [[5월]] || 박정서 선생 광신중학교 초대 교장 취임 || || [[1957년]] [[12월]] || 유재 기념관(강당) 신축 || || [[1963년]] [[6월]] || 김성규 선생 광신중학교 2대 교장 취임 || || [[1964년]] [[6월]] || 사립학교법 제정에 따라 학교법인 광신학원 설립 || || [[1969년]] [[3월]] || 김성익 선생 광신중학교 3대 교장 취임 || || [[1983년]] [[9월]] || 박진근 선생 광신중학교 4대 교장 취임 || || [[1987년]] [[3월]] || 신림동 신축 교사로 이전, 이종률 선생 광신중학교 5대 교장 취임 || || [[1989년]] [[3월]] || 이영철 선생 광신중학교 6대 교장 취임 || || [[1989년]] [[9월]] || 유재 기념과 준공 || || [[1993년]] [[11월]] || 박성순 선생 광신중학교 7대 교장 취임 || || [[1996년]] [[3월]] || 최석동 선생 광신중학교 8대 교장 취임 || || [[1998년]] [[9월]] || 김기원 선생 광신중학교 9대 교장 취임 || || [[1999년]] [[3월]] || 정의화 선생 광신중학교 10대 교장 취임 || || [[2002년]] [[3월]] || 이수엽 선생 광신중학교 11대 교장 취임 || || [[2005년]] [[10월]] || 개교 100주년 기념행사, 역사관 및 기념탑 건립 || || [[2006년]] [[3월]] || 이언섭 선생 광신중학교 12대 교장 취임 || || [[2011년]] [[3월]] || 김홍식 선생 광신중학교 13대 교장 취임 || || [[2015년]] [[9월]] || 홍정섭 선생 광신중학교 14대 교장 취임 || || [[2016년]] [[3월]] || 박승근 선생 광신중학교 15대 교장 취임 || || [[2020년]] [[9월]] || 곽정일 선생 광신중학교 16대 교장 취임 || || [[2023년]] [[9월]] || 이현주 선생 광신중학교 17대 교장 취임 || == 교훈 및 상징 == === 교표 === [[파일:광신중학교 로고.png ]] 학문의 의지가 강건하며 이를 온누리에 펼치자는 뜻을 담고 있다. === 교화 === [[장미]] === 교목 === [[향나무]] === 교훈 === [[성실]], [[창조]], [[협동]] === 교가 === ||
{{{#white 1절}}} || || 관악산의 장한 기상 본을 받은 광신의 건아[br]일치협력 맘을 모아 우리 문화 빛내자 || || {{{#white 2절}}} || || 한수언덕 빛난 터에 자라나는 광신의 건아[br]무실역행 땀을 흘려 우리 살림 자작하자 || || {{{#white 3절}}} || || 한 뜻으로 모인 건아 새로운 문화 배워가며[br]참된 인격 함양하여 광신의 뜻 빛내자 || || {{{#white 후렴}}} || || 한 걸음 두 걸음 나가자 앞으로[br]영원무궁 끊임없이 우리 광신 건아야 || == 학교 특징 == *등교시 높고 가파른 오르막길을 올라야 한다. *스마트폰을 압수한다 *[[벚꽃]]철이 되면 경관이 굉장히 아름다운 편방이다. *2023년기준 다른 중학교처럼 학생이 [[저출산|줄고]] 있는 상황이다 *3학년이 되면 2학기 기말고사를 일찍[* 10월 쯤] 끝내고 나머지 기간동안 뮤지컬 연습 및 공연을 한다 *2년 간격으로 축제를 여는 듯 하다.[* 2022년에 했으니까, 다음은 2024년]축제때는 노래부르기, 장기자랑, 부스운영을 한다 *[[광신방송예술고등학교]]와 같이 농구부로 유명하다. == 학교 시설 == *'''본관''': ㄷ자 모양의 건물로, 교내에서 가장 큰 건물이다. 광신중학교와 [[광신방송예술고등학교]], 그리고 광신고등학교 일부(교무실,교장실 등)가 사용중이다. 또한 광신중학교의 도서관이 위치한다[* 5층에 있어서 접근성이 약하다] *'''유재기념관''': 강당 겸 체육관. 체육 수업이 진행되며, 주로 광신중학교 및 광신방송예술고등학교 농구부 학생들이 사용한다. 이곳에서 인문고, 특성화고, 중학교 학생들이 모여있는 광경을 목격할 수 있다. 다만 이 건물은 [[광신방송예술고등학교|특성화고]] 소유인지 체육관 내 이곳저곳에 [[광신방송예술고등학교]]의 문양들이 그려져 있고 화장실 건축 양식도 광신고등학교와는 다르다. 또한 학교에서 특별하게 자동세척정수기가 배치되어 있다 *'''급식실''': 인문계 고등학교 건물 뒷 편에 위치하고 있으며, 교직원 식당도 같이 존재한다. *'''꿈담길''': 본관 서쪽 사잇길에 있는 작은 공간. [[삼성산]]을 끼고 있는 학교답게 자연 경관이 아름다우며[* 실제로 [[벚꽃]]철이 되면 굉장히 아름다워지며, 이 시기에는 학생들의 사진 촬영을 위해 한시적으로 '''휴대전화 반납'''을 하지 않아도 된다.], 이 곳에서 꿈담음악회 등도 개최된다. *'''운동장''': 광신고등학교,광신방송예술고등학교,광신중학교 학생들이 함께 사용하는 모래 운동장이다. [[축구]], [[풋살]], [[농구]], [[캐치볼]] 등을 하는 남학생들과 산책을 하거나 벤치에서 이야기를 나누는 여학생들을 볼 수 있다. ==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 === 버스 === ||<:>정류소 명칭||<:>노선 번호|| ||<:>광신고등학교.주공1단지[br](21-579, 21-873)||<:> [[서울 버스 관악08|관악08]] || === 철도 === * [[서울 경전철 신림선]] [[서울대벤처타운역]] == 기타 == * 디시인사이드 마이너 갤러리에 광신중학교 갤러리가 있다. [[https://m.dcinside.com/board/kwangshinmiddle|광신중학교 마이너 갤러리]] 민주당계 정당의 민평련계의 수장이자 전 보건복지부 장관 고 김근태의 출신 중학교기도 하다.